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차갑게 식는 글로벌 부동산시장 '빨간불'



미국/중남미

    차갑게 식는 글로벌 부동산시장 '빨간불'

    블룸버그 "부동산 거품이 올해 가장 저평가된 리스크"
    "글로벌 부동산 둔화가 홍콩, 싱가포르, 호주 시드니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번져"

    (사진=스마트이미지)

     

    미·중 무역분쟁과 미국 긴축 우려,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사상 최대 부채 등 세계 경제에 위험요인이 산적한 가운데, 숨어 있는 진짜 리스크는 글로벌 부동산거품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17년 세계 주택가격이 세계 금융위기 직전 수준을 넘어설 만큼 천정부지로 치솟았으나 지난해부터 경기둔화 우려 속에 상승세가 눈에 띄게 둔화했으며 차이나머니를 등에 업고 고공행진 하던 주요 대도시를 중심으로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00년을 기준(100)으로 한 글로벌 주택가격 지수는 2017년 3분기 159.7로,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가 촉발한 세계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1분기의 최고치(159.0)를 넘어섰다. 이 지수는 2017년 4분기에 160.1로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36개 회원국 가운데 16개국에서 2017년 주택가격지수가 전년 대비 하락하거나 상승세가 둔화했으며, 지난해 2분기 상승률이 전분기보다 둔화한 곳은 20개국에 달했다.

    캐나다는 주택가격지수 상승률이 2017년 3.6%에서 지난해 1~3분기 각각 2.7%, 1.1%, 0.4%로 둔화세가 뚜렷했고, 영국도 2016년 7.0%에 이르렀던 상승률이 2017년 4.5%로 둔화한 데 이어 지난해 1, 2분기에 4.2%, 3.2%로 떨어졌다. 우리나라도 2017년 1.5%에서 지난해 2, 3분기에 1.4%, 1.2%로 상승세가 둔화했다.

    주택가격지수가 하락한 국가도 있다. 지난해 2분기 스웨덴의 주택가격지수는 전년 동기보다 1.7% 하락했으며 호주와 이탈리아에서 각각 0.6%, 0.2% 내렸다.

    최근 블룸버그통신은 캐나다 밴쿠버, 영국 런던에서 투자자들을 떨게 한 글로벌 부동산 둔화가 홍콩, 싱가포르, 호주 시드니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번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홍콩 부동산업체 센탈린(中原地産代理)에 따르면, 홍콩의 집값은 지난해 8월부터 13주 연속으로 떨어졌는데 이는 2008년 이후 최장기 하락이다.

    글로벌 부동산 정보업체 JJL에 따르면, 중국 개발업체들의 홍콩 주거용 부동산 입찰 성공률은 2017년 70%에서 지난해 27%로 하락했다. 싱가포르의 집값은 지난해 4분기에 6분기 만에 첫 하락을 기록했다.

    OECD 국가별 주택가격지수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 (자료=OECD/연합뉴스)

     

    부동산 정보분석 업체인 코어로직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시드니 평균 집값은 2017년 정점보다 11% 넘게 떨어졌다. 여전히 2012년 수준보다는 60%가량 높지만, 전문가들은 10% 추가 하락을 전망하고 있다.

    중국 상하이도 지난해 4분기 주택 판매가 전분기보다 33%나 감소했으며, 기존 주택가격도 3.8% 하락해 지난해 3분기(-1.5%)보다 하락폭이 컸다.

    스위스 은행 UBS는 지난해 9월 내놓은 보고서에서 홍콩과 뮌헨, 토론토, 밴쿠버, 암스테르담, 런던이 부동산거품 리스크가 가장 큰 도시라고 분석하면서, 지난 5년간 주요 도시 평균 집값 상승률이 35%에 달해 '구매 가능성(affordability) 위기'를 불러왔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부동산거품이 2019년의 가장 저평가된 리스크일 수 있다"며 "주요국에서 역대 최고 수준 가격, 구매력에 비해 비싼 집값, 과잉 공급, 타이트해진 금융여건, 중국 등 외국 수요 둔화 가능성 등 우려스러운 징후는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요 선진국 실업률이 낮아지고 임금은 올라가고 있지만, 수년간 부동산 가격의 상승세가 임금 상승 속도를 훨씬 앞질렀으며, 외국인 수요가 둔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