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남북 오늘부터 한강하구 공동수로조사…선박 6척 투입



국방/외교

    남북 오늘부터 한강하구 공동수로조사…선박 6척 투입

    한강하구 수로조사, 1953년 정전협정 이후 65년만에 처음
    국방부 "한강하구 평화의 장소로 탈바꿈하게 될 것"

    지난달 28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제10차 남북장성급군사회담'을 마친 남측 수석대표인 김도균 국방부 대북정책관(육군 소장·왼쪽)과 북측 수석대표인 안익산 육군 중장이 악수하고 있다. 이날 한강(임진강)하구 공동이용과 관련, 11월 초 공동수로 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사진-공동취재단/자료사진)

     

    남북이 5일부터 군사분야 합의에 따라 한강·임진강 하구 공동 이용을 위한 수로 조사에 착수한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남북은 지난달 맺은 9·19 군사합의안을 통해 공동이용수역을 남측 김포반도 동북쪽 끝점으로부터 교동도 서남쪽 끝점까지, 북측 개성시 판문군 임한리부터 황해남도 연안군 해남리까지 70km 수역으로 정했다.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에서의 남북 공동수로조사는 1953년 정전협정 이후 65년 만에 최초로 시행되는 조치다.

    한강하구는 군사분계선이 존재하지 않아 우발적 충돌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이 조치를 통해 한강하구가 평화의 장소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라고 국방부는 밝혔다.

    한강하구는 정전협정에 따라 남북한 민간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을 허용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민감수역’으로 관리되어 민간선박의 자유항행 자체가 제한됐다.

    이에 따라 수로측량 등 기초 조사와 해도제작 등 항해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없었다.

    남북군사당국은 ‘9·19군사합의’를 통해 한강하구에서의 민간선박 자유항행에 대한 군사적 보장을 합의했으며, ‘제10차 장성급군사회담’을 통해 남북공동조사단 구성 및 공동수로조사 시행을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남북은 軍관계자 및 수로전문가가 포함된 공동조사단을 남북 각각 10명으로 편성해 5일부터 공동 수로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수로조사는 음향을 이용해 선박에서 강바닥까지의 깊이를 측정한 후 조석에 의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바닷물 높이를 측정해 선박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수심을 알아내는 것이다.

    ‘남북 공동수로조사’를 위해 우리측 조사선박 6척이 현장에 투입될 예정으로 ‘남북 공동조사단 관련 인원들이 공동으로 승선해 현장조사를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국방부는 전했다.

    공동수로조사는 12월말까지 모든 현장조사를 마무리하기 위해 전체조사 해역을 A, B, C 3개 구역으로 나누어 실시된다.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수로조사가 완료되면 민간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항행정보(해도)가 제공된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