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캠핑 산업규모 1조 5천억…야영장은 안전한가?



여행/레저

    캠핑 산업규모 1조 5천억…야영장은 안전한가?

    안전교육, 적절한 시기 선택과 수시 교육을 통한 안전 사각 공백 메워야

     

    GKL사회공헌재단 의뢰로 (사)캠핑아웃도어진흥원이 진행한 캠핑산업현황 통계조사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국내 캠핑 산업규모는 1조 5천억 원, 국내 캠퍼 수는 310만 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관의 지난 2014년 조사 때보다 산업규모는 2.5배 이상, 지난 2011년 통계청 추정 캠퍼 수 60만 명보다 무려 5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이 같은 캠핑 산업의 폭발적 성장은 주 5일 근무의 정착과 어려운 경제 사정 속에 저비용 고효율의 여행을 즐기려는 소비자 욕구가 딱 맞아떨어진 결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 따르면 4인 가족 기준 평상시 캠핑 1회 평균 숙박 일수는 1.5일로 금요일 퇴근 후 또는 토요일 오전부터 일요일 오후까지 캠핑을 즐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평균 지출은 29만 9천원으로 다른 형태의 숙박시설과 식당 등을 이용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비용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를 입력하세요.

     

    그뿐만 아니라 캠핑은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자연속에서 시간을 보내며 휴식과 힐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단숨에 국민들의 각광받는 국민여가활동 중 하나로 완전히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이런 초고속 성장 이면의 그늘에는 안전에 대한 우려 또한 크게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캠핑은 야외에서 취사 뿐 아니라 취침을 해야 하기 때문에 화기, 전기, 가스 등을 좁은 공간에서 간이로 사용하게 되는 만큼 사소한 부주의가 대형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새해 첫날인 지난 1일 경기도 양주의 한 캠핑장에서 일어난 가스 중독 사고 역시 환기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스난로를 피우고 잠들었다가 발생한 사고였다. 다행히 가스 중독을 빨리 알아 채 큰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었지만 자칫 대형 참사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사고였다. 거슬러 올라가 2015년 3월 발생한 강화 글램핑 화재 사고 역시 발열매트 리드선 부근의 누전으로 3분 만에 텐트가 전소돼 두 가족 6명 중 5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한편 정부는 2015년 8월, 관광진흥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야영장 사업자가 연1회 5시간 이상 안전교육을 반드시 이수하도록 법적으로 의무화 해 2016년부터 시행해 오고 있다.

    그런데 자유한국당 김무성 의원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17년도 야영장 안전교육 자료에 따르면 전국 등록야영장 중 안전교육을 받은 야영장은 총1,998개소 중 1,759개소로 약 88%에 이르며 현재 등록야영장 중 약 12%가량은 안전교육을 받지 않은 채 영업을 하고 있다.

     

    문제는 예방적 차원에서 진행 돼야 할 안전교육의 시기가 지자체별로 제각각이라는 것. 특히 캠핑 시즌의 준비 기간이라 할 수 있는 2~3월에 교육을 실시한 곳은 단 한곳도 없다. 그나마 경상북도가 6월 말에 첫 교육을 실시했고 이어 강원, 부산, 울산, 충남, 전북, 경남은 7월에 서울이 9월말에 교육을 실시했다. 이를 제외한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세종, 경기, 충북, 전남의 경우 모두 11월과 12월에 안전교육을 실시해 야영장 안전교육의 취지를 무색케 했다. 이 가운데서도 제주의 경우 17년에는 안전교육을 전혀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단법인 대한캠핑협회 석영준 사무총장은 "정부는 운영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시기를 선정해야 하고, 연 1회 5시간의 교육으로는 이용자들의 안전을 관리하기에는 절대 시간이 부족하다"며 "수시 교육을 통해 교육의 공백을 최소화 하고 짧은 시간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전문성을 갖춘 외부전문교육기관을 통한 체계적인 교육이 진행 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곧 있으면 겨울 한파에 얼어붙었던 전국 야영장에 봄볕이 들고 언제나 그렇듯 수많은 캠퍼들이 전국 곳곳의 캠핑장에서 가족과 함께 자연을 벗삼아 바비큐 파티와 즐거운 한 때를 보내게 될 것이다. 하지만 안전사고 앞에 이 모든 계획은 악몽이 될 수도 있다.

    이제 정부와 지자체는 교육을 위한 교육이 아닌 실효성 있는 시설점검과 야영장 운영자 안전교육을 통해 대한민국 야영장이 안전지대라는 것을 310만 캠퍼들에게 확인시켜줘야 할 때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