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친박, 당권 재장악 가시화…원내 사령탑 점령



국회/정당

    친박, 당권 재장악 가시화…원내 사령탑 점령

    김무성 등 비박계에 뺏긴 '당권' 2년 만에 탈환 나서나

    새누리당 새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으로 선출된 정진석(오른쪽) 당선인과 김광림 의원이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 및 정책위의장 선출 당선자 총회에서 기뻐하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CBS노컷뉴스)

     

    새누리당 정진석(4선‧충남 부여공주청양) 당선자가 원내사령탑 고지에 오르면서 차기 지도부의 첫 단추가 친박계에 의해 채워졌다.

    정 원내대표, 김광림(3선‧경북 안동) 정책위의장 등 신임 원내지도부의 조합은 새로운 최고위원회를 친박계 2명이 선점했다는 것 이상의 의미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본인들은 "새누리당 사전에서 계파란 단어는 지워야 한다(정진석)"며 계파와 무관하다고 강조하지만 이번 원내대표 경선에서 친박 핵심이 '정-김' 조를 지원했다는 관전평이 나돈다.

    당내에서는 벌써부터 화력이 검증된 친박계가 내친 김에 ‘당권 재(再)장악’ 가도에 속도를 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 親朴 ‘결집’…김무성에 뺏긴 당권 탈환 ‘교두보’ 마련

    정 원내대표가 119표 중 69표를 얻은 것은 친박계의 결집을 의미한다. 나경원, 유기준 의원과의 3자 구도였기 때문에 당초 결선 투표 전망도 있었지만 1차 투표로 경선이 마무리됐다. 정 당선자와 같은 친박계인 유 의원이 7표에 그친 점도 ‘표 쏠림’이 있었음을 방증한다.

    경선 과정에서 친박계 ‘실세’ 최경환 의원이 유 의원의 출마에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하면서 ‘가이드라인’이 됐고, 45명에 달하는 초선 의원 중 다수가 ‘보이지 않는 손’의 지시에 따른 것 아니냐는 ‘표 분석’이 제기됐다.

    친박계 입장에선 정 원내대표의 당선을 교두보로 전당대회에서 당권 접수에 나설 경우 비박계에 뺏겼던 당권을 2년 만에 되찾는 셈이 된다.

    지난 2014년 7월 친박 ‘맏형’ 서청원 의원이 김무성 대표에게 져 당권을 내줬다. 앞서 같은 해 5월 황우여 의원이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의장 경선에서 패했고, 지난해 2월엔 이주영 의원이 무소속 유승민 의원에게 원내대표 경선에서 무릎을 꿇었다.

    내리 세 차례 패한 친박계가 이번 원내대표 경선 승리로 비로소 설욕에 나서게 된 형국이다.

    ◇ ‘원외’ 더해지면 전당대회 때 세력 더욱 강화

    친박계의 반전은 20대 총선 공천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공천자 중 다수가 친박계였고, 또 이들이 총선에서 살아남으면서 원내 비중이 커진 결과다.

    이 같은 현상은 원외 당협위원장까지 포함해 치르는 전당대회에서 더욱 뚜렷해질 가능성이 크다. 친박계가 자체 분석한 결과 지난 총선 공천자 중 친박계의 몫은 110명 이상이다.

    하지만 원내대표 경선 결과가 친박계의 결집으로만 해석할 수 없다는 분석도 있다. 여권 관계자는 3일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비박계 중 일부가 정 원내대표를 지지한 것으로 안다”며 “전당대회 출마를 원하는 일부 비박계 인사들이 나경원 의원 쪽에 서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현재 전당대회 출마자로 거론되는 인물 중 친박계는 서청원, 최경환, 홍문종, 이정현 의원 등이다. 비박계에선 정병국, 이혜훈 의원 등이 거론된다.

    ◇ 당심(黨心)에서 멀어진 非朴 ‘위축’ 예상

    나 의원이 43표를 얻는 데 그친 비박계는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4‧13 총선 참패에 대한 책임론을 제기하며 ‘친박 2선 후퇴론’ ‘당의 혁신’ 등을 요구했던 비박계와 쇄신파는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비박계 관계자는 “당초 원내대표 경선과정에서 정견 발표 등 현장에서 역전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란 기대를 해봤었다”며 “하지만 비박계가 토론 과정에서 차별화 된 쇄신 비전을 보여주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비박계가 퇴조했기 때문에 쇄신 기류보다 ‘당의 안정’에 방점이 찍힐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당 관계자는 “친박계가 외부 비대위원 영입 등 판을 크게 벌이지 않고 당을 조기에 수습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며 “원내대표에 이어 차기 당권까지 거머쥔 뒤 별도의 혁신위원회를 꾸리는 것으로 쇄신 이슈가 축소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