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금융 최대 위협 요인은 보호무역과 가계부채



금융/증시

    금융 최대 위협 요인은 보호무역과 가계부채

     

    국내 금융시스템에 가장 큰 위협 요인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가계부채가 꼽힌 반면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위기감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서 전문가들은 한국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76%)을 꼽았다.

    가계부채 누증이 74%로 그 뒤를 이었고 다음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금리 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60%), 부동산시장 불확실성(50%) 등이었다.

    앞서 지난해 11월 조사에서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를 위협 요인으로 꼽은 비율이 26%였으나 이번에는 미중 통상 갈등이 격화되면서 50%포인트 급등했다.

    이에 비해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는 지난해 11월 87%에서 13%포인트 줄었고,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와 부동산시장 불확실성도 각각 15%포인트, 6%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지난해 11월 조사 때 82%의 응답률이었으나 이번에는 38%로 크게 낮아졌다.

    전문가들이 중요도 1순위로 가장 많이 꼽은 리스크는 가계부채 누증(26%)이었고 다음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는 17%,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15% 등이었다.

    또 1년 이내에 발생할 가능성이 큰 주요 리스크로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꼽혔다. 1∼3년 사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는 가계부채 누증이 꼽혔다.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1년 안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56%)는 쪽에 무게를 뒀다. '높다'는 응답은 9%에 그쳤다.

    그러나 1∼3년 안에 금융시스템에 위기가 올 수 있다는 가능성에는 '높다'가 38%로 '낮다' 20%보다 많았다.

    앞으로 3년 동안 국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해볼 때는 '높다'고 보는 전문가가 36%로 '낮다' 11%보다 많았다.

    한은은 지난달 16일부터 27일까지 국내 금융기관 임직원과 각 금융협회·연구소 직원, 대학교수,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 투자 담당자 등 72명을 대상으로 이번 조사를 실시했다.

    전문가들에게 금융시스템에 위험이 될 요인 5개를 각각 꼽아달라고 하고 그 중 응답자의 50% 이상이 선정한 변수를 '주요 리스크'에 올렸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