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스마트폰 업계에 부는 '감원 칼바람'…20%안팎 구조조정



기업/산업

    스마트폰 업계에 부는 '감원 칼바람'…20%안팎 구조조정

    LG '대팀제 도입' 삼성은 '인력 재배치'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전자업계가 세계 휴대전화시장 포화상태와 이에따른 실적부진이 지속되자 인력을 순환배치하거나 감원하는 방식으로 구조조정에 착수해 연말 인사철을 앞두고 직원들의 감원공포가 커지고 있다.

    20일 LG전자 관계자 등에 따르면, 구미공장 등의 기존 모바일사업부의 조직형태는 하드웨어나 AP 등 세부 분야별로 팀이 난립해 있었고 이에따라 업무가 겹치거나 연결되는 부분이 많았는데 이를 '대팀제'로 통폐합해 인력을 운영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팀조직을 확대해 회사내 인력풀(pool)에서 차출해 거대 프로젝트 단위로 인력을 운용하고 세분화돼 있던 과거 팀을 통폐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잉여인력은 구조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람이 많이 줄게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예를들어 과거 스마트폰 제조를 위해 수십개의 팀으로 세분화돼 있던 조직을 통폐합한 뒤 특정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대팀 구성이 결정되면 인력풀에서 사람을 차출해 배치하는 식으로 인력을 운용하겠다는 것이다.

    LG전자는 회사 실적이 악화되면서 2000년대 후반 최전성기 대비 인력을 지속적으로 줄이고 있지만 여전히 실적대비 인원이 과다하다고 판단해 최소 20%내외의 인원을 구조조정할 계획이며 대팀제로의 전면적인 조직개편 시점은 추석연휴 직후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 MC부문(Mobile Communications) 직원숫자는 2013년 8천47명, 2014년 7천905명, 2015년 7천941명으로 감소추세이며 20%를 구조조정할 경우 1천500여명이 재배치나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왼쪽부터) LG그룹 여의도 사옥, 삼성그룹 서초동 사옥 (사진=박종민 기자)

     

    LG전자는 감원을 위해 회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적평가에 착수했다. 이 회사의 다른 관계자는 CBS와의 통화에서 "직원들의 역량을 평가해서 3년 연속 C등급 이하를 받은 사람은 자체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내부 직원에 따르면 "구조조정 대상 직원을 선별하기 위해 해당 직원의 5개년 실적을 보고 있지만, 고과가 좋지 않은 직원의 경우 10개년으로 늘려서 본다"며 주로 고참급 직원들이 감원대상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LG전자는 이같은 방식으로 지난해와 올해 200명에 가까운 직원을 재교육 이수자로 결정 통보했다.

    2015년 2분기 7조원에 이르는 영업이익을 실현한 삼성전자도 구조조정의 예외는 아니다. 2013년 이후 눈에 띠게 수익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이어가자 인력재배치란 이름으로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삼성은 상대적으로 실적이 덜 악화돼, 사업부서 인력이 아닌 지원부서의 잉여인력 감원이 우선 시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 고위 인사관계자는 이와관련해 "(구조조정은)일상적으로 해오던 것으로 감원이 아닌 인력재배치"라고 밝힌 바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