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빙판길 버스 제동거리는 132미터…과속은 자살행위



사회 일반

    빙판길 버스 제동거리는 132미터…과속은 자살행위

    시속 30km 넘어면 조향능력 상실…"감속운행·방어운전해야"

    교통안전공단이 지난 7일 경기도 화성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에서 빙판길 제동거리 실험을 실시했다. (사진=교통안전공단 제공)

     

    자동차의 빙판길 제동 거리가 마른 노면에 비해 최대 7배 이상 늘어나는데다 조향 능력이 크게 떨어져 교통사고의 치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안전공단은 10일 "최근 경기도 화성시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에서 실시한 빙판길 교통사고 위험성 실험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빙판길에서의 제동 거리는 마른 노면에 비해 최대 7배 이상 증가했고, 시속 30km를 초과하면 빙판길에서 차체 제어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는 마른 노면에서의 제동 거리가 17.2m인 반면 빙판길에서의 제동 거리는 132.3m로 7.7배 증가했다.

    화물차는 마른 노면에서의 제동 거리가 14.8m인 반면 빙판길에서의 제동 거리는 110m로 7.4배 늘었다.

    승용차는 마른 노면에서의 제동 거리가 11m인 반면 빙판길에서의 제동 거리는 48.3m로 4.4배 증가했다.

    빙판길에서 자동차 미끄러짐 현상 발생 시 차체 제어 능력과 방법을 실험한 결과 시속 30km 미만일 때는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방향과 운전 방향을 같게 해 차로 이탈을 부분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속 30km 이상에서는 조향 능력을 완전히 상실해 운전 방향의 설정과 자동차 움직임의 제어가 불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빙판길의 제동 거리 증가와 조향 능력 상실로 인해 빙판길 교통사고의 치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교통안전공단 제공)

     

    지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마른 노면에서 교통사고 100건의 치사율은 2.07명인데 반해 빙판길에서의 교통사고 치사율은 3.21명으로 1.6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빙판길에서는 제동 거리 증가와 조향 능력 상실로 인해 대형 교통사고의 발생 확률이 높다"며 "빙판길에서는 충분한 감속과 방어 운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