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코스미즘' 전시 …태양의 자취와 9.11의 연관성은?



공연/전시

    '코스미즘' 전시 …태양의 자취와 9.11의 연관성은?

    아트선재센터, '이주요/정지현:Dawn Breaks, Seoul' '기업보고서: 대우 1967–1999'

    Melvin Moti, Cosmism, 2015, 28min., 4k video, sound, color

     

    아트선재센터는 멜빈 모티의 '코스미즘(Cosmism)'을 1층 프로젝트 스페이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기후 변화와 국제적 갈등의 상호 관련성을 다루는 필름 '코스미즘(Cosmism)'(2015, 4K 필름, 28분)과 6점의 실크 연작 '클러스터 일루전(Cluster Illusion)'(2014)을 선보인다.

    '코스미즘'은 여러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통해 광범위하게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동시에 글로벌 공동체로서는 단절된 상태에 놓여 있는 우리의 현 상황을 관찰하면서, 역사적인 시각에서 현재의 흐름을 한 걸음 물러나 바라본다.

    '코스미즘'은 20세기 초반 초자연적이고 불가해한 이론을 우주 과학과 결합시킨 러시아 사상가들의 그룹인 코스미스트(Cosmists)의 사상적 개념에서 출발한다. 이들은 인간과 우주의 관계에 관한 전체론적이고 인간중심적인 세계관을 발전시켰다. 코스미스트(Cosmists)들 중 알렉산더 치제프스키 (1897 – 1964)는 태양의 표면 폭발이나 흑점 등 태양의 활동이 활발한 시기에는 지구에서 전쟁, 혁명, 전염병, 자연재해가 증가하는 반면 태양의 활동이 더뎌질 때에는 군사적, 정치적 사건이 줄어드는 상응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해냈다. 인간을 우주의 한 부분으로 여기는 코스미스트의 세계관은 지금처럼 산산조각 난 해체의 시대에 더 절실하게 요구되는 추동력이다. 더욱이 치제프스키의 태양 이론은 현대 사회를 대변하는 두 가지 이슈인 기후 변화와 국제적 갈등의 문제를 하나의 틀 안에서 보게 만든다.

    유독 태양의 활동이 활발했던 2001년을 보면, 한 해 중 특히 9월의 활동이 눈에 띈다. 멜빈 모티의 필름 <코스미즘>은 9.11 사태와 이라크 전쟁에서 나타난 흔적이 태양의 자취와 연관되어 있다는 바로 이 점을 활용했다.

    6점의 실크 연작 <클러스터 일루전="">은 구름 사이를 뚫고 비치는 태양빛을 묘사해 마치 사진처럼 보인다. 광학적이고 촉각적인 이 작업을 통해 우리는 사진적 이미지가 어떻게 추상적인 패턴으로 변화하는 가를 살펴볼 수 있다. 이 작품은 패턴(이미지)을 항상 추상적인 어떤 것으로 인지하려는 인간 두뇌의 경향성을 탐구한다. 우리의 뇌는 이미지를 구성하는 뚜렷한 점을 보지 않고, 이 점들을 환영적인 구름으로 변환시켜 인지한다. 부분과 전체의 관계, 다시 말해 지역과 전 지구의 관계는 이렇게 ‘클러스터 일루전’으로 회귀한다.

    Melvin Moti, Study for Moss Garden

     

    한편, '코스미즘' 전시 기간 동안 멜빈 모티가 현재 진행 중인 작업 '이끼정원에 관한 연구(Study for Moss Garden)'(2016) 도 1층 로비에서 관람이 가능하다. 아트선재센터에서 처음으로 소개되는 이 작업은 DMZ 땅굴 안에서 채종한 이끼를 재배하여 땅굴 밖에 설치함으로써 땅굴 안과 밖에서 벌어지는 사건 사이에 일련의 관계성을 부여한다. 이를 통해 관객은 땅굴 안과 밖의 삶을 의식하고 인지하게 될 것이다.

    - 전시기간: 2017.03.18 - 05.21
    - 전시장소: 아트선재 프로젝트 스페이스(미술관 1층)
    - 참여작가: 멜빈 모티

    Dawn Breaks 2016, 광주비엔날레

     

    아트선재센터는 이주요/정지현의 '도운 브레익스, 서울(Dawn Breaks, Seoul)'을 개최한다. 이 전시는 이주요/정지현의 협업프로젝트로 2015년 뉴욕 퀸즈뮤지움(Queens Museum)에서 시작되어, 2016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선보인 바 있다. 이어서 서울에 위치한 아트선재센터에서 3번째 협업 프로젝트가 소개된다.

    최근 이들은 퍼레이드 형식의 퍼포먼스에서 오브제들의 움직임을 구체적 타임라인에 놓아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다. 또한 다른 동료 작가들-만드는 사람들을 초대하고 그들의 시, 그림, 조각들을 자신들의 장치 위에 걸거나 놓아 움직이게 하여 일련의 스토리를 만들었다. 오브제들은 극장의 물리적 역할을 기능별로 분할하여 구성한 여러 개의 작은 극장들이 되고, 떠도는 이미지들을 모아 스토리로 엮는 장치로 기능하며, 동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토리가 여행하고 변화하는 운송수단이 되기도 한다.

    - 전시기간: 2017.03.24 - 05.14
    - 전시장소: 아트선재센터 2층
    - 참여작가: 이주요/정지현

    대우조선 1973-1999, 사진제작 김태동

     

    아트선재센터 3층 전시장에서는 1967년 대우그룹 창업에서부터 1999년 해체에 이르기까지 주요활동 사항에 대한 기록물을 연구자와 작가의 관점으로 재구성한 '기업보고서: 대우 1967–1999'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대우그룹의 주요 기록사진, 광고영상, 기업 기록물 및 임직원들의 소장품을 비롯해 750여권의 대우재단 발간서적 등이 보여진다. 이 전시는 대우의 공적, 사적인 자료들을 정리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한국경제사에서 주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한 기업이 경제 분야 이외에 그 시대의 사회문화사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인식하고, 외부인이 바라보는 객관적인 시선으로 그 위상을 점검해보고자 마련되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