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배터리 몽니탓에 LG화학이 지난해 글로벌 순위는 겨우 지켰지만 점유율은 하락했고 삼성SDI는 순위와 점유율 모두 하락했다.
9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2018년 연간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중국의 CATL이 2위인 일본 파나소닉을 제치고 2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LG화학은 4위, 삼성SDI는 8위를 기록했고 SK이노베이션은 16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연간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약 97GWh로 전년 대비 64.0% 급증한 가운데 LG화학은 약 7.4GWh로 전년 대비 46.8% 성장하면서 CATL, 파나소닉, BYD에 이어 전년과 같은 4위를 유지했다.
다만 LG화학은 순위는 겨우 4위를 지켰지만 점유율은 2018년 8.5%에서 7.6%로 0.9% 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1위인 중국 CATL이 점유율 18.2%에서 21.9%로 3% 포인트 가까이 늘어나고 3위인 BYD역시 10.8%에서 12.0%로 1.2%포인트 상승한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삼성SDI는 약 3.0GWh, 성장률 28.0%로 시장 평균을 크게 밑돌아 순위가 전년 5위에서 8위로 세 계단 하락했다.
점유율 역시 3.9%에서 지난해 3.1% 0.8% 포인트나 떨어졌다.
이는 2017년에는 삼성SDI보다 아래 순위에 있언 중국계인 AESC나 Farasis,Guoxuan의 점유율이 각각 0.8% 포인트와 2.4% 포인트, 0.1%포인트씩 늘어난 것과는 다른 움직임이다.
이렇게 전기차용 베터리 사용량이 64%나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최대 전기차 배터리 시장인 중국에서 LG화학과 삼성SDI가 고전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은 이른바 배터리굴기를 선언하면서 중국 난징과 시안에 대규모 공장을 지은 LG화학과 삼성SDI가 생산한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은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법으로 발목을 잡아왔다.
전기차는 배터리 가격이 전체 차량가격의 1/3 이상이기 때문에 정부의 보조금이 없이는 휘발유차나 경유차와 같은 일반 내연기관 차량과 비교해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