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우즈베키스탄 진출 "농업·자동차·에너지·의료 분야 유망"



기업/산업

    우즈베키스탄 진출 "농업·자동차·에너지·의료 분야 유망"

    신북방정책의 주요 파트너인 우즈베키스탄 진출을 위해 국내기업이 관심을 가질만한 분야로 '농업, 자동차, 에너지 인프라, 의료'가 꼽혔다.

    15일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기업의 우즈베키스탄 진출방안 보고서'를 통해 우즈베키스탄의 경제여건과 정책변화를 분석하고 진출 유망분야를 제시했다.

    유망분야로는 우선 농업이 꼽혔다.

    우즈벡의 농업은 GDP 30%가량을 차지하는 기간산업이다. 현재 우즈벡 정부는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줄어든 '목화'를 대신해 '과일'로 재배품목을 다변화하는 중이다. 또 온실 재배를 장려하는 등 시설농업을 확대하고 있다.

    양국 정부는 '한-우즈벡 농기계 R&D센터'를 개소하는 등 농업분야 협력에 관심을 쏟고 있다.

    자동차 부품도 유망 분야로 분석됐다. 지난해 한국의 대우즈벡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약 8억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40% 수준이다.

    대한상의는 세계 수준의 기술력을 갖고 있는 국내 자동차부품 기업들의 우즈벡 진출이 유망하다고 전망했다.

    에너지 등의 인프라 건설도 유망분야다. 우즈벡은 세계 10위권의 천연가스 생산국이지만, 천연가스 의존도가 약 90%로 지나치게 높고 에너지효율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한국 고위공무원 출신을 차관으로 임명하고, 공공 의료 분야에서 양국 정부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보건의료 분야 협력 역시 유망하다. 해외에서 수입한 의료기기와 주요 의약품 관세를 면제하는 등 외투기업에 대한 혜택도 많은 점도 유리하다.

     


    대한상의는 우즈벡 진출 시 유의해야할 사항들도 언급했다.

    환율과 물가 변동을 고려해야 한다. 2017년 환율 단일화로 우즈벡 환율은 두 배 가량 오르며 물가가 상승중이다. 이는 소비자의 구매력 저하로 이어질 수도 있다.

    대한상의는 우즈벡이 '이중내륙국'으로 바다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적어도 다른 두 나라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높은 물류비용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세관에서 품목코드를 임의로 변경하거나, 신규 기기와 물품에 대해 추가적인 등록비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우즈벡 행정절차가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대비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 유럽기업을 중심으로 우즈벡 진출 증가로 인한 시장 경쟁 심화도 고려해야한다고 지적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우즈벡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19일 우즈벡 타슈켄트 우즈엑스포에서 '한-우즈벡 비즈니스 포럼'을 공동 개최할 예정이다. 대한상의는 지난 2014년과 2017년에도 포럼을 개최한 바 있다.

    이번 포럼에는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해,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 김영섭 LG CNS 사장, 임병연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안재현 SK건설 대표이사 등 자동차, 인프라, 의료, 농업분야 기업인 3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