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은수미 "필리버스터 마지막날, 영화 ET 떠올라"



국회/정당

    은수미 "필리버스터 마지막날, 영화 ET 떠올라"

    - 필리버스터 중단, 늘 하다마는 이미지 우려
    - 새누리가 위협을 느끼는데 왜 우리가 접나
    - 당원으로서 당 결정 따르겠지만 유감스러워
    - 필리버스터, 더민주만의 것이 아니다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은수미(더불어민주당 의원)

    더불어민주당이 테러방지법 저지를 위한 무제한 토론, 필리버스터를 중단하기로 최종 결정을 내렸습니다. 어제도 저희가 자세하게 전해 드렸습니다마는 지도부가 결정을 내린 건 그제 밤이죠. 그래서 어제 아침 9시에 이종걸 원내대표가 기자회견을 통해서 선언을 하기로 했는데. 이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하는 의원들이 의총 요구를 했고요. 기자회견은 취소가 됐습니다. 그래서 어젯밤 의총이 소집이 된 겁니다. 격론 끝에 필리버스터 중단으로 결론은 내려졌습니다마는 당내 구성원들과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비판의 목소리도 만만치가 않습니다. 어제 저희는 권영철 기자가 필리버스터를 중단할 수밖에 없는 지도부의 이유, 전달을 해 드렸다면 오늘은 비판의 목소리도 전해 드립니다. 10시간 동안 필리버스터를 이어가면서 화제를 모았던 분이죠. 더민주 은수미 의원 연결이 돼 있습니다. 은수미 의원님, 안녕하세요.

    ◆ 은수미> 안녕하세요, 은수미입니다.

    ◇ 김현정> 오늘 아침은 은수미 의원뿐 아니라 모든 야당 의원들 심경이 좀 복잡하실 것 같아요.

    ◆ 은수미> 예. 제가 잠을 자지 못할 정도로 마음이 아픈 건 맞는데요. 마음이 아픈 것조차도 사치죠. 왜냐하면 오랜만에 정말 처음으로 야당다운 야당을 봤다. 그러면서 필리페스티벌이라고까지 얘기하신 국민들을 생각하면 그분들의 좌절을 생각하면 제가 아픈 건 사치라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밤잠 또 못 주무셨어요, 어제?

    ◆ 은수미> 네.

    ◇ 김현정> 그러셨구나. 그러니까 중단한다라는 그 기자회견을 이종걸 원내대표가 열려고 했을 때 안 된다,의원총회부터 소집해야 된다. 강하게 주장을 하신 분이 은수미 의원이시라고요.

    ◆ 은수미> 네.

    ◇ 김현정> 왜 그러셨어요?

    ◆ 은수미> 그러니까 그제 밤 11시에 의원총회를 마쳤었어요. 그때 분명히 원내대표께서 3월 1일도 계속 필리버스터를 유지한다, 계속한다라고 말씀하시고 끝났는데 그것도 채 1시간이 안 돼서 속보가 뜬 거죠. 저는 본회의장에 있었는데 뉴스K 기자께서 전화를 하셨어요. 방금 속보가 떴는데 사실이냐.

    ◇ 김현정> 필리버스터 중단이라는 속보가 났는데 이거 사실인지 은수미 의원, 확인 좀 해 주세요, 이런 전화를 언론사로부터 받으셨어요?

    ◆ 은수미> 그래서 “ 오보일 겁니다. 왜냐하면 1시간쯤 전에 의원총회를 이러저러하게. 그러니까 계속한다는 걸로 끝냈습니다, 확인해 보겠습니다” 하고 나서 이종걸 원내대표팀을 찾아다닌 거죠. 그래서 새벽 2시 넘어까지 부탁을 드렸어요.

    ◇ 김현정> 뭐라고요?

    ◆ 은수미> 의견이 다 다른 의견이 있다는 건 저도 존중을 하는데, 이건 절차상의,민주주의적 절차상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겁니다. 거기다가 비대위에서 요구를 했다는데 저희들은 공식적으로 그런 비대위의 의견 들어본 바가 없고. 만약 그런 요구가 분명히 있었다면 그건 당내에서 논의가 되고. 그래서 서로 다름을 존중하면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봐야 될 뿐만이 아니라 이제 더 이상 필리버스터는 우리들만의, 야당만의 것이 아닙니다. 지금 시민들이 함께하시는데, 시민들이 함께 납득하고 함께 접을 수 있는, 제발 그러한 과정이라도 밟아야 되는 거 아니냐.

    ◇ 김현정> 절차상의 문제부터 제기를 하신 거군요.

    ◆ 은수미> 예. 왜냐하면 의견이 다른 건 서로 많이 알고 있으니까요. 그 의견이 다른 걸 잘 통합을 해야지 당이 사는 거 아니겠습니까. 아니면 분열로 나갈 텐데.

    더불어민주당 은수미 의원 (사진=박종민 기자)

     

    ◇ 김현정> 알겠습니다. 그래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하셨어요. 그러면 은 의원님, 절차만의 문제입니까,아니면 지금 중단이라는 결정 내용도 틀렸다고 보세요?

    ◆ 은수미> 이건 정말 개인적인, 그러니까 당이 결정이 되면 당원이자 의원으로서는 여기에 동의를 하는 게 마땅합니다. 제가 개인적 의견도 밝혔습니다. 개인적 의견을 밝힐 수는 있는 거니까요.

    ◇ 김현정> 그럼요.

    ◆ 은수미> 저는 사실은 아무도 기대를 하지 않았어요. 제가 올라갔을 때조차도, 그리고 제가 올라가는 걸 만류하는 의원들도 있었습니다. 너 그렇게 올라가면 테러방지법의 발목을 잡는다. 테러방지법의 발목을 잡는 사람은 비애국자다. 이렇게 일종의 마녀사냥을 당할 텐데.

    ◇ 김현정> 필리버스터 하러 연단에 올라가면.

    ◆ 은수미> 예. 그러면 마녀사냥을 당할 텐데. 그리고 너 총선을 못 치른다. 그러니까 저를 아끼시는 선배 의원들께서조차도 그렇게 크게 우려를 하셨어요. 그리고 최소한 대여섯 시간 할 텐데 그때 만약 말 한마디라도 실수를 하게 되면 또 엄청나게 역풍이 몰아치는데, 그로 인한 피해는 당신뿐만이 아니라 당 전체에 끼친다라는 얘기까지를 하셨기 때문에. 사실은 어떠한 기대도 없이 솔직하고 진정성 있게 올라가겠다고 했고요. 그리고 그것이 소통이 됐고 사실은 처음으로 지지자들께서 같이 보면서, 날밤을 새면서 이걸 같이 보면서 우리로서는 처음으로 결집이 시작이 된 거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새누리당쪽에서는 선거용이었다라고 얘기를 하는 거 아니겠습니까?

    ◇ 김현정> 그렇게 비판을 했었죠.

    ◆ 은수미> 그런데 새누리당이 선거용이라고 위협을 느끼는데, 왜 우리 당에서 이것을 선거에 안 좋을 거다. 그것도 선거 때까지 가겠다는 것도 아닌데.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은 맞지 않다.

    ◇ 김현정> 그러니까 지금 새누리당이 이거 선거용이다, 중단해라라고 하는 건 새누리당이 정말 이게 선거에 위협이 될 거라고 위협을 느껴서 그러는 걸 텐데. 이걸 왜 활용 못하고 선거 때문에 그만 둔다라고 얘기를 하느냐, 그 판단은 옳지 않다, 이렇게 보시는 거예요?

    ◆ 은수미> 예, 그렇죠.

    ◇ 김현정> 그런데 지금 비대위의 김종인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뭐라고 하냐면. 3월 10일까지 버텨서 테러방지법을 진짜 고칠 수만 있다면 모르겠는데, 10일까지, 그러니까 국회 회기까지 버틴다 한들 국회법상으로는 그 다음 국회가 열리면 상정된 법안은 무조건 표결을 하도록 돼 있지 않은가. 그런데 이미 여당과 보수언론들은 이념 프레임으로 몰고가기 시작을 했고 여기에 말리면 총선 끝난다는 거, 총선 망친다는 건 과거 경험을 봤을 때 알지 않느냐. 이런 말씀 하세요.

    ◆ 은수미> 아니죠. 왜냐하면 저희가 처음 시작할 때부터 3월 10일 끝나고 나서도 막을 수 없다라는 걸 분명히 했고요. 저도 필리버스터를 할 때 그 얘기를 드렸고, 많은 필리버스터 연단에 서신 거의 모든 의원들이 그 얘기를 했고요. 우리 지지자들도 알고 있어요. 아예 SNS상에서는 그것 때문에 토론이 일어났을 정도예요. 광범위한 토론이 일어나도 해야 된다라는 의견이 어쨌든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대부분이었던 이유는, 우선 우리가 언로가 막혀 있죠. 언론 환경이 좋지 않다 보니까. 테러방지법이 국민감시법이다. 모든 국민이 사찰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가능성이지만. 그런 얘기. 내 핸드폰을 누군가 들여다보고 있다라는 것을 알지 못하고, 그리고 그것이 실제 가능한지. 이런 얘기들은 충분히 돼야 된다라는 게 첫 번째였고요. 그 다음에 이렇게 계속 문제가 있고 국민의 인권이 훼손된다라는 걸 알면, 예를 들어서 그것이 통과된다 하더라도 향후에 그것을 바꿔야 된다라는 힘이 지금 집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대선이 돼서 이런 테러방지법에 의한 어떤 인권 훼손을 문제제기하고, 그것을 제1호 법안 같은 형식으로 낸다면 그것은 정말 필요하구나라는 공감도 얻을 수 있다.

    ◇ 김현정> 국민적 여론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라도 계속해서 이 법안의 문제를 알렸어야 된다 이 말씀이세요, 10일까지?

    ◆ 은수미> 이것은 헌법상의 불가침 인권이 유린되는 거고요. 한 번 유린된 인권은 자연 생태계도 비슷하지만 회복되기가 어려워요.

    ◇ 김현정> 알겠습니다. 그런 이유에서. 그런데 또 지도부는 이런 말씀 하세요. 바로 지금 말씀하신 그 지점. 그러니까 테러방지법이 이대로 통과가 되더라도 나중에 재개정을 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선거에서 이겨야 하는데, 그러려면 지금이라도 총선에 올인을 해서 중도층 지지자들도 껴안는 이게 필요하지 않겠느냐, 이런 현실성을 생각해야 된다. 이렇게 말씀하시던데요.

    ◆ 은수미> 바로 그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거죠. 이런 식으로 함부로 중단을 하면 누가 우리에게 표를 줍니까? 항상 그럴 텐데. 하다 말 텐데.

    ◇ 김현정> 하다 말 텐데.

    ◆ 은수미> 그럼 테러방지법 재개정안을 내도 그것도 하다 말 텐데. 한두 번이었냐. 그러면 정말 제대로 호소하는 모습을 보이고,국민 앞에서 도망가지 않고. 그런 모습을 보여주면 "아, 저 사람들한테 좀 희망을 걸고 그래, 재개정을 할 사람들이구나." 이건 아이들도 판단하잖아요. 저 사람이 진짜 재개정을 하려고 하는지 아닌지를. 지금 도망가 버리면 그건 거짓말이 되는 거예요.

    ◇ 김현정> 도망간다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그것이 우려된다 이런 말씀이세요. 은수미 의원 지금 만나고 있습니다. 알겠습니다. 정리를 해야 되는데. 아까 은수미 의원도 말씀하셨지만 어쨌든 당이 결정을 했기 때문에 당원은 다수 의견에 따라야 한다 말씀하셨어요. 그래서 마지막 질문이 되겠는데요. 일주일을 어쨌든 우리가 정리를 해야 됩니다. 일주일간의 이 필리버스터, 세계 최장 기록이라고 하죠. 이 과정 보면서 은수미 의원이 느낀 점. 정리를 한마디로 하자면 뭐라고 하시겠어요?

    ◆ 은수미> 아주 짧은 순간이었지만 처음으로 마치 ET 영화 같았어요. 외계인과 지구인이 처음으로 손을 딱 접촉하는 그 장면이 있죠.

    ◇ 김현정> 있죠, 있죠. 손가락, 두번째 손가락.

    ◆ 은수미> 처음으로 국민과 마음을 다해서 접촉이 된 듯한, 그러니까 전기가 오르는 듯한 느낌이었고요. 그 느낌은 단지 느낌이 아니라 저는 역사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제가, 그리고 우리 당이 졌지만 국민이 지지 않았어요. 국민은 옆에 계시고 정말 최고의 국민임을 저도 알았고. 그 국민의 역사를 이어가기 위해서 최선을 다할 사람들이 훨씬 더 많아졌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ET 영화가 생각이 났다. 이 한마디로 정리를 해 주시니까 어떤 건지 감이 좀 오네요. 은 의원님 고생하셨고요. 오늘 고맙습니다.

    ◆ 은수미> 감사합니다.

    ◇ 김현정> 더민주 은수미 의원이었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