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국회 개원은 국민과의 약속, 협상·거래할 문제 아니다”



정치 일반

    “국회 개원은 국민과의 약속, 협상·거래할 문제 아니다”

    2, 4, 6월에는 조건 없이 열겠다 약속한 국회
    법이 있으나 없으나 똑같은 행태 보여
    개원 협상 둘러싼 싸움 20대 국회 가장 심해
    국회의원은 국민과 고용 계약 맺은 공무원
    대통령도 해임되는데 국회의원 안심할 사안 아냐
    내년 총선 긴장해야 할 것, 시민들 지켜본다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 방 송 : FM 98. 1 (18:15~19:55)
    ■ 방송일 : 2019년 6월 18일 (화요일) 
    ■ 진 행 : 정관용 (국민대 특임교수)
    ■ 출 연 : 서복경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 소장)


     


    ◇ 정관용> 국회 정상화 두고 각 정당 간 기싸움 계속되는 가운데 어제 오후에 전국에 570여 개 시민사회단체들이 더 이상은 못 참겠다 국회 파행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어요. 조건 없이 빨리 국회를 열어라. 이 시민사회의 목소리 들어봅니다. 참여연대의 의정감시센터 서복경 소장 안녕하세요. 

    ◆ 서복경> 네, 반갑습니다. 

    ◇ 정관용> 네. 기자회견 내용에 보니까 지금 국회에서 일어나는 일은 민주주의를 20년 정도 퇴행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쓰여 있던데 무슨 뜻입니까? 

    ◆ 서복경> 네. 지금 국회법에 따르면 2월, 4월, 6월 1일, 8월 16일에 임시회를 연다, 이렇게 되어 있거든요. 그런데 이 조항이 도입이 된 게 2000년입니다. 

    ◇ 정관용> 그렇죠. 

    ◆ 서복경> 그전에는 지금처럼 임시회를 여냐, 마냐로 정당들이 지금하고 똑같이 씨름을 했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입법심의나 예산심의가 제때 안 돼서 국민들이 불만이 컸어요. 

    ◇ 정관용> 맞아요. 

    ◆ 서복경> 그래서 2000년에 적어도 2월, 4월, 6월 1일에는 조건 없이 열겠다라고 국회가 약속을 한 건데요. 한 동안은 이 약속을 지기 위해서 국회가 노력을 했는데 점점 느슨해지더니 지금은 법이 있으나 없으나 똑같은 행태를 보이고 있는 거죠. 

    ◇ 정관용> 우리 참여연대 쪽에서 쭉 보시기에 지난 18대, 19대 국회에 비해서 20대 국회가 유독 좀 더 심합니까? 어떻습니까? 

    ◆ 서복경> 개원 협상을 둘러싸고 이렇게 늘어진 건 20대 국회가 가장 심한 상황입니다. 

    ◇ 정관용> 왜 그렇다고 보세요? 

    ◆ 서복경> 뭐 크게는 두 가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하나는 20대 국회가 촛불 이후 국회니까요. 쟁점들이 정당들 간에 굉장히 갈등적인 요소가 있기 때문에 협상이 어려운 점은 이해를 하겠는데 이 협상이 어려운 거하고 국회가 문을 여는 거하고는 상관이 없거든요. 그런 면에서 보면 국회 문 여는 거를 가지고 조건을 계속 걸고 있는 자유한국당 문제가 제일 크다고 저희는 보고 있고요. 그런데 다른 정당들도 일단 6월 20일 날 열리는 건 다행이기는 한데 6월 20일 날 개원을 하기로 했잖아요. 임시회를. 열리는 건 다행이긴 한데요. 

    ◇ 정관용> 제대로 열릴 지 몰라요. 아직도. 

    ◆ 서복경> 그러니까요. 그거는 미리 열어놓고, 문을 여는 건 국민들하고의 약속이지 당신들끼리 거래의 문제가 아니거든요. 

    ◇ 정관용> 그러니까 주된 책임은 자유한국당에 있다? 이건가요? 

    ◆ 서복경> 네. 당연히 개원 자체를 협상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게 지금 국회법 취지다. 

    ◇ 정관용> 그런데 국회를 부정하는 직무유기에 대해서는 여야 모두를 향해 사죄를 요구하셨더라고요. 

    ◆ 서복경> 그 문제죠. 이게 가장 근본적으로 보면 국회의원들은 국민들하고 4년 단위로 고용 계약을 맺은 임기자 공무원이지 않습니까? 

    ◇ 정관용> 당연하죠. 

    ◆ 서복경> 그럼 국회의원이 맺은 계약서에 해당하는 게 국회법입니다. 그 국회법에 2, 4, 6, 8월에 임시회를 하고 9월에 정기회를 한다, 이 조건으로 저희가 계약을 해 준 거거든요. 

    ◇ 정관용> 그러네요. 

    ◆ 서복경> 그런데 이 조건을 지금 안 지키고 있단 말이죠. 그러니까 이 조건을 가장 크게 안 지키고 있는 게 자유한국당이라는 점에서 책임이 크지만 다른 정당들 경우에도 사실 자유한국당이 안 연다고 해서 안 열 게 아니고 일단 열어서 회의는 했었어야 된다는 거죠. 

    ◇ 정관용> 그런 의미에서 세비 반납, 국민소환제 도입 이런 요구를 하고 계시지 않습니까? 

    ◆ 서복경> 네. 

    ◇ 정관용> 그런데 국민소환제 이거 가능할까요? 

    ◆ 서복경>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국민소환제 요구는 이면을 봐야 된다. 일단 선출만 되면, 선출해 준 국민들하고 계약 상황을 전혀 상관을 하지 않으니까. 4년 임기로 고용해 준 국민들이 우리 권리를 찾겠다 이런 고민인 거거든요. 

    ◇ 정관용> 그렇죠. 

    ◆ 서복경> 이게 국민들이 직접 나서서 권리 찾기를 하겠다는 요구이기 때문에 굉장히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되는 거고요. 제도라는 것 자체가 원래 의도대로만 작동하는 게 아니라서 국민 소환제를 만들려면 이게 이제 제대로 잘 만들어야 되는 문제가 있어서 지금은 제도를 어떻게 만들 것이냐 이런 문제 차원보다는 국민소환제 요구에 담겨져 있는 국민들의 의견에 대해서 국회의원들이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단계라고 봅니다. 

    ◇ 정관용> 그런데 아무리 좋은 내용을 담아도 입법권 자체가 국회에 있잖아요. 

    ◆ 서복경> 그렇죠. 

    ◇ 정관용> 국회의원들의 다수가 이거를 동의해야 법이 통과되는 거 아닙니까? 

    ◆ 서복경> 네. 

    ◇ 정관용> 자기들 목에 방울 다는 법 통과 시킬까요? 
    전국 570여 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정치개혁공동행동과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 지난 17일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국회 파행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서복경> 지금 이대로 간다면 사실 20대 국회가 잊어버린 게 있는데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민들이 나서서 해임권이 행사한 거지 않습니까? 

    ◇ 정관용> 그랬죠. 

    ◆ 서복경> 대통령 해임이 되는 게 지금의 정치 지형이거든요. 

    ◇ 정관용> 그렇죠. 

    ◆ 서복경> 그러니까 국회의원 분들이 선출만 되면 입법권은 우리가 가지고 있다라고 생각을 해서 안심할 사항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정관용> 그럼 어떤 일이 벌어질 수 있을까요? 지금 말씀이? 입법권은 국회에 있다, 그러나 안심하지 마라. 

    ◆ 서복경> 네. 내년에 총선이 있지 않습니까? 

    ◇ 정관용> 그렇죠. 

    ◆ 서복경> 그러니까 흔히 국회의원 분들이 착각하는 게 있는데요. 선거를 하고 나면 다음 선거까지는 완전히 까먹고 있다가 그다음 선거 되면 그때 보고 선택을 하는 줄 알거든요. 

    ◇ 정관용> 그렇죠. 그렇죠. 

    ◆ 서복경> 그렇지 않습니다. 4년 동안 잘한 거, 못한 거 다 쭉 모아서 선택을 하는 건데. 

    ◇ 정관용> 맞아요. 맞아요. 

    ◆ 서복경> 지금의 이 행위들이 내년의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좀 잘 생각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정관용> 네. 내년 총선 때 지금 국민소환제나 세비 반납 같은 이슈에 현역 의원들이 어떤 입장을 보이고 있는지 하나 하나 공개할 수 없을까요? 참여연대 같은 데서 앞장 서실 수 없으세요? 

    ◆ 서복경> 네. 참여연대에서는 매 선거 때마다 공약에 대한 비교 자료를 발간을 하고 있고요. 

    ◇ 정관용> 그렇죠. 

    ◆ 서복경> 정치개혁공동위원회에 있는 경제정치실천연합도 공개를 하고 있고 또는 바른사회시민회 이런 쪽에서도 정당 공약 검증을 하고 있거든요. 그런 정보들이 국회가 잘 돌아갈 때는 국민들이 관심이 좀 적은데요. 국회가 문제가 있다라고 생각을 하면 국민들이 그런 공약 비교 자료를 열심히 보십니다. 긴장을 많이 하셔야 될 상황인데 너무 느슨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 정관용> 그런데 특히 국민소환제 같은 거는 공약 사항에 넣기만 하고 아무런 움직임도 안 보이는 국회의원도 많잖아요. 

    ◆ 서복경> 그리고 사실 지금국민소환제 발의안이 나와 있긴 한데요. 

    ◇ 정관용> 그러니까요. 

    ◆ 서복경> 국민소환제 같은 경우는 안이 문제가 아니라 이게 의도대로 작동해야 되는 문제거든요. 

    ◇ 정관용> 물론이죠. 

    ◆ 서복경> 실제로 하려면 토론회도 많이 필요하고. 사실 지금 OECD 국가 중에서 국회의원 소환제하는 나라가 영국 딱 하나인데요. 영국에서 인원위가 나온 게 2009년에 영국에서도 정치가 크게 문제가 있었어요. 그래서 그때부터 논의해서 2015년에 간신히 들어왔거든요. 논의 기간이 굉장히 길어야 되는 안건입니다. 그런데 지금 상황이라면 세비반납 요구든 국민소환제 요구든 간에 당신들한테 맡겨서 이게 대책이 안 나온다고 판단을 하시는 거거든요. 

    ◇ 정관용> 그렇죠. 

    ◆ 서복경> 국민들이. 그런데 이런 요구가 이대로 간다먼 다음 총선에 반영이 안 될까, 저는 어떤 형태로든 여론에 반영이 될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총선 때 심판받을 것 두려워해라. 오늘 그 말씀이네요. 

    ◆ 서복경> 네, 그렇죠.

    ◇ 정관용>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서복경> 네, 들어가십시오. 

    ◇ 정관용> 참여연대 서복경 의정감시센터 소장이었습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