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2주째 멈춰선 오산 버스…5월 전국 버스 대란 오나



사회 일반

    2주째 멈춰선 오산 버스…5월 전국 버스 대란 오나

    오산교통 노조 "주52시간 임금보전하라" 파업… 2주째 멈춰
    자동차노련 5월 총파업 예고… 내달 29일 쟁의조정신청하기로

    (사진=자료사진)

     

    경기도 오산에서 유일한 버스 업체가 파업에 들어간 지 벌써 2주일이 지나면서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는 가운데, 전국 노선버스 운전사들이 5월 총파업을 예고하고 나서 교통 대란이 우려된다.

    20일 오산시 등에 따르면 버스 업체인 '오산교통' 소속 운전사들은 "노동시간이 줄어드는 데 따른 임금 인상분이 적다"며 14일째 핸들을 놓고 있다.

    현재 오산교통 소속 버스 75대 중 60여 대가 운행을 중단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오산시는 전세버스 70∼80대를 투입했다.

    노조측은 다른 운수업체와의 급여 차이를 고려해 최저임금을 고려한 월 급여 33만원 인상(1인당 평균 52만원)과 상여금 600% 지급 등을 요구했으나 사측은 월 급여 33만원 정액 인상이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에 노조는 지난 7일 새벽 첫차부터 18개 노선에 대해 파업에 들어간 상태다.

    이런 가운데 전날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소속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자동차노련)은 다음 달 29일 전국 사업장에서 쟁의조정신청을 하기로 결의했으며, 조정이 결렬되면 5월 중순 '경고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자동차노련은 노선버스 운전사들이 속한 최대 단체다.

    자동차노련은 주 52시간제 적용으로 줄어들 임금에 대한 보존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법 개정으로 노선버스가 노동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는 특례업종에서 빠지면서, 오는 7월부터는 300인 이상 버스업체의 운전사들은 주 52시간 이상 일할 수 없다.

    노선버스 업계에 주 52시간제를 적용하면 현재 16∼18시간 운행 뒤 하루 쉬는 격일제 근무가 하루 8∼9시간 교대제로 바뀔 수밖에 없다. 현행법상 하루 12시간 이상은 일할 수 없게 돼 있다.

    이에 근로시간 감소에 따라 임금도 평균 10~20% 정도 줄어들 것으로 자동차노련은 우려하고 있다.

    한국운수산업연구원에 따르면 버스 운전사의 월평균 임금은 354만 원이다. 이 중 기본급은 49%가량이며 나머지는 연장근무 수당으로, 근로시간이 줄면 이 수당도 줄 수밖에 없다.

    자동차노련은 "버스 업계가 정상화하려면 주 52시간제나 연장자 버스 요금 할인, 환승 할인 등 정책 사업으로 인한 운영 손실금은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정부는 이달부터 시외버스는 평균 10.7%, 광역급행버스는 평균 12.2% 요금을 인상했다. 이를 통해 버스업계 경영 상황과 운전사의 근로여건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