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文대통령-기업인 한자리에…이재용은 여전히 일본에



기업/산업

    文대통령-기업인 한자리에…이재용은 여전히 일본에

    文대통령·30대기업 총수 간담회…2시간 비공개 진행
    "장단기 조치 필요성 공감…러시아·독일 협력 등 의견도"
    일본 매체 "방일 이재용, 메가뱅크 관계자 접촉…한일관계 악화 우려 발언"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초청 간담회에서 기업인들이 정부의 조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문 대통령과 대기업 총수·CEO 30명이 청와대에 모였다는 상징성을 갖지만, 발언 내용은 익명으로 공개됐다. 자칫 일본 정부를 더 자극할 거란 기업들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예정된 시간을 30분 넘겨 2시간 비공개로 간담회가 진행된 뒤 청와대 고민정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기업인들은 일본의 수출규제와 관련해 장·단기적 조치의 필요성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이어 기업인들은 "단기적으로 모든 조치를 다 하겠다", "중장기적으로도 일본의 이번 조치가 양국 경제협력에 도움이 안 된다는 점을 민간 차원에서 총력을 다해 설득하겠다"고 했다.

    또 "부품 국산화에 대한 정부 의지에 공감을 표하고 긴 호흡의 정부 지원을 당부했다"고 고 대변인이 전했다.

    정부 대책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한 차원이었지만, 기업인들의 깨알 의견도 제시됐다.

    수입선·조달망의 다각화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특히 "화학분야에 강점이 있는 러시아·독일 등과의 협력 확대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는 발언을 청와대 측은 소개했다.

    "단기간내 국내부품 소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전략부품 부분 인수합병(M&A)를 적극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거나, "부품 소재 등 위험이 큰 분야에 에 자금이 가지 않는다. 금융 문제를 획기적으로 풀어달라"는 당부도 있었다고 한다.

    (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이 "한국경제가 한단계 업그레이드되는 계기로 삼아달라"고 자리를 마무리하자 기업인들 역시 고개를 끄덕였지만, 묘책이 나온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보호무역주의나 무역분쟁 같은 불확실성이 짙어지고, 일본의 최근 수출 제한 조치까지 더해진 상황에서 이들이 한자리에 모였다는 것 자체가 위기의식의 표현이자, 대내외적 메시지이긴 하다.

    이날 청와대 간담회 대신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은 나흘째 일본 방문을 이어갔다.

    현지 체류 일정이나 활동을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는 식으로 강공 모드인 일본 정부를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재계나 금융권, 관련 업체 등을 물밑에서 접촉하며 사실상 '올인'하는 듯한 모습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셈이다.

    방일 기간 이 부회장의 동선으로 알려진 것은 일본 대형 은행 관계자 등과 만났다는 TV아사히 보도 등이다.

    이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한일관계가 더 악화할까 걱정이라는 발언을 했다고 한다.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장기화가 한국 내 대일 여론을 악화시켜 양국 모두 적지 않은 피해를 볼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 부회장이 접촉한 대형 은행이 삼성전자에 반도체 소재를 공급해오던 업체와 관계사라는 추정 등이 나오는 가운데, 정작 소재 공급사들과 직접 접촉을 했는지, 이 부회장이 어떤 성과를 안고 돌아올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