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日 아베는 왜 납북자 문제에 '올인'하나



국방/외교

    日 아베는 왜 납북자 문제에 '올인'하나

    국내서 정치적 위기 맞은 아베…이번에도 '납치의 아베'로 변신 꾀하나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연일 일본인 납북 피해자 문제에 각을 세우고 있다.

    아베 총리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납북자 문제 관련 북한에 일본의 뜻을 전달해 줄 것을 요청했고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도 납북자 문제 해결을 강조했다. 일본 납북자 가족을 만나 송환을 위해 힘쓸 것을 약속하기도 했다.

    일본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 역시 북한과의 정상회담을 언급하면서 "단 납치문제의 해결을 도모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일본과의 협력을 유지하며 남북·북미정상회담 국면을 이어가려는 문재인 대통령도 8일 일본 요미우리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납치 피해자 문제가 일본 정부와 국민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사안인지 잘 알고 있다. 이 문제를 중시하는 아베 총리의 요청이 있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인도적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에 그간 이 문제를 북한측에 제기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납북자 문제는 매우 중요한 문제지만, 일각에서는 일본이 부각시키고 싶어하는 이같은 주장이 최근 북한 비핵화 등 주요 흐름과는 동떨어져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특히 최근 남·북·미 중심의 북핵문제 해결 논의 구도가 그려지면서 '재팬 패싱'논란도 불거진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베 총리가 유독 납북자 문제에 힘을 싣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납북자 문제는 일본 국민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이슈다. 1987년 대한항공 여객기 폭파범인 김현희가 북한에서 자신에게 일본어를 가르쳤던 사람이 일본 납북자였다고 증언하면서 이 문제가 대두됐다.

    1997년 납북된 것으로 알려진 여중생 여중생 요코타 메구미(橫田めぐみ·당시 13세) 등 납북자 가족의 꾸준한 호소도 일본 국민들의 마음을 울리고 있다. 일본 정부로서는 '최대 현안'으로 분류해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주제다.

    또 최근 모리토모(森友)사학재단 특혜 의혹과 관련된 재무성의 문서 조작 파문으로 절체절명의 정치적 위기를 맞은 아베 총리가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통해 '반전'을 꾀하고자 한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지난 2002년 9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 총리의 방북 당시 아베 총리는 관방 부장관으로 수행단에 포함됐다. 당시 "김정일의 사과가 없으면 북일 공동성명 서명없이 무조건 귀국하자"며 강경한 입장을 보인 아베 총리는 '납치의 아베'로 불리며 정치인으로서 큰 도약을 이뤘다.

    이후 2014년 북한에서 일시 귀국한 납치 피해자 5명을 돌려보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 것도 아베 총리였다. 납북자 문제로 자신의 주가를 높인 아베는 2006년 총리직에 올랐다.

    튼튼한 보수 지지층을 기반으로 재집권한 아베 총리는 2014년 스톡흘름에서 열린 북한과의 협의에서 "북한이 납치 피해자에 대한 재조사를 실시하고 일본은 대북 독자 제재를 일부 해제한다"는데 합의하기도 했다.

    만일 아베 총리가 이번 남북·북미 정상회담 국면에서 우리 정부와 미국을 움직여 납북자 문제에 진일보한 성과를 거둔다면, 일본 내 악화된 여론이 아베 총리에게로 다시 돌아설 수도 있다. '납치의 아베'가 부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북한이 공식 인정한 일본인 납치 피해자는 모두 17명이다. 일본 정부는 귀환한 5명을 뺀 12명의 송환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북한은 12명 중 8명이 이미 사망했고, 나머지 4명은 북한에 입국한 적이 없다며 "이미 다 해결된 사안"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강한 대북 압박 노선이 이어져 오던 지난해 연말까지만 해도 일본은 미국 등 국제사회와 함께 대북 압박에 힘썼다. 하지만 올해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부터 북미정상회담 합의까지, 트럼프 대통령이 전격적으로 북한과의 직접 대화에 나서자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다.

    아베 총리가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만나 "북·일 평양선언에 기초해 납치, 핵·미사일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해 국교 정상화를 목표로 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이전과는 결이 다른 메시지를 던진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아베 총리가 납북자 문제에서 만족할만한 성과를 얻어내고, '재팬 패싱'을 극복해 북핵 문제에서 다시 목소리를 내고 국내 정치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