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신고리 3호기 가스누출 사고, 허술한 원전설비 관리 지적



사회 일반

    신고리 3호기 가스누출 사고, 허술한 원전설비 관리 지적

    밸브룸내 환기시설 작동하지 않고 가스 경보기 설치되지 않아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등 울산지역 11개 시민단체는 30일 기자회견을 열어 "노후원전과 신규원전 가릴 것 없이 다 불안하다"며 "원전정책을 전면 수정할 것을 촉구했다.

     

    근로자 3명이 숨진 울산 신고리원전 3호기 질소가스 누출사고 현장인 밸브룸내 환기시설이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가스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경보기도 설치돼 있지 않아 한수원의 허술한 원전설비 관리시스템이 화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지난 26일 사망사고가 발생한 울산 신고리원전 3호기 보조건물 밸브룸 안에는 공기와 질소 등 2개의 배관이 설치되어 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질소밸브에서 가스가 새어 나갔고 산소 농도가 급격히 줄어든 밸브룸에 근로자 3명이 들어갔다가 화를 당했다.

    당시 사고현장의 산소농도는 14%에 불과했던 것으로 울산소방본부는 파악했다.

    문제는 밸브룸에 이미 환기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었음에도 사고 당시 환기시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환기시설이 지난 11월 6일부터 가동하지 않았던 것.

    한수원 고리본부 관계자는 "케이블을 다시 설치하는 작업을 끝낸 뒤 도장작업을 했다. 도장작업에 따른 활성탄의 흡착능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환기시설을 작동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환기시설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전혀 점검 작업을 할 수 없는 상황은 아니다"며 "밸브룸도 완전 밀폐된 공간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일단 경찰 수사를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질소가스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경보기가 설치돼 있지 않은데다 가스 수출 당시 압력의 변화를 한수원이 확인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신고리원전 3호기의 설비와 관리체계가 허술하다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시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이번 사건을 수사 중인 울산 울주경찰서는 밸브에서 질소가스가 누출된 원인을 시공사를 상대로 다각도로 수사하고 있다.

    또 인명 구조 당시 업체 측이 장비착용 등 안전수칙을 제대로 지켰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경찰은 문제점이 발견되면 시공사나 안전 관리자에 규정 위반이나 안전관리 소홀의 책임을 물어 사법처리하다는 방침이다.

    한편,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등 울산지역 11개 시민단체는 30일 기자회견을 열어 "노후원전과 신규원전 가릴 것 없이 다 불안하다"며 "원전정책을 전면 수정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신고리 3호기 사망사고와 관련해 새로 지은 원전조차 안전을 신뢰할 수 없는 현실을 마주하면서 울산시민들은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한수원이 유가족에게 직접 사과할 것과 신고리 3호기 총체적 부실 조사, 안전을 위협하는 하청구조 해결, 안전 대책 점검과 특별 조치, 울산시 방사능 재난 대책 등 5개 안에 대한 방안을 수립할 것"을 요구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