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노인 돌봄로봇 보급 확대" 산업부-복지부 협력 강화



기업/산업

    "노인 돌봄로봇 보급 확대" 산업부-복지부 협력 강화

     

    사람 대신 로봇이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돌봄 로봇' 보급에 정부가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보건복지부는 17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돌봄로봇 네트워크 포럼'을 열고, 돌봄로봇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당사자 간 소그룹 모임을 운영하는 한편 두 부처 협력 분야를 수술로봇, 재활로봇, 웨어러블 로봇 등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논의했다.

    우리나라는 2018년 이미 고령 사회에 진입했고, 오는 2026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가 넘는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 전망이다.

    이에 따라 고령층의 일상생활을 도울 수 있는 간호·간병 전문인력 수요가 늘고 있지만 높은 업무 강도로 구인난을 겪으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돌봄로봇 도입이 시급하다.

    하지만 중소 규모의 로봇 기업은 시장 판로를 개척하는데, 수요처는 로봇에 대한 이해 부족과 초기 투자비용 부담으로 로봇을 도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산업부는 포럼에서 돌봄로봇 기술개발, 돌봄로봇 5000대 보급과 함께 돌봄로봇이 현장에 빠르게 확산할 수 있게 렌털·리스 등 금융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기존 개발된 기기로 해결할 수 없었던 돌봄 관련 문제를 기술개발, 중개연구, 현장 실증, 제도개선 등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돌봄로봇 서비스모델 개발계획'(2019~2022년)을 소개했다.

    또 산업부와 복지부는 수술로봇, 재활로봇, 웨어러블 로봇까지 협력 분야를 늘리기로 했다. 현재는 욕창예방, 배설보조, 식사보조 등의 용도로 돌봄로봇을 활용하는 것에 협력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