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靑 3인방은 '게이트키퍼'…"보호본능 작동하면 권력집중"



정치 일반

    靑 3인방은 '게이트키퍼'…"보호본능 작동하면 권력집중"

    (왼쪽부터) 정윤회 씨,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 안봉근 대통령 제2부속실 비서관 (자료사진)

     

    비선실세 국정개입의혹의 중심인물인 정윤회 씨와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 안봉근 대통령 제2부속실 비서관은 박근혜 대통령이 정치에 본격 입문하기 전부터 인연을 맺어온 데다 3인방의 경우 국정운영의 핵심업무까지 맡아 이른바 문고리권력 논란은 벌써부터 예고됐다는 지적이다.

    권력은 힘의 원천인 대통령과의 거리에서 나온다. 최근 국정농단 의혹과 관련해 회자되고 있는 '십상시'라는 말이 담고 있는 의미는 권력자의 주변부에 있는 이른바 측근들이 전횡을 일삼고 있다는 확신에서 나도는 말이다. 후한 영제때 내시들이 전횡한 것 처럼.

    (왼쪽부터) 최병렬 새누리당 상임고문, 홍사덕 전 의원,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 (자료사진)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측근으로 분류되는 사람은 정치권의 '친박계'와 김용환, 최병렬, 안병훈, 홍사덕, 김기춘 등 원로그룹, 대통령이 가까이 두고 수족처럼 부리는 청와대 비서관 3인방과 정윤회 씨 등 3~4갈래의 인맥이 꼽히지만 이 가운데 대통령 접촉빈도가 가장 높은 쪽은 단연 청와대 3인방이다.

    3공화국 때부터 박정희 전 대통령과 알고 지내온 동향인사인 A 씨는 최근 기자와 만나 "이번 국정농단의혹의 핵심인물로 부상한 정윤회 씨와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 안봉근 청와대 제2부속실 비서관은 1998년 실시된 대구 달성군 보궐선거에서 박근혜 국회의원 후보자의 선거사무실에서 일한 사이다"고 말했다.

    이 인사는 이어 "이 가운데 정윤회 씨 등 2명은 정수장학회에서 근무한 것으로 알고 있고 안봉근 씨는 정수장학회 관련 업무를 한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1998년 당시 박근혜 후보의 선거를 돕던 한나라당 대구시지부의 지원과는 별도로 정윤회 씨를 중심으로 박 후보측 인사들이 역할을 나눠 선거를 지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거를 도왔던 여권의 L 정치인은 "선거 지원 업무차 (선거캠프를)오가면서 박근혜 후보를 만나고 정윤회 씨를 봤던 적이 있는데, 선거를 처음 치러본 때문인지 전체적으로 선거업무처리가 허술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이 정치인은 "틈틈이 선거를 지원했고 금전지원도 했었다"고 밝혔다.

    달성군 국회의원 보궐선거 때까지만 해도 이재만 총무비서관의 존재감은 미미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한나라당에서 조차 이재만 비서관의 실체가 제대로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정윤회씨가 캠프의 선거지원업무를 총괄하는 사무국장 역할을 하면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다.

    안봉근 제2부속실 비서관은 정윤회 씨에 비해 박근혜 대통령과의 만남이 늦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봉근 비서관은 15대 국회때 달성군 지역구 의원인 신한국당 김석원 의원의 보좌진으로 활동하고 있었으며 김 의원이 정계은퇴를 선언하면서 지역구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넘어가는 과정에서 박 대통령이 승계받은 보좌진 가운데 1명이라고 여권 관계자가 전했다.

    이들이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 한 세월은 줄잡아 16년이고 박 대통령이 한나라당, 한국미래연합, 새누리당으로 옮길때도 항상 대통령을 보좌해온 측근 중의 측근들이다.

    새누리당 친박계 핵심 의원은 15일 CBS노컷뉴스 기자와 만나 "이재만, 안봉근 비서관 등은 박 대통령을 17년 가까이 모셔왔기 때문에 대통령의 생각까지 꿰고 있을 정도"라며 "이들과 박 대통령은 뗄레야 뗄수 없는 관계"라고 말했다.

    청와대 비서관 3인방이 박 대통령의 드러난 측근그룹이라면 정윤회 씨는 공식직함이 없는 비선측근이지만 영향력은 오히려 더 막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단 박근혜 대통령과의 인연이 3인방에 비해 더 길다. 청와대에서 유출된 문건을 통해서도 측근그룹 내부에서 정윤회 씨의 영향력이 어렴풋이 드러난다.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사건의 당사자인 정윤회씨가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으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정 씨는 언제부터 박근혜 대통령을 알게 됐을까? 정확한 연도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박정희 전 대통령의 동향인사에 따르면, 대략 80년대 후반인 것으로 알려진다. A 씨는 "정 씨가 80년대 말 최순실 씨를 통해 박근혜 대통령을 처음 만나게 됐으며 박 대통령 자매간의 (육영재단을 둘러싼)갈등관계가 만남의 계기가 된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이들에게 힘이 실리는 이유는 세월에서 오는 대통령으로부터의 신뢰와 대통령과의 거리다. 이재만 총무비서관, 정호성 제1부속, 안봉근 제2부속 비서관은 직책상 거의 날마다 대통령과 직간접적인 접촉을 할 수 밖에 없는 자리다.

    3명은 총무·인사, 결재서류 보고 등 대통령보좌, 수행·민원 등 3개분야로 역할분담이 이뤄져 각기 대통령을 보좌하고 있고 정호성, 안봉근 비서관은 직책상 하루에도 여러번 대통령과 대면하거나 전화보고해야 하는 위치다.

    과거 정권에서 대통령을 보좌했던 B 씨는 17일 "부속실은 대통령이 직접 볼 보고서와 결재서류, 전자결재서류, 각종 민원서류, 서신 등을 정리 전달하는 것이 주요업무로 대통령 등청에서 퇴청때까지 수시로 얼굴을 맞대는 자리다"며 최근 불거진 국정농단 논란에 대해 "비서관들의 문제라기 보다는 사람들과 스스럼 없는 대면을 꺼리는 대통령의 스타일이 문제가 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 인사는 "대통령이 사람들과의 접촉을 꺼리면 비서관들이 주변 사람이나 관료들로부터 얘기를 듣고 입으로 전달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힘이 실리게 되는데 이런 것들이 쌓여 이렇게 된(국정개입논란)것 아닌가 싶다. 대통령을 모시는 비서들은 기본적으로 보호본능을 갖게되고 (쓸데없는 보고 등을)막는 과정에서 스텝이 꼬이는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 김영한 민정수석, 조윤선 정무수석, 정진철 인사수석 등과 함께 청와대 인사위원회 멤버인 이재만 총무비서관은 정부와 산하기관, 공기업 등 주요인사에서 공식적으로 역할을 하고 있어 그 영향력이 어디까지 미치는 지는 가늠하기가 어렵다.{RELNEWS:right}

    과거 정권에서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낸 C 인사는 "대통령이 임명하는 임명직 인사때 인사비서관이 기본적인 업무를 챙기지만 정권 창출과정을 알고 누가 우리편인지 아닌 지를 판별할 정권의 실세가 인사에 간여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스타일에 변화가 없는 한 현재의 청와대 권력구도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국정농단 논란도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