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바른정당, 비대위 전환에 무게…'유승민 구원투수론'도



국회/정당

    바른정당, 비대위 전환에 무게…'유승민 구원투수론'도

    이혜훈 사퇴 뜻 모아…"결단 기다려"

    바른정당 의원전체회의 모습 (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대표 금품수수 의혹'의 직격탄을 맞은 바른정당이 위기 수습 방안을 고심 중이다. 일단 이혜훈 대표가 더 이상 직무수행을 하기에는 어렵다는 데는 어느정도 공감대가 형성됐다.

    대표 사퇴를 가정한 지도체제와 관련해서는 주호영 원내대표가 대표 대행을 맡는 '대행 체제' 보다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조속한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당내에 우세한 것으로 파악된다.

    보수통합론이 고개를 들면서 당이 어수선한 가운데, 단일대오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구심점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유승민·김무성 의원 등이 비대위원장으로 거론된다.

    당 지도부는 지난 주말 회의에서 이 대표가 사퇴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데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최고위원은 "사실 여하를 떠나 이대로 계속 가면 바른정당과 이 대표 양쪽에 다 안 좋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고 했다. 다만 지도부 차원에서 이 같은 뜻을 이 대표에게 전달해 사퇴를 압박하는 모양새를 만들기 보다는, 스스로 결단을 내리길 기다리는 기류다.

    바른정당 이혜훈 대표 (사진=이한형 기자/자료사진)

     

    하지만 이 대표는 4일 의원총회에 참석해 '일단 시간을 달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어떤 길이 당을 위해 가장 나은 길인지 저도 깊이 고심하고 있다. 조금만 더 말미를 주셨으면 좋겠다"며 "고민해서 곧 당을 위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제 개인적인 생각만 하면, 단 한시라도 대표직에 있을 이유가 없다"면서도 "당의 진로와 정치 지형이 민감하고, 국가적 중대사가 생기는 등 여러가지 복합적 문제에 민감한 시점"이라며 고민의 이유를 설명했다.

    당내 '자유한국당과의 통합'을 뜻하는 보수통합론 등이 서서히 분출하는 상황에서 대표적 자강론자인 이 대표의 거취 고심이 길어지는 모양새다. 이 대표의 입장 전달 후 당 일각에서는 이 대표에게 거취에 대한 뜻을 직접적으로 묻고, '사퇴 촉구' 의사를 분명하게 전달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런 가운데, 당내에서는 '이혜훈 체제' 이후의 당 체제 개편에 대한 의견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대부분 공론화 하기에는 이르다는 의견이지만,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주호영 원내대표의 '대표 대행' 체제도 거론되지만, 한 지도부 인사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많은 사람들이 대행 체제를 갖고는 지방선거를 치르기 어렵기에 비대위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정기국회 정국에서 주 원내대표가 당무를 챙기면서도 동시에 선거 준비까지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유승민 등판론'도 폭넓게 거론되고 있다. 한 의원은 유 의원이 나서지 않을 경우 당의 분열이 가속화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통화에서 "대선 때 구성원들이 고생한 만큼, 이제는 구원투수로 나서야 한다"며 "당 위기 상황에서도 나서지 않을 경우 자강론 대신 보수통합론으로의 이탈이 가속화 될지도 모른다"고 했다.

    또 다른 의원도 "의원들의 뜻이 모아진다면 전면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을 유 의원에게 전달했다"고 했다. 유 의원은 별 다른 뜻을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신중론도 제기된다. 당 관계자는 "보수통합의 가치를 위해 뭉쳐서 가야한다는 차원에서는 유 의원이 나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단순히 선거용, 보수통합용으로 내세우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한국당과 '정책 공조'를 강조하며 보폭을 넓히고 있는 김무성 의원도 유 의원과 함께 새로운 구심점으로 거론되고 있고, '세대교체' 차원에서 김세연 정책위의장의 이름도 나온다.

    향후 누가 새로운 당의 구심점이 될 것이냐에 따라 당의 진로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여 의원들은 일단 이혜훈 대표의 '입'을 주목하는 한편, 물밑접촉을 통해 다양한 구상들을 교환할 전망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