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정병국 "기획수사 부메랑… 김기춘, 허태열 수사해야"



정치 일반

    정병국 "기획수사 부메랑… 김기춘, 허태열 수사해야"

    "유승민 대표 연설, 보수의 새 패러다임 보여줬다"

     

    -우려했던 일이 현실로, 檢의 무리수
    -성완종이 친이? MB캠프서 본적 없어
    -유승민 연설, 자기반성하며 혁신 제시
    -유승민 개인 의견? 폄하 옳지 않아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정병국 (새누리당 의원)

    새누리당 정병국 의원을 연결을 해서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의 죽음, 그리고 유승민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연설에 대한 정치권의 반응 들어봅니다. 정병국 의원님, 안녕하십니까?

    ◆ 정병국> 네, 안녕하세요. 정병국입니다.

    ◇ 박재홍> 먼저, 또 일어나지 말아야 될 사건이 일어났네요. 성완종 회장, 이명박 정부 출범 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활동을 했었고 의원님께도 성완종 회장의 죽음, 남다른 부분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떠신가요?

    ◆ 정병국> 정말 안타깝고요. 우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제가 이 부분에 대해서 우려를 했던 부분인데 결국은 이런 사건이 벌어지고 말았네요.

    ◇ 박재홍> 우려를 했다? 어떤 부분인가요.

    ◆ 정병국> 정부에서 여러 가지 요인은 있었겠습니다마는, 대대적인 수사를 하겠다고 하면서 사건들을 명시 했어요, 총리께서 대국민담화를 발표하시면서. 그것이 과거의 역대 정부마다 보면, 정부가 그러한 방식으로 접근을 하게 되면 이게 소위 말하는 기획 수사다, 이렇게 이제 평을 받게 되고요. 또 그렇게 되면서 어떤 측면에서는 사건이라고 하는 것이 문제가 될 때 수사를 하면 되는 것 아니겠어요. 그런데 사전에 가이드라인을 주듯이 어떠어떤 사건들에 대해서 대대적으로 수사를 하겠다라고 접근을 하게 되니까, 이게 기획 수사가 되고 가이드라인이 제시가 되면서 검찰이 무리를 하면서 수사를 하게 된단 말이에요. 과거에 그런 일들을 많이 봤고, 그렇게 해서 유사한 사건들이 많이 일어나지 않았습니까? 이러한 전례들이… 그래서 이러한 부분들을 참 우려를 했는데 결과론적으로 일어나고 말았어요.

    ◇ 박재홍> 그러면 의원님 말씀은 처음부터 잘못된 수사, 이른바 기획수사가 성완종 회장의 죽음을 불러왔다, 이렇게도 보십니까?

    ◆ 정병국> 뭐 그런 부분들이 무리한 수사로 연결이 됐다고 보는 거죠.

    ◇ 박재홍>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이 사망 직전에 언론과 인터뷰를 한 게 공개가 됐는데요. 그 내용을 보면 이렇습니다. 지난 2006년에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에게 10만 달러를 줬고 또 2007년에는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때 허태열 의원에게 7억원을 건넸다라는 것인데 당사자들은 전면 부인했습니다만, 사망 직전에 이 같은 내용이 공개됐다는 것이 충격적인데 의원님은 이 문제 어떻게 보세요?

    ◆ 정병국> 참 충격적이네요. 저도 아침에 그 뉴스를 보면서 뭐라고 말하기가… 사실은 대국민담화가 나오고 나서 언론과 제가 인터뷰를 하면서 이 문제점들을 제기했어요. 결국은 이 사건이 잘못 접근을 하다 보면 부메랑이 될 거다라고 했는데 결과론적으로 그렇게 된 것이 저는 너무 놀랍고 충격적이에요.

    ◇ 박재홍> 부메랑이 됐다? 그러면 어디로 부메랑이 온 건가요?

    ◆ 정병국> 부메랑이라는 게 어디로 되겠어요.

    ◇ 박재홍> 현 정권이 문제를 제기했고.

    ◆ 정병국> 결과론적으로 과거의 전례를 보면서 제가 얘기를 했던 거거든요. 이게 똑같이 반복이 되는 것 같아요.

    ◇ 박재홍> 그런데 본인들은 그런 일 없다, 이렇게 또 대답을 했고. 그리고 또 물증이 없지 않습니까? 언론을 통해서만 공개가 된 것이고.

    ◆ 정병국>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언급할 상황은 아닌 것 같고요. 그건 검찰이 수사를 하든지 어떻게 하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이 부분에 대해서 이러쿵저러쿵 더 얘기를 하는 것은 고인에 대한 의리도 아닌 것 같네요.

    ◇ 박재홍> 그러면 수사의 필요성이 있다고 보시는군요?

    ◆ 정병국> 당연히 한 사람이 피의자로서 조사를 받으면서 압박감을 느끼다가 자살이라고 하는 극단적인 상황까지 갔고 그 과정에서 얘기를 한 건데, 그걸 수사하지 않는다라고 하면 그걸 어떻게 보겠어요, 국민들이 납득이 가겠습니까?

    ◇ 박재홍> 따라서 수사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렇게 보시는 거군요.

    ◆ 정병국> 국민들이 납득할 만한 조치를 취해야겠죠.

    ◇ 박재홍> 마지막 딱 한 질문만 더 드리자면 성완종 회장 '본인은 MB사람이 아니다' 이렇게 또 말을 했었는데, 이분은 친이입니까, 친박입니까?

    ◆ 정병국> 저는 친박, 친이다라는 것을 구분을 하는 게 지난 2007년도 대선 경선 과정에서 누구를 지지했느냐 하는 거죠. 그런데 저는 그 당시에 성완종 회장을 본 적이 없어요, 우리 캠프에서 활동하는 걸. 그렇기 때문에 제 입장에서 그걸 친박이다, 친이다라고 얘기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요. 그런데 본인 입으로 기자회견을 하면서 친이가 아니라 친박이라고 얘기했던 거 아니겠어요? 그 뒤에 MB가 대통령이 되시고 나서 인수위에 참여를 했다는 것을 가지고 친이다, 이렇게 얘기를 하는데. 친이, 친박은 당선된 이후에 나눠지는 게 아니지만 만약에 그렇다라고 하면 MB 대통령 시절에 장관을 했던 최경환 장관이나 유정복 시장도 그러면 친이라고 얘기를 해야 됩니까? 그건 아니라고 보거든요.

     

    ◇ 박재홍> 잘못된 문제다, 이런 말씀이고요. 새누리당 정병국 의원을 만나고 있습니다. 유승민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 질문을 드리죠. 의원님은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 정병국> 새로운 우리 정치 패러다임의 모습을 보여줬다고 저는 생각을 해요. 원내대표로서, 특히 여당의 원내대표로서 하기 어려운 얘기를 했다,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유승민 원내대표의 대표연설을 통해서 제시한, 우리 보수가 어떤 방향으로 혁신을 해 나가야 하는가 하는 방향을 잘 보여줬다고 봅니다.

    ◇ 박재홍> 보수 혁신의 새로운 방향을 보여줬다, 그리고 어려운 얘기를 했다고 말씀하셨는데 특히 어떤 부분이 그랬습니까?

    ◆ 정병국> 유승민 원내대표의 대표연설에 대해서 높게 평가를 하는 것은, 지금까지 보면 모든 대표들이, 어제 문재인 대표께서도 대표연설을 하셨습니다마는 어떤 방향을 제시하기 전에 자기 반성이 없었어요. 상대의 문제점만을 비판을 하고 그러면서 자신의 의견을 제시를 한 게 지금까지의 관례였고, 어제 문재인 대표도 역시 마찬가지였었는데. 유승민 원내대표의 대표연설은 우선 자기 반성부터 시작을 했던 거죠. 여당의 원내대표로서 국정지표, 국정방향하고도 맞지 않을 수 있는 부분들인데도 분명하게 국민적 입장에서 뭐가 문제다, 무엇은 잘못됐다라고 하는 것을 분명하게 얘기를 한 거죠. 이런 부분들이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보여지는 거죠.

    ◇ 박재홍> 이런 말씀도 했네요.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든가 창조경제는 성장 해법이 아니다, 이런 말을 했었는데 그러면 이 같은 유승민 견해, 의원님도 동의를 하십니까?

    ◆ 정병국> 지금까지 저는 최고중진회의라든가 인터뷰를 통해서 지금 너무 어렵다, 현장이. 국민들이 힘들어하고. 또 실질적으로 증세 없는 복지라고 하면서 공약 가계부를 만들어놓고 목표를 달성하라고 하게 되니까 현장에서는 엉뚱한 사람들이 피해를 보고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이 야기가 되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 보다 더 솔직해져야 된다는 얘기를 몇 차례를 얘기를 했고요. 그런 관점에서 원내대표가 대표연설을 통해서 이런 얘기를 했다라고 하는 것은, 저는 참 놀라운 일이고 높게 평가를 합니다.

    ◇ 박재홍> 그러시군요. 그런데 당내 반응이 그렇게 좋지만은 않은 것 같습니다. 김무성 대표는 '신선하게 잘 들었지만 당의 방침은 아니다' 이런 말을 했고. 또한 개인의 의견이다 하면서 친박계 의원들은 폄하하는 그런 움직임들도 있었습니다. 사전에 당내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도 없었다, 이런 비판인데요. 어떻게 보세요? 의원님.

    ◆ 정병국> 원내대표를 뽑을 때는 경선을 하지 않습니까? 이런 부분들을 전제로 해서 뽑았던 거죠. 이게 어떻게 개인의 의견일 수가 있습니까? 원내대표의 의견이죠.

    ◇ 박재홍> 그러니까 원내대표가 당을 대표해서 말했기 때문에.

    ◆ 정병국> 아니, 우리가 대통령을 뽑을 때 대통령께 이러이러한 부분들을 이렇게 하십시오, 또 대통령이 어떤 정책을 입안할 때에는 국민들에게 일일이 묻고 하는 건 아니잖아요. 여론을 보면서 하고 여론을 반영한 정책을 발표를 하고 그것을 집행을 하는 거죠. 결국은 우리가 원내대표를 뽑을 때에는 이런 성향과 이러한 자질을 놓고 평가를 했던 거고 그래서 다수의 동의를 얻어서 원내대표가 된 것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이건 개인의 의견은 아니고 원내대표의 의견이죠. 그리고 이렇게 제시를 하게 되면, 그 부분을 가지고 당내 수렴하는 절차를 밟을 수도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방향 제시를 해 놓구요. 이렇게 폄하하는 것은 저는 맞지 않다고 봐요, 원내 대표연설인데요.

    ◇ 박재홍> 그렇다면 유승민 의원의 연설이 새누리당 대다수 의원들의 정서와 판단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말할 수 있을까요?

    ◆ 정병국> 저는, 그렇게 지지를 받아서 대표가 됐다고 보기 때문에, 그렇게 봅니다.

    ◇ 박재홍> 유승민 원내대표의 연설, 신보수의 모습도 가능하다 이렇게 판단하십니까?

    ◆ 정병국> 보수가 건전하고 국민적 지지를 받으려고 하면 내부적인 보수의 끊임없는 혁신이 있어야 됩니다. 자칫잘못 안주하게 되면 기득권에 안주하게 되는 것이고, 그게 부패한 보수가 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끊임없는 자기혁신이 있어야지만 보수는 국민들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가 있어요. 그것이 우리가 영국 보수정당을 통해서도 알 수 있지 않습니까?

    ◇ 박재홍> 따라서 앞으로 나가야 할 새누리당의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이렇게 정리를 하면 되겠네요.

    ◆ 정병국> 네. 그렇습니다.

    ◇ 박재홍> 여기까지 말씀 듣겠습니다.

    ◆ 정병국> 네, 감사합니다.

    ◇ 박재홍> 새누리당의 정병국 의원이었습니다.

    [박재홍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