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남북 씨름 인류무형유산 등재, 12월 전에 더 빨리 될 수도"



스포츠일반

    "남북 씨름 인류무형유산 등재, 12월 전에 더 빨리 될 수도"


    단오, 추석마다 행해진 전통문화놀이
    우리와 달리 상하의 다 입고 경기
    北주민들은 지금도 명절 씨름 즐겨
    "평양 친선경기요? 이제 전 나이가.."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 방 송 : FM 98.1 (18:30~19:55)
    ■ 방송일 : 2018년 10월 30일 (화)
    ■ 진 행 : 정관용 (국민대 특임교수)
    ■ 출 연 : 이만기 (인제대 교수, 전 씨름선수)

     

    ◇ 정관용> 우리의 전통씨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것이 거의 확실해졌답니다. 유네스코 무형문화위원회 산하의 평가기구가 등재 권고결정을 내렸고요. 등재 권고 결정이 내려지면 조금 지나서 땅땅땅 두들기기만 하면 되는 그런 모양입니다. 북한이 별도로 신청한 건에 대해서도 똑같은 등재 권고 결정이 내려져서 남북한의 씨름이 공동으로 등재될 가능성도 높아졌다고 그래요. 씨름 하면 떠오르는 분 인제대학교 이만기 교수 연결해 봅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 이만기>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

    ◇ 정관용> 우리가 유네스코 측에 신청한 거죠,그러니까?

    ◆ 이만기> 그렇죠. 지난 2014년도에 저희들이 대한씨름협회하고 문화재청이 같이 공동으로 해서 신청을 해버렸습니다. 그래서 2016년도에 공식적으로 서류가 제출이 돼서 그렇게 된 거죠.

    ◇ 정관용> 북한은 언제 신청했답니까?

    ◆ 이만기> 북한은 종전에 한 번 했다가 남자들만 하는 경기라고 해서 다시 이제 권고사항에서 안 내려졌고요. 그래서 이번에 다시 같이 아마 북한에 신청을 하고 저희도 해서 권고가 내려졌던 것 같습니다.

    ◇ 정관용> 유네스코는 뭐라고 하면서 이건 충분히 등재될 만하다라고 판단을 내린 겁니까? 어떤 점을 높이 산 거예요?

    ◆ 이만기> 아무래도 한국 우리나라 씨름 하면 정말 세시풍속, 전통문화놀이이지 않습니까? 옛날서부터 윗대 옛날 조상님들 선조 때부터 정말 씨름하면 단오나 추석 이런 큰 경사에서 늘 씨름이 행해져 왔고 이런 여러 가지 문헌을 통해서도 해화나 그림이나 김홍도 선생님 그림이나 이런 여러 가지 역사성을 놓고 봤을 때 명확하게 국민들 속에 영원히 이렇게 같이 전승되고 왔다는 그런 평가가 이번에 제대로 내려졌던 것 같아요.

    ◇ 정관용> 남과 북의 지금 현재 씨름이 사실 똑같습니까? 조금 달라져 있습니까?

    ◆ 이만기> 좀 다릅니다. 저희들하고 옛날에 나윤출 선배님이라고 하시는 분이 북한을 가서 씨름을 다시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됐었는데요. 지금 씨름은 똑같습니다. 샅바 차는 것도 똑같은데 약간 룰이 좀 다르고요. 그다음에 명칭이 아무래도 언어상의 그런 관계가 있다 보니까 좀 남북한의 언어가 다르겠고 그다음에 저희들은 팬티 하나만 입고 하는 데 비해서 북한은 아래 위로 옷을 다 입고 그렇게 경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체급도 아무래도 저희들 대한민국이 좀 체중이 많이 나가고 덩치가 크다 보니까 그런 체중에서 오는 차이, 등급의 차이 이런 건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하는 기술들은 거의 다 지금 현재 저희들 씨름도 약 5가지 유형이 있었는데요. 옛날에 왼씨름, 오른씨름, 띠씨름, 바씨름, 통씨름 이렇게 있었는데 지금 북한에서도 옛날에 호남 지방에서 썼던 왼씨름, 왼씨름이 좀 통일이 돼서 북한에도 왼씨름으로 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그걸 왼씨름이라고 하는 게 왜 그런 거예요? 왼쪽을 어디에다가 잡는다. 이런 겁니까?

    ◆ 이만기> 상대방 왼쪽으로 내가 머리가 간다고 해서 왼씨름이 된 거죠.

    ◇ 정관용> 지금 우리 한국에서 하는 씨름대회 룰도 왼씨름인 거죠?

    ◆ 이만기> 지금 왼씨름입니다.

    ◇ 정관용> 그렇죠.

    ◆ 이만기> 왼쪽 씨름이라고 해서 왼샅바가다리 샅바가 되고 축이 되고 해서 왼씨름으로통일돼서 지금 아마 1927년도 전조선체육대회를 하면서 그때 씨름이 왼씨름으로 통일이 되고 해서 지금까지 전래돼 오고 있습니다.

    씨름 경기 장면(노컷뉴스 자료사진) (한대욱 기자)

     

    ◇ 정관용> 아까 체급이라든지 명칭, 룰에 조금 차이가 있다고 하셨습니다마는 그러나 씨름의 기본적인 운동하는 방법 이거는 남북한이 같군요. 복장은 좀 다를 수 있지만, 그렇죠?

    ◆ 이만기> 복장은 저희들은 위에 팬티를 입고 옷을 안 입는 데 비해서 북한은 위에 옷을 입고 모란봉경기장 같은 데 거기에서 아마 씨름경기가 크게 성행이 되고 있는데 1960년대, 70년대 이때도 1등 할 때는 황소를 줬지 않습니까. 지금도 북한 7년 전 이때 씨름한 경기를 보면 그런 경기장에서 할 때 황소를 줬고 또 황소에다가 좀 더 아마 북한 주민들 씨름을 더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황금으로 된 방울 있지 않습니까. 방울을 소의 목에 걸어서 같이 이렇게 시상하는 것을 보고 그렇게 했는데 아마 씨름이 한국에도 그때 당시 참 인기가 있었지만 지금도 북한에는 명절의 단오 때 특히 단오 때 경기하는 모습을 보면 굉장히 많은 평양 시민들, 북한 주민들이 씨름을 즐기고 있습니다.

    ◇ 정관용> 지금 현 시점으로 놓고 보면 우리 이만기 교수가 전성기 달리실 때 정말 대한민국은 씨름으로 들끓었던 때인데 요즘 그때에 비하면 조금 인기가 식었잖아요.

    ◆ 이만기> 그렇죠. 지금 우리 씨름이 1983년도에 첫 천하장사가 배출이 돼서 한 15년, 20년 정도 많은 국민들 속에서 사랑을 받고 있다가 시대가 급변하면서 많은 세상이 바뀌었지 않습니까. 그러다 보니까 스포츠도 바뀌게 되고 문화도 환경도 다 바뀌는 그런 시대 속에 살아오면서 씨름이 미래를 준비하지 못했던 것 같고요. 그리고 또 우리 국민들 그냥 나이 많으신 우리 아버님, 어머님들만 생각을 하고 계속 오다가 젊은 세대들로 교체할 수 있는 그 세대간의 교체할 수 있는 그런 어떤 전략적 정책이라든지 어떤 씨름 경기기술 또 이런 것들을 좀 개발을 못하고 그냥 했었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우리 젊은 분들한테 외면을 당하지 않았던가. 특히 프로야구나, 축구 워낙 외국에 있는 스포츠들이 들어오고 또 80년도 올림픽 이후에 생활스포츠가 많이 활성화됐지 않습니까.

    ◇ 정관용> 맞아요.

    ◆ 이만기> 그러다 보니까 생활스포츠로 빨리 자리매김을 못했던 것 이런 여러 가지 원인들이 아마 씨름을 다시 태울 수 있는 그런계기가 됐던 것 같아요.

    ◇ 정관용> 이번에 무형문화재로 되는 계기로 다시 씨름이 인기를 끌었으면 좋겠고 이만기 교수 선수 시절에 북한 가서 북한 선수들하고 경기해 보거나 이런 경험은 전혀 없으신 거죠?

    ◆ 이만기> 제가 한 번 성사를 시키려고 저희들이 북한 선수단이 제 기억으로는 95~96년도쯤인가 제주도에서 한번 생활축전대회를 할 적에 그때 북한 선수들이 한번 와서 저희 아마추어 선수들하고 경기를 한 적 있습니다.

    ◇ 정관용> 그래요?

    ◆ 이만기> 있는데 워낙 그다음에 저희들이 프로선수들하고 한번 북한 씨름하고 교류를 하려고 그때 아마 노무현 정부 시절인 것 같습니다.

    이만기 인제대 교수 (사진=자료사진)

     

    ◇ 정관용> 그러면 2002년 이후가 되는데 2003년.

    ◆ 이만기> 그때 저희들이 아마 파견을 해서 금강산에서 북한 측 대표와 한번 만나서 한국 씨름과 북한 씨름 교류를 하자는 그런 제안을 해서 만났었는데 이게 뭐가 문제가 되냐면 저희들이 갈 때는 국민들이 바라보는 입장에서는 프로선수들 유명한 선수들. 그때만 하더라도 김정필, 이태현, 백승일이런 선수들이 활약을 하고 있었을 때인데 우리 국민들이 이런 선수를 봐야 되고 북한 쪽에서는 이런 선수랑 붙였다가는 도저히 되지 않으니까.

    ◇ 정관용> 수준 차이가.

    ◆ 이만기> 체급 차이가 너무 많이 나잖아요.

    ◇ 정관용> 그러니까 한마디로 북한은 지금까지도 많이들 즐기기는 하지만 프로급의 수준으로 가면 실력은 우리한테 안 되는 거로군요.

    ◆ 이만기> 그렇죠. 아무래도 체중 차이와 체격 차이가 크기 때문에.

    ◇ 정관용> 그렇죠. 알겠습니다. 그나저나 남북 공동등재를 하려면 일단 남북이 협의를 해서 우리 측도 북한 쪽도 단독으로 신청한 걸 철회하고 공동 신청을 다시 하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데 어떻게 될 것 같습니까?

    ◆ 이만기> 저는 충분히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되고요. 씨름이라고 하는 것은 어떤 국가는 물론 다르게 돼 있지만 씨름은 하나지 않습니까. 남북의 씨름은 하나인데 이 씨름을 우리 유네스코 무형문화재 등재를 한다면 남북이 공동이 돼서 해야 된다고 봅니다.

    ◇ 정관용> 그렇죠.

    ◆ 이만기> 그래서 아마 저희들 문화재청하고 또 북한 측의 관계자분들하고 또 유네스코 사무국이 아마 이렇게 한다면 특히 이번에 문재인 대통령께서도 좋은 말씀해 주셨지 않습니까? 그런 상황에서 놓고 본다면 아마 저희들 정부 측에서는 문화재청에서 아마 북한 쪽의 이야기를 잘 들어준다면 충분히 지금 서로 각각 따로 등재 신청을 했는데 이 등재 신청을 공동으로 한다면 유네스코에서 특히 더 어차피 지금 북한도 지금 현재 권고사항을 해 놓고 있거든요. 우리나라 두 군데 다 했기 때문에 이게 하나로 되면 오히려 더 빠르게 아마 12월 1일날 아프리카에서 한다는데 그게 더 빨리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 정관용> 빨리 좀 협의가 진행됐으면 좋겠고 이걸 계기로 이만기 교수도 오래간만에 평양 가셔서 한번 해 보시죠, 딱. 샅바 매시고.

    ◆ 이만기> 아마 저도 나이가 있으니까 지금 젊은 친구들이랑 하면 비슷할까요. (웃음)

    ◇ 정관용>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 이만기> 감사합니다.

    ◇ 정관용> 인제대학교 이만기 교수였습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