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당신네 도로는 중하고, 한부모 아이들은 안중합니까?"



사회 일반

    "당신네 도로는 중하고, 한부모 아이들은 안중합니까?"

    "송의원, 한부모 실태 전혀 몰라 화나"
    돌봄 예산? "저소득 한부모층만 지원"
    한부모가정, 친인척과 틀어진 경우 多
    힘든 점? "한부모 편견 아직 존재해"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전영순(한국한부모연합 대표)

    저희가 며칠 전 행간에서도 다룬 적이 있습니다. 한부모 가정 지원 예산 삭감 논란. 그러니까 한 부모 가정 아이들에 대한 복지 예산이 61억 원 새롭게 신설이 됐는데 이걸 자유한국당 송언석 의원이 '안 된다. 전액 삭감하자' 하면서 논란이 빚어졌던 거죠.

    그런데 송 의원 지역구 김천에는 800억 원 넘는 건설 예산을 송 의원이 챙긴 것으로 알려지면서 급기야는 사과를 했습니다. 사과로 일단락이 되기는 했습니다마는 이번 소동을 본 한부모 가정들은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다고 합니다. 들어보죠. 한국한부모연합의 전영순 대표 연결이 돼 있습니다. 대표님, 안녕하세요?

    ◆ 전영순> 안녕하세요.

    ◇ 김현정> 대표님도 당연히 한부모 가정이신 거죠?

    ◆ 전영순> 네, 맞습니다.

    ◇ 김현정> 그렇죠. 그런 분들의 모임인 건데. 이번 논란을 본 소감은요?

    ◆ 전영순> 한부모 시설 아이 돌봄 예산을 무턱대고 삭감하겠다고 했거든요. 그 이야기를 보면서 출산 주도 성장을 외쳐온 자유한국당은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나라는 그런 생각이 들었고요. 사실 들여다보니까 자기 지역구에는 800억이라는 큰 예산을 책정을 했더라고요. 이건 너무 개인 지역구에 국한된 예산에만 집중을 하고 정말 혼자서 아이 키우는 그런 한부모들의 삶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을 갖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 저희들은 굉장히 화가 나고요. 또 하나는 아이 돌봄 예산은 국가가 책임져야 하는 아동 생존권의 문제이자 당연한 의무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마치 한부모 가정을 불쌍한 존재로 낙인찍고 또 선처를 베푸는 듯한 그런 정치인들 태도에도 화가 많이 났어요.

    ◇ 김현정> '출산율 중요하다, 중요하다' 하면서 이런 모순된 행동을 하는 것에도 화가 났고.

    ◆ 전영순> 그렇죠.

    ◇ 김현정> 선처 베푸는 듯한 태도, 뭔가 선심 쓰듯. 말하자면 길거리의 노숙자한테 한 푼 주듯 이런 기분 나쁜 느낌?

    ◆ 전영순> 불쌍한 사람들 도와주는 듯한. 이런 것들 때문에 한부모들이 이렇게 도움받는 불쌍한 존재인가. 왜들 그렇게 비쳐지지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됐죠.

    ◇ 김현정> 그런데 송원석 의원은 기재부 차관 출신입니다. 송 의원 말은 이거였어요. '한부모 가정의 문제까지 왜 국가가 다 책임을 져야 하는가.' 일부에서는 또 이런 얘기도 해요. '이혼이든 사별이든 미혼모, 미혼부든 간에 한부모라고 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것도 아닌데 왜 한부모에게만 복지 혜택 61억 원을 줘야 되는가.' 이런 얘기들도 하셨거든요. 어떻습니까?

    ◆ 전영순> 사실 정부가 지원하는 한부모 예산은 한부모 전부에게 지원하는 거 전혀 없습니다. 극히 일부 저소득 한부모에게만 만들어진 예산이고요. 정부가 모든 한부모들을 다 지원하고 돕는다. 그건 좀 잘못 알고 계신 것 같아요.

    ◇ 김현정> 그러면 이번 예산안이 정확히 어디에 목적이 설정돼 있습니까?

    ◆ 전영순> 이번 예산은요. 한부모 복지 시설이라고 있습니다.

    ◇ 김현정> 한부모 복지 시설?

    ◆ 전영순> 모자 가족이라든가 부자 가족, 또 미혼 모자 가족이 안정된 환경에서 자립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일시 주거 시설이 있거든요. 그 주거 시설이 전국에 125개가 있습니다. 그 시설의 아이 돌봄을 지원하겠다는 것이지 모든 한부모들에게 소득에 상관없이 모두에게 지원하겠다는 건 아니에요.

    ◇ 김현정> 한부모 복지 시설이 지금 일시적인 주거 시설? 생활 보호소 같은 거라는 말씀이에요?

    ◆ 전영순> 그렇죠.

    ◇ 김현정> 가면 어떻게 모자 가정 혹은 부자 가정들한테 방을 하나씩 주는 겁니까? 어떤 식으로 보호가 되는 거죠?

    ◆ 전영순> 그게 여러 가지 유형이 있는데요. 아이와 엄마가 같이 생활하는 생활 시설. 방과 숙식을 해결하는, 살아갈 수 있는 주거 시설이에요. 여기는 이제 엄마와 살 수 있는 시설 또 아빠와 아이들이 살아가는 시설. 이렇게 나눠져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러면 부모가 없는 아이들은 보육원에서 돌보고 있잖아요.

    ◆ 전영순> 그렇죠.

     

    ◇ 김현정> 이곳은 말하자면 엄마와 아빠와 함께 들어와 있는 그런 생활 보호 시설. 이렇게 생각하면 돼요?

    ◆ 전영순> 그렇죠. 가족이 생활하는 시설이라고 보시면 돼요.

    ◇ 김현정> 알겠습니다. 그 시설에 아이 돌봄 서비스를 하는 데 61억을 배정한다. 이건 뭡니까? 이미 시설은 있는데.

    ◆ 전영순> 시설에 살아가는 엄마들이 늦게까지 일을 하거나 아니면 또 직업 훈련을 받거나 이런 분들이 있는데요. 그런 분들이 늦게 퇴근하거나 했을 때 아이 돌봄에 공백이 생긴다는 겁니다. 그래서 그 시설에 2명씩 돌봄 인력을 파견하겠다는 이야기고요.

    ◇ 김현정> 그러면 그 시설에 이미 있는 인력들로는 거기까지는 해결이 안 되는 건가요?

    ◆ 전영순> 네. 돌봄 인력은 지금 현재 없다고 알고 있어요.

    ◇ 김현정> 그러니까 밥해 주시는 분, 청소하는 분, 관리하시는 분은 있지만.

    ◆ 전영순> 아니, 밥은 직접 알아서 자기들이 밥을 직접 해 먹어요. 행정 인력만 있는거죠.

    ◇ 김현정> 다 알아서. 그냥 주거만 돕는 거군요. 아, 행정 인력만 있는 거예요.

    ◆ 전영순> 그렇죠. 그래서 필요한 경우에 외부에서 신청을 해서 돌봄자를 활용을 한다고 하는데 이게 많이 부족하다는 거죠.

    ◇ 김현정> 그렇군요. 그러니까 생활 보호 시설이라고 해서 저는 어떤 보육원의 확장판. 그러니까 생활을 도와주는 인력까지 다 있는 건 줄 알았는데 그런 게 아니에요.

    ◆ 전영순> 각자 알아서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는 곳이라고 보시면 돼요.

    ◇ 김현정> 거기에 아이 돌봄 인력을 넣어서 엄마나 아빠가 자립하기 위해서 나가서 일할 때 그 미성년 아이들, 그 어린아이들을 누가 돌봐야 되잖아요. 그 인력을 넣자는 데 61억 원을 쓴다는 거군요.

    ◆ 전영순> 네.

    ◇ 김현정> 이렇게 다 이해를 하고 나면 그게 꼭 필요한 돈이구나라는 걸 알았을 텐데.

    ◆ 전영순> 그렇죠.

    ◇ 김현정> 알겠습니다.

    ◆ 전영순> 저는 이번에 시설에 이 예산을 책정하겠다고 했는데 사실 저희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는 시설에 있는 전체 한부모 가구의 1% 밖에 되지 않는 걸로 알고 있고요. 이제 시설에 있지 않은 일반 삶을 살아가는 그걸 '재가 한부모'라고 얘기합니다. 그 재가 한부모의 돌봄에 대해서는 우리가 지금 전혀 이야기하고 있지 않다는 것에 대해서 저는 좀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그래서 시설에 있든 있지 않든 모든 아이들이 돌봄에 공백이 없도록 하려면 여기에 대한 이야기도 좀 우리가 나와야 되겠다고 생각을 하는 거죠.

    ◇ 김현정> 그런데 한부모만 어려운 게 아니라 사실은 맞벌이 가정들도 애 맡길 데 없는 건 똑같고 전전긍긍하고 부모들이 도와주느니 어린이집 맡기느니 고생하는 건 마찬가지인데 한부모만 신경 써야 되느냐 또 이렇게 반문하시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어요.

     

    ◆ 전영순> 한부모나 미혼모들은 원가족과의 관계가 좋지 않은 경우가 있어요. 그래서 부모님의 도움을 받지 못해서 그냥 혼자서 모든 책임을 지는 경우가 되게 많다는 겁니다.

    ◇ 김현정> 미혼모, 미혼부인 특히 그런 경우에 대해서는 친인척들과의 가족 관계가 끊어진 경우가 많아요?

    ◆ 전영순> 끊어졌거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고요. 그래서 전적으로 혼자 모든 걸 하다 보니까 더 큰 어려움이 있다는 걸 좀 아셨으면 좋겠어요.

    ◇ 김현정> 그래요. 지금 출산율 올리자고 출산수당을 2000만 원 주자는 안까지 한국당에서 사실은 냈던 그 정도 상황이라면 이미 낳은 아이들. 한부모 가정의 아이들을 어떻게 잘 키울 것인가. 이 부분 중요한 문제네요. 이런 반론도 들어왔어요. 사별로 한부모가 된 경우 아니면 상대 부모한테 양육비 다 받지 않습니까? 이거는 어때요?

    ◆ 전영순> 양육비요. 2012년 한부모 가정 실태 조사를 보면요. (전체 한부모가정의) 83%는 양육비를 전혀 못 받고 있는 걸로 나타났거든요.

    ◇ 김현정> 83%가요?

    ◆ 전영순> 네. 그렇다면 양육비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는 거예요. 부모의 책임이 되고 있지 않다는 거잖아요. 그래서 저희는 비양육자에게 운전면허 취소라든지 여권 발급 정지 같은 이런 강제 조항이 필요하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 김현정> 지금은 강제 조항 전혀 없어요, 양육비 안 줘도?

    ◆ 전영순> 지금은 없고요. 감치라는 게 있기는 하지만 또 막 도망다니고 그러면 어떻게 할 수가 없다고 해요. 그래서 좀 더 생활에 불편을 주는 그런 운전을 못 하게 한다든지 외국 출국을 못 하게 한다든지 이런 방식이 좀 더 확실한 대책이라고 저는 생각을 해요.

    ◇ 김현정> 알겠습니다. 나오신 김에 대표님, 한부모 가정을 꾸리면서 경제적인 거 외에 제일 힘든 건 뭐예요?

    ◆ 전영순> 저희가 생활에 깔려 있는 게 저는 편견이 아닐까라고 생각을 해요.

    ◇ 김현정> 지금도 그래요? 사실 많이 나아지지 않았어요? 이제 이혼 가정이라든지 뭐 이런…

    ◆ 전영순> 많은 사람들이 '옛날보다 나아지지 않았어' 라고 이야기를 합니다만 일상적으로 '한부모 가정에는 뭔가 부족할 것이다.' '뭔가 좀 비정상이다'라는 이런 생각을 많이 깔고 있어요. 그래서 직장이나 학교 이런 관공서에서 일상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그런 상황들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김현정> 예를 들면 어떤 상황에서 제일…

    ◆ 전영순> 학교 교실에서 만약에 도난 사건이 생겼다. 그러면 한부모 가정 아이를 먼저 이렇게 의심하는 그런 것들이 있다고 해요. 왜냐하면 한부모 가정인 경우에는 엄마가 늦게까지 일을 하거나 아이 돌봄이 잘 안 되는 경우가 있단 말이에요. 그러면 어딘지 모르게 애가 준비나 이런 것들이 허술하고, 이런 것들이 보일 때 '쟤가 가져가지 않았나' 하는 그런 눈초리로 본다라는 거죠. 그래서 왕따를 당하는 경우도 있고요. 지속적인 폭력에 시달리는 경우도 있고요.

    ◇ 김현정> 우리 사회가 세심한 배려가 없다는 생각이 드네요.

    ◆ 전영순> 그렇죠.

    ◇ 김현정>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말씀을 듣겠습니다. 대표님, 고맙습니다.

    ◆ 전영순>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한국한부모연합의 전영순 대표였습니다. (속기=한국스마트속기협회)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