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하반기, 반도체·철강 회복전망 불투명…車·조선 호조"



기업/산업

    "하반기, 반도체·철강 회복전망 불투명…車·조선 호조"

    (사진=연합뉴스)

     

    반도체 경기가 높은 수준의 재고에 따라 하반기에도 부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7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2019년 하반기 산업전망 세미나'를 열고 조선·기계, 자동차·자동차부품, 반도체, 전자·전기, 철강, 석유화학 등 6개 주력 제조업과 건설업의 하반기 전망을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하반기 국내 주력 제조업 전망은 2강(자동차·조선), 2중(석유화학·전자), 2약(철강·반도체)이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반도체에서 D램은 데이터센터 서버용 수요는 다소 회복되겠지만 재고가 높은 수준이어서 가격 하락과 수출 감소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 대상으로 중국의 반독점 규제 적용 압박이 지속하는 점도 부정적으로 분석됐다.

    낸드플래시도 재고 과잉이고 삼성전자가 신성장동력으로 내세운 비메모리 분야는 내년 이후에나 실적 개선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철강은 원가상승으로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 브라질 베일 광산댐 붕괴사고와 호주 태풍으로 철광석 원료 가격이 급등했고 중국 조강 생산량 증가도 원가상승 압박 요인이다.

    전기전자는 미국 정부의 화웨이 거래제한 조치로 인해 통신망 설치 등 글로벌 5G 인프라 구축 지연이 우려된다. 단기적으로는 화웨이 스마트폰 수출 차질로 국내기업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석유제품은 정제 마진이 손익분기점보다 낮다. 수요확대 가능성은 낮고 공급은 미국 셰일 가스 생산량 증가 등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다만, 국제해사기구(IMO)가 유황 함유량이 낮은 선박용 연료유만 사용토록 하는 'IMO 2020' 환경규제 효과로 하반기 고부가가치 석유제품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조선은 구조조정이 원만히 마무리되면 실적개선이 기대된다. 액화천연가스(LNG) 수요 증가 등이 받쳐주고 있다. 기계는 중국 경기둔화로 시장 축소되고 있다.

    자동차는 내수와 미국 시장에서 호조가 예상되지만 중국에서 부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건설은 주택규제 영향으로 이연된 분양물량, 사회간접자본(SOC) 확대,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등의 호재로 전반적 호조가 예상된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