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주 52시간 앓는 소리? 여기어때, 주 35시간 1년 만에 매출 2배↑



기업/산업

    주 52시간 앓는 소리? 여기어때, 주 35시간 1년 만에 매출 2배↑

    IT 업계 근로시간 단축 분주 "책상 앞에만 있다고 창의력 나오지 않아"
    자율출퇴근·시차출근제 등 탄력적 근무 잇따라 도입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다음달 1일부터 300인 이상 회사에는 주당 52시간 근로제가 도입된다. 정규 8시간에 5일이면 40시간. 매일 2시간만 더 일해도 10시간이 초과, 사실상 주말에는 직원에게 일을 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기업 현장에서는 인력 운용에 압박감을 느끼고 있다. 특히, 업무를 선 긋듯 자르기 힘든 개발자나 시차가 다른 해외 기업과 교류가 많은 IT 업종에서는 출퇴근 시간을 고정하고, 근로시간을 법으로 규제하는 데에 따른 하소연도 나온다.

    그럼에도 근로시간을 줄이면서 오히려 회사가 성장한 IT 기업들이 눈에 띄고 있다. 이들 기업은 주 52시간 근로제 도입 훨씬 이전부터 자발적으로 도입해 더욱 주목받고 있다.

    ◇ 여기어때, 月 오후 1시 출근 '주 35시간' 도입 1년 만에 매출·사용자수 2배↑

     

    글로벌 여가 플랫폼 '여기어때'를 운영하는 위드이노베이션은 '주 35시간 근무제'를 시행 중이다. 주 52시간 근로제 논의가 나오기도 전인, 지난해 4월부터 15개월째 지키고 있다.

    위드이노베이션 직원은 화요일부터 금요일은 오전 9시에 출근해 오후 6시에 퇴근한다.

    다른 건 월요일 출근 시간이다. '오후 1시'로 월요일 출근 시간을 파격적으로 늦췄다. 직원들은 사기를 떨어뜨리는 '월요병'에서 벗어나게 됐고, 주중 가장 막히고 붐비는 월요일 출근 시간대를 피해 여유있게 집을 나서면서 업무 집중도도 높아졌다.

    점심시간도 1시간 30분으로 늘렸다. 11시 30분부터 1시까지 휴식시간으로 고정했다. 셰프가 직접 요리하는 구내식당에서 점심을 해결하고 사내에 마련된 수면실, 커피숍, 탁구대 등을 자유롭게 이용하며 여유 있는 점심시간을 누릴 수 있다. 넉넉한 점심 시간을 이용해 회사 맞은편 헬스장에서 운동을 하고 오는 직원들도 있다. 헬스장 이용료 역시 회사에서 '체력단련비'로 지원한다.

    지난해 처음 주 35시간 근무제를 도입할 당시 업계는 물론 회사 내부에서도 '생산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컸다. 새로운 서비스 출시 등을 앞두고 프로젝트팀이 수시로 꾸려지고 연구개발 부서 등은 결과를 낼 때까지 야근이 잦을 수밖에 없어 '주 35시간은 말도 안 된다'는 앓는 소리가 쏟아졌다.

    그러나 주 35시간 도입 1년 만에 위드이노베이션은 이같은 걱정을 모두 불식시켰다. 전년 대비 매출이 2배로 껑충 뛰면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사용자 수도 2배 증가했다.

    줄어든 근로 시간은 업무 시간을 오히려 알뜰하게 쓸 수 있게 했다. 일을 제때 마치려면 딴짓할 시간이 없다는 것이다. 사내에서는 '카톡'이 금지지만, 직원들은 이에 불만을 제기하지 않는다.

    아침, 점심, 저녁 삼시 세끼가 모두 구내식당에서 제공되는 것도 사기를 높인다. 직원들이 일하느라 김밥, 라면 등으로 끼니를 때우는 것을 막아 건강한 업무 환경을 만들었다.

    근무시간 단축에 따른 임금 감소 또한 없다. 김다빈 매니저는 "주 35시간 시행 전과 업무량은 비슷하지만, 근무시간은 줄면서 오히려 연봉은 늘어난 셈"이라고 말했다. 특히 "(주 35시간) 전에는 월요일 출근을 앞두고 일요일 오후부터는 거의 버리는 시간이었는데 월요일 오후 1시에 출근하면서 주말도 알차게 보내고 주중에 하기 힘든 은행이나 우체국 업무도 눈치 보지 않고 월요일 오전에 여유 있게 볼 수 있어 좋다"고 덧붙였다.

    '고용 창출'은 덤이다. 줄어든 업무시간을 메우기 위해 직원을 꾸준히 뽑으면서다. 최근 새 식구가 된 직원만 5개월 새 120명이 넘는다.

    문지형 위드이노베이션 이사는 "창의력과 혁신이 필요한 IT 업종에서는 책상 앞에 앉아있는다고 생산성이 느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직원들을 믿고 명확한 목표의식과 동기를 부여한 것이 업무 효율성을 늘린 것 같다"고 강조했다.

    ◇ 자율출퇴근·재량근로제·시차출근제 등 탄력적 근무방식 잇따라 도입

    주 52시간을 앞두고 IT 기업들이 주로 도입하고 있는 제도는 자율출퇴근, 유연근무제처럼 근무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방식이다.

    여기어때와 함께 국내 숙박 O2O(Online to Offline)를 이끌고 있는 업계 1위 야놀자도 자율출퇴근제를 시행 중이다. '잘 놀아야 일도 잘할 수 있다'는 기조처럼 출퇴근 시간을 따로 고정하지 않고, 업무 특성에 맞춰 근로시간을 팀이나 직원 자율에 맡기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오는 7월부터 '선택적 근로시간제'와 '재량근로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선택적 근로시간제'는 현행 자율 출퇴근제를 월 단위로 확대한 것으로, 주 40시간이 아닌 월평균 주 40시간 내에서 출퇴근 시간과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제도다.

    '재량근로제'는 출장이나 외근이 잦아, 업무 특성상 직원의 근무시간 산정을 엄격하게 적용하기 어려울 때 일정한 시간을 근무한 것으로 인정하는 제도다. 다만, 신제품이나 신기술 연구개발 등의 업무에 한해서만 적용할 수 있다.

    통신사들은 이미 주 40시간을 기준으로 이같은 제도를 운용 중이다. 급변하는 IT 시장에서 예기치 못한 일들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서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8월부터 '시차출근제'를 시행 중이다. A부터 G까지 총 7가지 근무형태에 따라 출근 시간을 오전 7시부터 오전 10시까지 30분 단위로 선택할 수 있다. ▲A타입은 오전 7시 출근, 오후 4시 퇴근 ▲B타입은 오전 7시 30분 출근, 오후 4시 30분 퇴근 ▲F타입은 오전 9시 30분 출근, 오후 6시 30분 퇴근 ▲G타입은 오전 10시 출근, 오후 7시에 퇴근하면 된다. 선택한 근무 형태는 매월 변경할 수 있고 최대 6개월까지 적용된다.

    SK텔레콤은 지난 4월 1일부터 직원 개개인이 근무시간을 직접 설계하는 자율적 선택근무제를 시행 중이다. KT는 지난해부터 지난 3월부터 유연근로제를 전면 시행했다.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는 근무시간보다 근무 문화 및 환경이 기업의 경쟁력에 더욱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밤샘 근무가 잦은 IT 기업들도 과감하게 시도해볼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