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中 이가 없으면 잇몸…다양한 對美 무역보복 카드 준비했다



아시아/호주

    中 이가 없으면 잇몸…다양한 對美 무역보복 카드 준비했다

    • 2018-07-06 17:08

    미국이 관세부과 액수 늘려 동일 규모 보복 불가능해 질 경우 대비해 다양한 질적 보복 카드 준비 마쳐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미국이 6일(현지시간) 중국에서 수입하는 340억 달러(약 38조원) 규모의 제품에 대해 25% 관세부과를 시작하며 무역전쟁의 포문을 열자 중국도 즉각 반격을 예고한 가운데 중국 측이 어떤 카드로 맞대응할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미국의 관세부과가 발효되자마자 대변인 명의 담화를 내고 "미국의 관세부과는 전형적인 무역폭압주의"라고 비판하며 "선제공격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국가의 핵심 이익과 국민의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필요한 반격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보복을 기정사실화 했다.

    중국은 우선 중국산 첨단제품에 대해 부과된 미국의 관세에 맞서 미국산 대두, 돼지고기 등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보복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이 34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 818개 품목에 25%의 고율 관세를 매기는 만큼 중국 역시 같은 규모인 340억 달러 상당의 미국산 농산물, 자동차 등 545개 품목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미국의 관세부과로 중국은 경제 성장의 한 축인 수출에 큰 타격을 입게 됐지만 미국과 무역전쟁을 절대로 회피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미국이 관세부과 규모를 계속 확대할 경우 대미 수출규모(5천55억 달러)가 수입규모(1천299억 달러)보다 월등히 큰 중국이 같은 규모로 미국에 보복관세를 부과하기는 어렵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 "유보하고 있는 2천억 달러어치가 있고, 그리고 3천억 달러어치가 있다"면서 "500억 달러 더하기 2천억 달러, 여기에 약 3천억 달러를 더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럴 때를 대비해 나오는 것이 질적 수단의 동원이다. 가오펑(高峰)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최근 "미국이 관세부과에 돌입하면 중국도 질적 및 양적 수단을 비롯한 각종 필요한 조치를 종합적으로 취해 중국 국익과 인민 이익을 결연히 지킬 것"이라며 "중국은 모든 대응 준비를 이미 마쳤다"고 단언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미국산 과일이나 자동차의 통관 대기시간을 늦추거나 특정 사업에 대한 허가를 내주지 않아 중국내 미국 기업들의 사업을 어렵게 만들 수 있고 사드를 도입한 한국에 대한 단체관광 제한 조치처럼 중국인들의 미국행 관광을 막을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과 협상에 사활을 걸고 있는 민감한 시기에 중국의 역할이 절대적인 대북제재 카드를 무역협상과 연계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일각에서는 미국에 대한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거나 미국 국채의 대량 매각 또는 중국 주재 미국기업에 대한 제재 등을 거론하기도 한다. 중국은 지난 4월 기준으로 미국 재무부 발행 채권의 8%가량인 1조1819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미중 무역협상을 주도해온 류허(劉鶴) 부총리가 최근 중국 관영매체들에게 무역전쟁과 관련해 내린 지침에서 "누가 끝까지 버틸 수 있을지 지켜보자. 결코, 주저해서는 안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등 장기전을 대비하는 듯한 조짐도 감지된다.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국제연대를 통해 미국을 고립시키겠다는 전략도 엿보인다. 최근 중국은 유럽연합(EU), 러시아, 동유럽, 인도, 동남아는 물론이고 한국 등 전통적인 미국의 맹방에게까지도 미국에 함께 맞서자는 메시지를 계속 보내고 있다.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무역전쟁 발발 하루 전인 5일 독일과 불가리아 순방길에 나서는가 하면 왕이(王毅)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전날 오스트리아 빈에서 "현재 상황에서 중국과 EU는 다자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자유무역 체제를 함께 수호해야 한다"며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에 대항할 것을 촉구했다.

    중국이 이달 1일부터 한국과 인도 등 5개국에서 수입하는 대두와 유채씨 관세율을 3%에서 0%로 낮춘 것도 공동전선 구축을 위한 ‘당근책’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이 여러 대응책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필요 이상으로 미국을 자극해 확전으로 나가기를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에는 여러 전문가들의 견해가 일치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관영 매체들에게 트럼프 행정부가 비판하는 '중국 제조 2025' 정책에 대한 언급을 삼가라는 보도지침을 하달한 것이 중국 정부의 이런 의중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중국과 미국이 다시 4차 협상테이블에 앉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