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국정원 "北, 탄도미사일 발사 가능성…핵실험 준비완료"



국회/정당

    국정원 "北, 탄도미사일 발사 가능성…핵실험 준비완료"

    이철우 "국정원이 北 발사체 '방사포'라고 최초 보고"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조만간 탄도 미사일을 추가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국회에 보고했다. 또 핵 실험 준비도 완료한 상태라고 밝혔다.

    국회 정보위원회 여당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은 이날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국정원 보고를 받은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은 내용을 설명했다.

    김 의원은 "(북한이) 신포 조선소에서 7월 말부터 고래급 잠수함 점검 활동을 계속하고 있고, 탄도미사일 시설에서도 활발한 차량 활동이 포착되고 있다"며 "(국정원은) 을지프리덤가디언(UFG) 훈련 잔여기간이나 북한 정권 창립일(9월9일)을 계기로 탄도 미사일 발사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핵실험 준비상황과 관련해서는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 2, 3번 갱도에서 핵실험 준비를 완료한 상태"라며 "지난해 굴착 공사를 중단한 4번 갱도에서도 올해 4월부터 공사 재개를 위한 준비 동향이 포착됐다고 한다"고 밝혔다.

    최근 북한이 잇따라 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재진입체 기술이 최신식보다 낮은 수준이라는 국정원 보고도 나왔다. 김 의원은 "8월22일 김정은의 화학재료연구소 방문 시 공개된 사진을 토대로 미사일을 분석한 결과, 재진입체의 첨두부 제작 공정 사진에서 뭉툭한 첨두부의 모양을 볼 때, 뾰족한 모양의 ICBM 재진입체 보다는 낮은 수준이라는 평가도 있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가 철저히 이행될 경우 북한의 외화 수입이 연 1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국제사회의 제재가 강화되자 북한 보위성은 대대적인 체제 불만자 색출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정보위 야당 간사인 자유한국당 이완영 의원은 "대북 제재 강화에 따른 주민 피로감이 커져서 보위성이 체제 불만자를 색출하고 평양 시내 전과자와 무직자를 추방했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국정원은 향후 남북관계와 관련해 "북한이 2013년 긴장 조성 후 남북회담을 수용하며 유화모드로 순회했던 반면, 이번엔 김정은의 핵 자신감으로 당분간 남북관계에서 진통이 예상된다"고 보고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한편 북한이 지난 26일 동해상으로 발사한 발사체를 '방사포'라고 청와대에 최초 보고한 기관은 국가정보원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정보위원회 이철우 위원장은 CBS와 만나 "국정원에서 (당시 청와대에) 먼저 방사포라고 정보를 줬다고 한다"며 "처음에는 우리가 (미국보다) 먼저 발사체 궤적을 보고 방사포일 가능성이 크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청와대는 북한 도발 당시 "발사체는 '개량된 300㎜ 방사포'(대구경 다연장포)로 추정된다"고 밝혔지만, 미군 태평양사령부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라고 평가했다. 이후 우리 군은 28일 "한미공동 분석결과, 300㎜ 방사포보다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됐다"고 청와대의 발표를 사실상 수정했다.

    이 위원장은 국정원의 오판에 대해 회의에서 질타가 있었으며, 국정원은 "좀 더 빨리 알려야 하기도 하지만, 좀 더 신중히 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이 위원장은 "우리가 (미국 보다) 빠르게 판독을 한 것이지, 한미 간 정보 공조가 안 되는 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