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사드, 개발後 한반도 '성주' 배치 발표까지 22년 일지



국방/외교

    사드, 개발後 한반도 '성주' 배치 발표까지 22년 일지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이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실에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 지역으로 경북 성주군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

     

    고고도 미사일방어체제(THAAD)는 적국의 미사일 공격 대비 치원에서, 미 국방부가 1992년부터 개발을 시작했다.

    하지만 대기권 밖에서 빠르게 날아오는 미사일을 맞춰 떨어뜨린다는 기술은 쉽지 않아서 초기 실험은 번번히 실패하고 만다.

    1999년 6월 뉴멕시코주 상공에서 이뤄진 7번째 실험에서야 요격에 성공하는데, 두달 뒤에는 고도를 높인 요격 실험에서도 성공하게 된다.

    미국은 곧바로 한반도 내 사드 배치 가능성을 시사했다.

    2000년 1월 공개된 보고서에 따르면, 미 의회조사국(CSR)은 "북한 미사일 대처를 위해 한국에 사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대중 노무현 정부를 거치며 잠잠했다가, 2008년 4월 당시 워터 샤프 주한미군사령관 내정자는 "주한미군의 주요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PAC-3 미사일 증강 외에도 사드 시스템 개발 등의 다단계 방어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언급했다.

    (사진=미 육군 플리커)

     

    북한에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고 다시 한반도에 위기가 고조되자, 2014년 6월 커티스 스캐퍼로티 한미연합사령관은 "사드의 한국 전개를 요청했다"고 밝혔고, 한국 정부는 미국에 사드와 관련한 정보를 요구했다.

    하지만 중국의 견제 속에 한국 국방부는 지난해 3월까지도 "사드 미사일을 구매할 계획이 없다"는 공식 견해를 유지했으며, 청와대 역시 '요청도 협의도 결정도 없다'는 이른바 '3 NO' 입장을 확인했다.

    한미간 모호한 논의에 불꽃을 튀긴 건 올해 1월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그로부터 일주일 뒤 신년 대국민 담화에서 "안보와 국익에 따라 사드 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다음달 2일 스캐퍼로티 한미연합사령관이 기다렸다는 듯 사드 배치 협의를 요청했고,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이 발사되던 같은달 7일 한미간 협의가 시작됐다.

    이후 사드 배치 협의를 위한 공동실무단이 3월 4일 출범했으며, 4개월이 지난 이달 8일 사드 배치가 공식 결정됐다.

    그리고 배치 확정으로부터 5일만에, 한반도 배치 가능성이 언급된 지 16년만에 사드는 경상북도 성주의 한 방공포대로 배치가 확정되기에 이른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