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82년생 김지영'은 왜 女 연예인들의 '불온서적'이 됐나



연예가 화제

    '82년생 김지영'은 왜 女 연예인들의 '불온서적'이 됐나

    아이린 이어 '82년생 김지영' 출연하는 정유미 향해 쏟아진 비난들
    페미니즘 향한 부정적 시각…심화된 젠더 갈등에서 비롯
    남성 유명인보다 여성이 비판받는 이유? "여성 연예인 향한 시각이 문제"

    레드벨벳 아이린과 배우 정유미. (사진=자료사진) 확대이미지

     

    소설 '82년생 김지영'이 연예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레드벨벳 아이린에 이어 이번에는 배우 정유미가 '82년생 김지영'과 관련됐다는 이유로 몸살을 앓고 있다.

    발단은 지난 12일 영화 '82년생 김지영'에 정유미가 출연한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부터다. 100만부의 판매고를 올린 베스트셀러, '82년생 김지영'의 영화화가 확정되면서 정유미는 평범한 30대 여성 주인공인 김지영 역을 맡게 됐다.

    영화 속에서 김지영은 어느 날 갑자기 자신의 친정 엄마, 언니 등으로 빙의하는 증상을 보이게 된 여성이다. 정유미는 평범하지만, 한편으로는 결코 평범하지 않은 삶을 살아온 주인공 김지영 역을 연기한다.

    '82년생 김지영'은 평범한 여성 김지영의 초등학교 시절부터 결혼 이후 삶까지를 담은 작품으로, 그가 '여성'으로서 한국 사회에서 살아오면서 겪은 경험들을 전한다. 온통 현실감 넘치는 이야기로 가득한 이 책은 세대불문 독자들, 특히 여성 독자들에게 폭넓으면서도 깊은 공감을 자아내면서 베스트셀러의 반열에 올랐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이 서적을 향한 공격적인 시선도 존재한다. '82년생 김지영'이 페미니즘적인 시각을 담은 책이라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이 책을 읽었다고 밝힌 아이린과 동명의 원작 영화에 출연을 결정한 정유미 모두, '페미니즘'을 추구하는 성향을 드러냈다는 이유로 뭇매를 맞았다.

    사실 페미니즘은 부정적으로 해석돼 논란이 되거나 비판받을 여지가 있는 사상이 아니다. 여성 인권운동, 즉 페미니즘은 성차별적인 사회에서 여성의 권리 확장 및 기회의 평등을 핵심으로 하며, 궁극적으로 성평등한 사회를 추구한다.

    젠더 갈등이 극심한 한국 사회 일각에서는 이런 여성 인권운동이 과격하거나 불편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82년생 김지영'도 여성이 한국 사회에서 느끼는 고충을 담았다는 이유만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종임 문화사회연구소 연구원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젠더 갈등의 담론이 형성된 시기가 상당히 오래됐다. 너무 오래 지속된 경기 불황, 사회 속에서의 극심한 경쟁을 통한 좌절 등이 기존에 지나쳐왔던 젠더 이슈들을 중요한 문제로 부각시켰고, SNS 등을 통해 담론이 형성되며 감정적 연대가 더 쉬워졌다. 그러면서 서로에 대한 비판과 비난도 더 빨리 확산되고 있다"라고 젠더 갈등이 심화된 이유를 설명했다.

    의문인 것은 '82년생 김지영'을 읽었다고 밝힌 남성 유명인들도 있다는 사실이다. 전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방탄소년단 멤버 RM은 인터넷 방송에서 '82년생 김지영'을 읽은 소감을 밝혔으며 국민 MC 유재석은 '무한도전'을 통해 '82년생 김지영'을 읽는 모습이 공개됐다. 그러나 이들이 해당 서적을 읽은 소식은 별다른 비난이나 반발을 불러오지 않았다. 정유미의 출연을 두고 청와대 국민청원에까지 반대글이 올라오는 현재와는 대조적이다.

    그렇다면 동일한 상황 속에서 유독 여성 연예인들에게 비난의 화살이 쏠리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 연구원은 "성별을 떠나 한국에서 연예인들은 정치, 사회적 발언을 하기 어렵지만 여성 연예인들은 미디어 노출이나 활동의 최전선에 놓여 있고, 비판 대상에 놓이기가 쉽다. 자유롭게 자신의 정치적 견해나 사회적 이슈를 발언하기가 어렵다. 여성 연예인들을 쉽게 대상화하고, 주체적 생각을 내놓는 존재로 생각하지 못하는 시각이 문제적"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정유미 사태에 대해서는 "'82년생 김지영'을 읽었다고 밝힌 것과 이 소설의 영화화 작업에 참여한다는 것은 조금 다른 문제다. 배우가 역할을 선택한 직업적 결정임에도 불구하고 이조차 자유롭게 하지 못하는 거다. 그것까지도 재단되고 판단되며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올라간 현상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