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경주 지진 그 후 1년…남긴 과제는?



포항

    경주 지진 그 후 1년…남긴 과제는?

    [기획특집 '9.12 경주 지진 1년' ⑤] 제도 개선 통해 재난·재해 대비해야

    국내 지진 관측 사상 최고 강도로 기록된 경주 9·12 대지진이 발생한지 1년이 됐다. 포항CBS는 대한민국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9·12 강진로 인해 우리 사회의 변화된 모습과 지진 등 재난재해에 대비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5회에 걸쳐 짚어본다.[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 생생한 그날의 기억
    ② 경주, 추가 지진 가능성은?
    ③ 경북 동해안 원전벨트, 안전은?
    ④ 지진 1년, 지진 예방시스템 현주소
    ⑤ 9·12 강진이 남긴 과제는?
    (사진=자료사진)

     

    23명의 부상자와 5천300여건의 재산피해, 630여 차례의 여진이 발생한 9.12지진.

    한반도를 지진 안전지대라고 여겼던 국민에게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기에 충분한 계기가 됐다.

    정부는 지난 7일 경주에서 열린 '9.12 지진 1주년 세미나'를 통해 중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관계자는 "판내부 지진의 특성을 갖는 한반도 지진환경을 고려하면 중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상존한다"고 말했다.

    추가 지진 등 재해 가능성과 관련해 대비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긴급 재난·재해 발생시 신속히 의사결정을 할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경주 지진 당시 정부와 지자체 각각의 역할이 정해져 있었지만, 예상치 못했던 지진이 발생하자 대응이 늦어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국내 전문가들로 구성된 '긴급재난대응회의'를 상시 구축하고 활발한 활동을 유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정부와 지자체뿐 아니라 개인을 주체로 한 '재난 안전 네트워크망'이 더욱 촘촘히 짜여져야한다고 조언했다.

    대구경북연구원 최용준 재난안전연구센터장은 "국가에서는 국가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이 있고, 지자체 차원에서 준비도 필요한다"면서 "그에 맞춰서 개인이 할수 있는 부분은 개인 스스로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재난발생시 휴대전화를 이용한 재난 정보 전파뿐 아니라 구조·구난에 활용하는 방안도 주목 받고 있다.

    최용준 센터장은 "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위치와 규모를 파악해 구조인력과 자원 투입 등 구조활동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재난에 따른 2차 피해를 막기 위한 준비도 함께 이뤄줘야 할 부분이다.

    원전 안전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경주지진 이후 원전 안전성 개선 노력이 있었지만, 지진 등에 대한 대응능력은 지속적으로 강화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내 원전의 경우 지진뿐 아니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독립성 부족, 원전 비리 등으로 원전 안전에 대한 우려가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독립성이 확보된 제3자 검증제도와 원전이 있는 지자체의 권한 강화 등이 제시되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 정군우 부연구위원은 "원자력 안전에 대해 주관성에서 벗어나 객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어느 한쪽 중심의 일방적인 소통이 아닌 원자력 산업계, 지자체, 주민 등이 상호 소통할수 있는 공감대 형성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분야임에도 그동안 우선순위에서 밀려 관심 밖이었던 재난안전 분야. 경주지진을 전화위복 삼아 안전한 대한민국이 되길 기대한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