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활용도 낮은 주거용 에너지저장장치(ESS)…"민간진입 허용해야 시장 성장"



기업/산업

    활용도 낮은 주거용 에너지저장장치(ESS)…"민간진입 허용해야 시장 성장"

    한경연 보고서 "주거용·소규모 ESS 활용도 높이려면 전력산업 구조 개편 필요"

    주거용·소규모 상업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전력 소매판매 시장에 민간기업 진입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일 '에너지 프로슈머 시장에서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활용 사례 및 제도 개선 필요성'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에너지저장장치(ESS)란 전력 생산량이 많거나 사용량이 적은 시간에 전기를 배터리 등 저장장치에 저장했다가 사용량이 많은 시간 또는 비상시에 공급해 에너지 효율과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높이는 설비를 말한다.

    (표=한국경제연구원 제공)

     

    ◇ ESS 설치용량 세계 2위, 가정용·상업용 ESS 활용 비중은 13.8%에 불과

    한경연은 "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 활용에 있어서는 선두국에 속하지만 향후 유망 분야인 주거용·소규모 상업용 에너지저장장치 활용도는 높지 않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독일 다음으로 가장 큰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의 누적 설치 용량(양수발전 제외)을 확보하고 있는 국가다. 반면 우리나라에서 운영 중인 58개 에너지저장장치 프로젝트 중 설치용량이 200㎾이하인 가정용·상업용은 8개로 13.8%에 불과하다. 미국과 독일은 각각 49.9%, 40.4%에 달했다.

    송용주 한경연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에너지저장장치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소규모 전력소비자의 경우 이 장치를 활용한 수익 창출 방안도 마땅치 않아 주로 대규모 민간 사업장이나 전력공기업에서만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가정이나 소규모 사업장에서의 에너지저장장치 활용도를 높이려면 전력산업 구조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태양광 발전 설비에 에너지저장장치를 연계해 설치하면 잉여 전력을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해 비상시 사용하거나 판매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면 설치비 대비 비용절감 효과가 크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전력 판매시장을 한전이 독점해 민간 중개업자의 시장진입이 어렵다기 때문에 개인이 전력 판매로 수익을 내기가 불가능하고 통신·건설·금융 등과 융합한 신규 서비스 도입도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그래프=한국경제연구원 제공)

     

    ◇ "韓 전력 판매 시장에 민간기업 진입 허용해 다양한 수익 모델 모색 필요"

    독일은 전력 소매판매 시장에 민간 기업 진입이 가능해 소규모 전력 중개 사업자를 통한 전력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주거용 에너지저장장치 사용량도 증가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주거용 태양광 설비를 신규 설치할 때 에너지저장장치와 연계해 설치한 비중이 2014년 14%에서 2015년 41%로 3배 가량 늘었다.

    송용주 연구원은 "독일은 현재 민간 판매기업 1000여개를 통해 소규모 전력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며, "1998년 전력 발전·판매 사업에 민간 기업 진입을 허용하는 등 에너지 프로슈머 시장 성장 기반이 이미 갖춰져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성과"라고 주장했다.

    송 연구원은 "우리도 독일처럼 에너지 프로슈머 시장을 활성화하려면 관련 법 개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6월 에너지 프로슈머를 허용하는 전기사업법 개정안이 정부에서 발의됐지만 전력 소매판매 시장의 민간 진입을 금지하는 개정안과 충돌하면서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다.

    이로 인해 지난해 11월 시작될 예정이었던 소규모 전력중개 시범사업은 무기한 지연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