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카카오뱅크 열풍 "폰 분실하면 통장 잃어버리는 셈"



금융/증시

    카카오뱅크 열풍 "폰 분실하면 통장 잃어버리는 셈"

    - 앱 설치 후 가입 10분도 안 걸려
    - 수수료, 대출금리 낮고 예금금리 높아
    - 직관적이고 간편…누구나 쉽게 가능
    - 저신용자 대출 쉬워 과잉대출 우려
    - 폰분실, 해킹에 취약…보안 유의해야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변상욱 대기자 (김현정 앵커 대신 진행)
    ■ 대담 : 홍기훈 (홍익대 경영학부 교수)

     

    카카오뱅크, 그야말로 열풍입니다. 지난주 국내 2호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가 문을 열었습니다. 영업 닷새 만에 신규 고객 100만 명을 돌파했다고 하고요. 시중은행들이 긴장할 정도라고 합니다. 카카오뱅크, 시중은행과 어떤 차별점에서 사람들이 몰리는지 또 무엇을 조심할 건 없는 건지 홍익대 경영학부의 홍기훈 교수를 연결해서 도움말씀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홍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 홍기훈> 네, 안녕하세요.



    ◇ 변상욱> 이걸 '열풍' 이렇게 소개를 했습니다마는 정말 열풍이라고 부를 만합니까?

    ◆ 홍기훈> 네, 이게 엄청난 이슈몰이를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주변에 좀 물어봤는데요. 대부분이 계좌를 만드셨더라고요. 이게 27일날 가입이 시작이 됐는데 그러고 나서 시간당 1만 명에게 2만 명 정도 고객이 지속적으로 유입이 됐다고 하고요. 출범 12시간 만에 시중은행 연간 비대면 계좌개설인 15만 건을 이미 넘어섰다고 합니다. 그리고 영업 하루 만에 30만 명. 이게 어느 정도 숫자냐면 첫 인터넷은행인 케이뱅크가 출범이 100일이 넘은 현재도 40만 명 정도 이용자를 모집을 했거든요. 그걸 감안하면 홍보전략도 좋았고 주변의 기대감도 컸던 것 같습니다.

    ◇ 변상욱> 은행 계좌를 개설하려면 사실은 이것저것 가서 창구에 있는 직원과 뭔가를 해야 되는데 계좌 개설을 그 자리에서 아무 데서나 할 수 있다. 이건 상당히 간편한 절차인 것 같아요. 해 보셨는지요, 혹시?

    ◆ 홍기훈> 네. 사람들이 엄청 몰렸다고 해서 31일에 가입을 해 봤는데요. 가입하는 데 정말 10분도 걸리지 않더라고요.

    ◇ 변상욱> 그러면 일단 어플부터 깔아야 되나요?

    ◆ 홍기훈> 네. 어플을 깔고 가입을 하고 인증을 받으면 됩니다.

    ◇ 변상욱> 시중은행하고 어떤 것이 공통점이고 어떤 것이 차이점입니까?

    ◆ 홍기훈> 이게 물리적인 은행지점이 없다뿐이지 계좌를 가지고 있는 일반 이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실질적으로 똑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카카오뱅크 같은 경우에는 예금, 적금 상품이 굉장히 단순하거든요. 그리고 그 종류가 많지 않아서 일반 시중은행에 비해서 자유도는 조금 떨어질 수 있지만 이용이 편리한 것 같기는 합니다.

    ◇ 변상욱> 사실 국내 1호 인터넷은행 케이뱅크에 대해서 이렇게 폭발적이리라고는 생각을 못했습니다.

    ◆ 홍기훈> 그렇죠.

     

    ◇ 변상욱> 역시 사람들이 열광하는 이유는 분명 있군요, 간편하다. 금리는 어떻습니까?

    ◆ 홍기훈> 이게 금리가 일반 예금금리에 비해서 0.2%에서 0.3% 정도 높거든요. 그래서 이게 아마 굉장히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변상욱> 그렇죠. 금융기관과 거래를 할 때 제일 먼저 따지는 게 금리인데 해외 송금 수수료도 낮다고 들었습니다마는.

    ◆ 홍기훈> 거래수수료도 그렇고 해외 송금 수수료도 그렇고 굉장히 쌉니다. 거래 수수료는 연말까지 없고요. 해외송금 수수료가 기존의 10분의 1 수준인 것도 사실입니다. 이게 기존의 ATM 인프라를 이용하고 점포를 없애서 비용절감을 통해서 이루어낸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특히나 수수료가 없다는 건 영속적인 건 아니고요. 한시적이니까 이 부분은 유의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변상욱> 연말까지라는 건 개점 서비스 차원에서 연말까지만 수수료 없이 현금 출금이 가능한 모양이군요.

    ◆ 홍기훈> 네, 맞습니다. 아마도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 쓰는 전략이 아닐까 싶습니다.

    ◇ 변상욱> 그러면 예금이나 적금 이율은 시중은행보다 높다는 뜻이고?

    ◆ 홍기훈> 네, 예금 이율은 높고 대출 금리는 싸고요.

    ◇ 변상욱> 이렇게 따지면 한 가지 의문은 도대체 우리한테 공인인증서의 OTP를 요구하고 낮은 이율과 또 자기네들이 받을 때는 높은 이율. 이걸 계속 강요했던 은행들은 도대체 뭐냐 이런 의문이 드는데 이걸 어떻게 해석하면 좋겠습니까?

    ◆ 홍기훈> 이게 사실 굉장한 오해 중의 하나라고 저는 생각을 하는데요. 카카오뱅크는 하는데 왜 나머지 은행은 하지 않느냐 무조건 비판할 문제는 사실 아닙니다. 이게 기존 은행들은 점포 유지비하고 높은 인건비 그리고 또 다른 여러 가지 비용적인 측면에서 카카오뱅크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거래수수료는 이미 이야기했듯이 한시적으로 받지 않는 거지 영속적일 수는 없는데요. 이 수수료라는 게 서비스에 대한 대가입니다. 가격이 낮아지면 질적인 부분을 포기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수수료가 낮은 게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적정한 수수료는 기존 은행들뿐만이 아니라 카카오뱅크가 재무건전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일 수 있습니다.

    ◇ 변상욱> 대출신청은 폭주하고 있다고 하고 대출승인은 굉장히 쉽다고 소문이 났습니다. 그런데 신용등급이 8등급인데도 가능하다고요?

    ◆ 홍기훈> 그러니까요. 8등급 저신용자가 이용할 수 있고 한도도 1억 5000만 원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어서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비용이 매우 저렴한 상태거든요, 지금. 그러다가 보니까 저신용대출의 가격을 잘못, 정확하게는 너무 싸게 측정을 해서 과잉대출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은 우려할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역시나 기존에 대출을 받은 고객의 신용등급이 하락됐을 때 기존의 은행들은 그에 대한 대처 매뉴얼이 다 정해져 있는데 이 리스크 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질지는 사실 우려가 되는 부분이긴 합니다.

    ◇ 변상욱> 보시기에 인터넷전문은행이 이렇게 되면 기존 제도권 은행들을 확실하게 위협하면서 잠식해 나갈 것 같습니까?

    ◆ 홍기훈> 충분히 위협적이 될 수는 있습니다. 다만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모델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하에라고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이게 낮은 수수료, 낮은 대출 금리, 높은 예금 금리를 싫어할 사람은 없잖아요. 이게 실제로 돈을 벌 수 있는 모델이라면 그리고 리스크가 제대로 관리되는 부분이 있다면 다른 은행들이 쫓아가지 말아야 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다고 봅니다.

    ◇ 변상욱> 고령층들은 아직 스마트폰에 좀 익숙지 않습니다마는 고령층들도 조금만 배우면 바로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까?

    ◆ 홍기훈> 매우 직관적이고 간편합니다. 거기에다가 깔끔하고 군더더기 없어서 쓰기 매우 쉽습니다.

    ◇ 변상욱> 마지막으로 이건 걱정이 되는 부분입니다. 제 스마트폰이 해킹을 당하거나 아니면 그 은행의 시스템이 해킹을 당하거나 이런 걱정들도 하는 거거든요.

    ◆ 홍기훈> 이게 보안적 측면에서는 이제는 핸드폰 관리를 더 잘하셔야 될 거라고 생각을 하는데요. 비밀번호만 있으면 송금이 가능해지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간편결제라는 게 양날의 검입니다. 비밀번호만 가지고 쓸 때는 매우 편리한데 핸드폰을 잃어버리고 비밀번호를 해킹당하면 송금이 그냥 되는 거기 때문에 핸드폰 관리를 매우 잘하셔야 할 겁니다.

    ◇ 변상욱> 개인적인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양날의 검’이라는 말씀 새겨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가계대출이 너무 지금 많이 나가 있어서 가계부채가 시한폭탄이라고 얘기하는데 이걸로 인해서 사회 속에서 무리한 대출들이 너무 많아지면 그것도 사회적으로는 걱정이 좀 되는 것 같고.

    ◆ 홍기훈> 대출과정이 쉬워진다고 해서 상환이 쉬워지는 건 아니거든요. 돈을 빌릴 때는 갚을 수 있을 정도만 빌리는 게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 변상욱>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홍기훈> 감사합니다.

    ◇ 변상욱> 카카오뱅크 열풍에 대해서 홍익대 경영학부의 홍기훈 교수로부터 들어봤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