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김병준 "청와대, 뒤로 민간사찰…내로남불"



국회/정당

    김병준 "청와대, 뒤로 민간사찰…내로남불"

    나경원도 가세…“우윤근 비리 의혹, 운영위 소집해 임종석‧조국에 따질 것”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

     

    자유한국당의 ‘투톱’은 17일 최근 청와대 민정수석실 산하 특별감찰반(특감반)을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집중포화를 가했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특감반 ‘비위 의혹’으로 검찰에서 감찰 조사를 받고 있는 김태우 검찰 수사관이 한 언론에 보냈다는 문건을 문제 삼았다. 해당 문건에 대해 김 수사관은 특감반원 시절 자신이 작성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특감반이 정상적 고위공직자 감찰을 넘어서 민간인인 전직 총리의 아들, 민간인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수집했다고 보도됐다”며 “보도가 맞는다면 이것은 명백한 민간인 사찰”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과거 박근혜 정부에서 역시 ‘청와대 문건 유출’이 있었던 박관천 사건을 거론하며, “(당시 민주당이) 국기문란이라고 주장했고, (문 대통령은) 대통령 후보 시절 불법 사찰을 막겠다고 했다”며 “정권의 위선적인 태도가 도를 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뒤로는 청와대 감찰반인 민간인을 사찰하면서 새로운 적폐를 쌓아 가는데, 내로남불(내가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아니냐”며 “청와대는 자꾸 국정조가 거리를 늘리지 말라”고 경고했다.

    김 위원장의 주장은 김 수사관의 주장이 사실일 경우를 전제로 청와대가 월권, 권력남용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감반은 고위 공직자와 공공기관·단체의 장(長) 및 임원, 대통령 친·인척 등에 한정해 비리 관련 감찰 활동을 하도록 돼 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연이은 폭로의 배경 격인 우윤근 러시아대사 ‘비리’ 의혹을 걸고 넘어졌다. 나 원내대표는 “청와대는 2015년 검찰 조사를 이유로 이 부분(우 대사의 금품 수수 및 반환 의혹)이 터무니 없다고 한다. 그러나 우 대사의 측근이 1000만원을 반환한 것은 2016년의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이 (우윤근 건에 대해) 보고받은 적이 없다고 차단했다”며 “그러나 우 대사의 인터뷰를 보면 러시아 대사 임명 당시 이 문제에 대한 질문을 받았고 문제가 없었다고 했다”고 거론했다. 임 실장이 보고받지 않았다는 해명에도 불구하고, 해당 사건을 인지하고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 제기다.

    나 원내대표는 이 같은 의혹을 토대로 “임 실장은 책임 있게 얘기해야 한다. 조국 민정수석 역시 명백히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 차원에서 청와대의 ‘국기문란’으로 규정하겠다며, 청와대 소관 상임위인 국회 운영위원회를 소집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