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친박 대 비박' - '친노 대 비노'… 총선앞둔 여야 계파갈등



국회/정당

    '친박 대 비박' - '친노 대 비노'… 총선앞둔 여야 계파갈등

    • 2015-01-05 06:00

    결국은 공천 주도권 다툼… "공천룰이 중요한 변수"

    지난 29일 국회에서 열린 2014년도 마지막 본회의에서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 주호영 정책위의장과 새정치민주연합 우윤근 원내대표, 안규백 원내수석부대표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연초부터 새누리당의 '친박 대 비박', 새정치민주연합의 '친노 대 비노'라는 여야 정치권의 계파갈등 도식이 확인되고 있다. 양태는 다르지만, 여야 당내 갈등이 결국 '차기 공천권'을 노린 정치투쟁이란 점은 공통적이다.

    새누리당의 2014년 연말은 김무성 대표와 친박계 간의 공방으로 점철됐다. 지난달 30일 친박계는 국가경쟁력강화포럼 회동을 통해 "김 대표가 인사권을 전횡하고 있다. 당을 사유화하고 있다"고 공개 비난했다. 이에 김 대표는 "당직의 반 이상을 친박계에 넘겼는데 무슨 사유화냐"고 받아쳤다.

    31일에는 비박계의 반격이 연출됐다. 청와대가 친박계 중진 7명만 불러들여 비밀 만찬회동을 벌인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재오 의원은 페이스북에 "청와대가 속 좁은 정치를 그만했으면 한다. 패거리 정치 말고 너그러운 정치를 했으면 한다"고 비판했다.

    갈등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2016년 총선'이다.

    양측의 갈등이 수면위로 부상한 것은 원외당협 당무감사가 실시된 지난해 9월부터다. 이후 구성된 당 조직강화특위 위원 선정을 놓고도 정면 출동했다. 친박계가 일련의 상황을 자파 당협위원장들 몰아내기 시도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당협위원장직을 잃는 경우 총선에서 공천될 가능성도 낮아질 수밖에 없다.

    아울러 김 대표가 여의도연구원장에 박세일 전 의원을 앉히려 하자 친박계가 재차 반발했다. 박 전 의원은 2005년 당시 박근혜 당 대표의 행정수도 찬성론에 맞서 탈당한 바 있기 때문에, 친박계와는 '물과 기름'의 관계다. 여의도연구원이 선거나 공천 관련 여론조사를 사실상 전담하기 때문에, 적대적 인사가 수장에 앉는 경우 불리하게 작용할 소지가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언제든 김 대표와 친박계 간의 알력은 다시 불거질 것"이라며 "친박계는 차기 총선에서 자기네 지분이 줄어드는 일은 막으려 할 것이고, 김 대표도 '공천권을 내려놓겠다'고 했지만 얼마나 실천할 지는 알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2·8 전당대회를 한달 앞두고 있는 새정치민주연합도 친노 대 비노 간 계파갈등이 고조되는 양상이다. 이 역시 결국 내년 총선 공천 문제와 맞닿아 있다. 비노계는 친노계 당권주자인 문재인 의원을 지속적으로 겨냥해왔다.

    비노계 당권 경쟁자인 박주선 의원은 4일 "문재인 후보가 진정 계파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있다면 지금이라도 당대표 출마를 포기하든가 2017년 대선 불출마를 선언해야 한다"고 공격했다. 문 의원과 함께 양강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박지원 의원도 그동안 "대권에 나서려면 당대표는 하지 말아야 한다"고 공세를 펴왔다.

    이에 앞서 지난해 11월부터 이미 '친노계 좌장인 문 의원이 당 대표가 되면 당이 분열할 것'이라는 경고가 비노·중도 의원들 사이에서 쏟아졌다. 분당설도 심심치 않게 나왔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