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이낙연 전남지사가 '한전공대' 설립에 공들인 까닭은



광주

    이낙연 전남지사가 '한전공대' 설립에 공들인 까닭은

    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 대선공약으로 빌표 '청신호'

     

    이낙연 전남지사가 세계적 수준의 한전공과대학(KepcoTech) 설립에 각별히 공을 들이고 있다.

    전남도는 "나주혁신도시내에 조성 중인 에너지밸리의 성공 조건인 우수인력 양성과 공급을 위해 한전공대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설립비용만도 5000억 원 규모로 추정되는 한전공대를 한국전력(Kepco) 인근 150만㎡ 규모로 오는 2020년까지 설립한다는 구상이다.

    전남도는 에너지신산업은 국가적으로나, 지역적으로 미래핵심 성장동력으로 에너지신산업 성공을 위해 한전 중심의 에너지밸리 조성이 필요하고 핵심은 우수한 인력 양성과 공급 시스템에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 세계적으로 성공한 혁신도시의 공통된 요인은 우수 인력을 양성하는 대학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에서 운영주체는 한전으로 하고 포항공대(PosTech)설립·운영 및 규모를 벤치마킹할 계획이다.

    앞서 전남도는 지난 3월 전남지역 대선공약으로 발굴 주요정당에 건의했고 최근 유력 대선주자인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한전공대 설립을 공약으로 발표하면서 전남도의 구상이 한층 더 탄력을 받게 됐다.

    전남도는 포스코와 포스텍의 관계처럼 한전과 에너지기업의 혁신을 촉진하고 에너지밸리의 지속적 발전을 담보 '수도권(서울공대)-충청권(KAIST)-영남권(PosTech)'과 호남권(KepcoTech)을 잇는 국토균형발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고급인력 공급대책을 미리 준비하지 못하면 타 지역에서 여전히 핵심 기술개발은 이루어지고 전남지역은 질 낮은 일자리만 제공하게 되는 상황이 우려됨에 따라 한전공과대학은 파괴력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나주 빛가람 혁신도시를 실리콘밸리 등 세계의 성공한 혁신도시 사례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실제로 미국의 스탠포드 대학 남쪽의 스탠포드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형성된 '실리콘 밸리'는 70년대 초 이 지역이 반도체와 컴퓨터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이름 붙여졌으며 첨단산업, 지식산업, 미래산업 등이 산업의 기술혁신을 상징하고 있다.

    스탠포드 공단은 50년대 중앙정부의 군수산업 투자, 60∼70년대 집적회로 상업화, 80년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퍼스널컴퓨터 개발, 90년대 인터넷 소프트웨어가 실리콘밸리의 기술혁신과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실리콘밸리의 스탠포드대학 뿐만 아니라 소피아앙티폴리스 파리국립공과대, 시스타 스웨덴 왕립기술대학, 중관촌의 칭화대학 등 세계적으로 성공한 혁신도시의 공통요인은 우수인력을 양성하는 대학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고 밝혔다.

    이낙연 지사가 이처럼 간부들에게 한전공대 유치의 필요성을 설파, 독려하면서 전남도는 "대선 이후 유관기관 협의체를 구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이끌어 내는 등 행정력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