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반핵단체 노벨평화상 수상 ‘북핵’에는 어떤 영향?



통일/북한

    반핵단체 노벨평화상 수상 ‘북핵’에는 어떤 영향?

    ‘한반도 비핵화’ 이루면 트럼프․김정은도 노벨평화상 후보

     

    전 세계에서 핵무기 폐기 운동을 벌이고 있는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이 6일 올해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됨에 따라 북핵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압박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노벨위원회는 이날 ‘핵무기폐기국제운동’을 올해의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했음을 발표하면서 ‘북한 핵’을 거론했다.

    노벨위원회의 베리트 라이스 앤더슨 의장은 “전 세계에서 핵무기를 제어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과거보다 더 많은 국가와 조직에서 핵무기 보유를 시도하고 있다. 북한 같은 나라가 전형적인 예이다”라고 말했다.

    노벨위원회가 핵무기 보유를 시도하는 국가의 전형으로서 북한을 특정해 언급한 것이다.

    노벨위원회는 그동안 ‘핵’을 각별히 챙겼다. 노벨위원회는 지난 85년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에 이어 2005년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당시 IAEA 사무총장에 노벨평화상을 줬다. 특히 2009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 대해서는 ‘핵무기 없는 세계를 추구하겠다’는 선언만으로도 노벨평화상을 시상했다.

    노벨위원회가 이번에 ‘핵무기폐기국제운동’을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한 데는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는 핵능력으로 한반도와 동아시아는 물론 전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 북한 핵 문제가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됐을 것으로 관측된다. 북핵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하는 세계 여론이 반영된 셈이다.

    외신들도 이런 점에 의미를 부여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과 북한의 호전적인 교착 상태로 냉전시대 이후 핵충돌 가능성에 대한 가장 심각한 우려가 나오는 배경 속에서 수상자 선정이 이뤄졌다"고 평가했고, 워싱턴포스트(WP)도 "북한이 야욕적으로 핵개발을 추진하고 이제 미 본토까지 위협하며 세계 평화가 깨질 위기에 처한 시점에 반핵 단체가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따라서 ‘핵무기폐기국제운동’의 이번 노벨평화상 수상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강한 압박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평화상을 받게 된 핵무기폐기국제운동의 베아트리스 핀 사무총장은 이날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위원장를 향해 핵 무기 보유는 물론 핵무기 사용 위협도 불법이라며 "둘 다 멈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핀 사무총장은 특히 "핵무장 국가와 안보를 이유로 핵무기에 의존하는 국가들에 이는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는 메시지가 전달되길 바란다"며, “안보라는 이름하에 무차별로 수십만명의 민간인을 학살하겠다고 위협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핀 사무총장은 "(자신들이) 북한,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영국, 이스라엘 전부와 인도, 파키스탄 등 핵무기 보유국 및 핵무장국에 민간인을 살해하겠다고 위협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는 매우 강력한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사실 한반도의 비핵화를 이룰 수만 있다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정은 위원장 등 관련 주요 국가의 정상들이 추후에 노벨평화상 후보가 되지 말라는 법도 없다. 그만큼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은 세계 평화를 위협하고 있으며. 세계인의 우려사항이 되고 있다는 얘기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지난 200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것도 역사적인 첫 남북정상회담으로 한반도 평화에 일조한 것이 큰 영향을 줬다는 관측이다.

    그러나 현실은 이런 기대와는 정반대로 가고 있다. 미국과 북한 간에 오가는 비난전은 지난달 3일 북한의 6차 핵실험을 계기로 마치 당장 전쟁을 할 것처럼 더욱 증폭되고 있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생전에 핵개발에 주력하면서도 비핵화는 ‘김일성 수령의 유훈’이라고 강조하는 등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김정은은 핵미사일 개발을 김일성·김정일의 "핵무력 건설대업의 빛나는 계승 발전"으로 평가하면서, “국가 핵무력 완성 목표의 종착점”을 향해 질주중이다.

    당장 오는 10일 북한 노동당 창건일을 전후로 북한의 추가 도발이 이뤄지면 한반도 위기감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