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환경연합 "'녹조라떼' 낙동강, 간암유발 남조류까지 발생"

환경연합 "'녹조라떼' 낙동강, 간암유발 남조류까지 발생"

- 녹색 페인트 뿌린듯한 낙동강에 놀라
- 4대강 사업으로 물흐름 막은게 원인
- 수질관련 정확한 데이터 공개해야


■ 방송 :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 임희자 사무국장

커피에 우유를 넣은 걸 카페라떼라고 하죠. 그런데 녹조라떼라는 말 들어보셨습니까? 요즘 낙동강물을 놓고 '녹조라떼'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낙동강은 부산, 대구, 경남 지역민들의 식수원인데 대체 녹조현상이 어느 정도기에 녹조라떼라는 표현이 나왔을까요. 오늘 긴급진단해 보겠습니다. 낙동강을 직접 보고 문제제기를 한 분입니다.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의 임희자 국장 연결되어 있습니다.

낙동강

 

◇ 김현정> 원래 여름이면 강에 녹조가 조금 끼고 그러는 거 아닌가요?

◆ 임희자> 일반적으로 그렇게 생각을 하는데요. 그런데 낙동강은 굉장히 큰 강이고, 4대강 사업 이전에는 그 강에 많은 모래나 이런 것들이 있었습니다. 또 보나 물을 가두는 댐이나 이런 것들이 본류에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녹조 등이 낄 이유가 없었고요. 녹조가 주로 끼는 곳은 물이 고이는 곳 그리고 가두는 곳. 이런 곳에서는 녹조가 있습니다. 낙동강 본류에서 우리가 녹조를 볼 수 있는 곳은 부산 쪽 끄트머리에 설치되어 있는 낙동강 하구지역입니다. 이 지역에서 녹조를 볼 수가 있었습니다.

◇ 김현정> 낙동강 하구지역 물이 모이는 곳에 조금 보이던 것이 지금은 어느 정도기에 녹조라떼라는 말이 나왔습니까?

◆ 임희자> 제가 환경연합에서 일한지가 한 20년 되는데요. 단체가 만들어진 것도 낙동강 페놀 사건 때문에 만들어졌고요. 그러다 보니까 낙동강을 자주 갑니다. 저희가 6월 말부터 7월 초에 낙동강에서 녹조를 봤는데 지금까지의 낙동강, 이런 낙동강은 본 적이 없었습니다. 저희가 본 낙동강의 모습은 그야말로 낙동강에 녹색페인트를 그냥 강물에 뿌려놓은 것처럼 물이 변해 있었고요. 보기에 끈적끈적했어요. 정말 너무 끔찍하고 혐오스러운 모습이었습니다.

◇ 김현정> 겉으로 보기에는 녹색페인트를 뿌려놓은 것 같다. 그럼 물도 만져보셨어요?

◆ 임희자> 막상 만져보니까 끈적하지는 않고요. 손바닥에 작은 알맹이가 물과 함께 빠져나가는 모습을 봤어요. 어쨌든 그 녹조가 있는 물을 만지고 나니까 손에서 비릿한 물비린내가 나고 악취가 나더라고요.

◇ 김현정> 낙동강을 쭉 돌아보신 겁니까, 어느 부분을 가셨어요?

◆ 임희자> 그날 저희가 낙동강을 전체 둘러보지는 못 했고요. 창원 시민들은 낙동강에서 물을 먹습니다. 그 취수하는 곳이 바로 저희가 갔던 곳입니다. 창원에 본포취수장이 있는 낙동강입니다.

◇ 김현정> 혹시 취수장 부분, 본 곳만 그런 것은 아닐까요?

◆ 임희자> 4대강 사업 이후에 환경부에서는 환경지킴이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구역별로 민간인들을 고용해서 현장을 관찰하고 있는데요. 그날 저희가 상황이 정말 어이가 없어서, 너무 황당해서 바로 옆에 있는 환경지킴이에게 물었습니다. “지금 낙동강이 도대체 왜 이러냐. 다른 곳도 이런 거냐” 물어보니까 이 분이 밀양 쪽에 있는 환경지킴이, 그리고 합천 쪽에 있는 환경지킴이, 창녕 쪽에 있는 환경지킴이들에게 쭉 전화를 했습니다. 전화를 해 보니까 “전 구역이 다 그렇다” 이런 얘기를 들었고요. 낙동강의 경남권역은 거의 지금 녹조로 뒤덮여 있었습니다.

◇ 김현정> 원인이 뭡니까?

◆ 임희자> 일단 녹조는 물이 흐르는 곳에는 절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동안 낙동강 본류에는 물을 가로막는 댐이나 보나 이런 것들이 단 하나도 없었습니다. 자연스럽게 흘러갔어요. 그리고 그 낙동강에는 하얀 모래가 낙동강 바닥을 뒤덮고 있고, 그 위에는 수초가 나 있는 아주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강이었습니다. 이런 강에서는 녹조가 낄 이유가 없죠. 그런데 4대강 사업을 하면서 강바닥을 다 파내고요. 수심이 깊어졌습니다. 그 다음에 낙동강에는 8개의 보가 만들어졌습니다.

◇ 김현정> 물을 가두어두는 보?

◆ 임희자> 그러면서 수심이 깊어지고 물을 가두고 하면서 물의 흐름이 없어진 거죠. 그러면서 이 낙동강은 고인물에서 발생하는 녹조가 번창하고 마는, 죽음의 강이 되어 버린 거죠.

◇ 김현정> 그런데 환경부가 내놓은 자료를 보면 오히려 ‘올 상반기에 4대강 수질이 대폭 개선됐다’ 정 반대의 얘기를 하는데, 그쪽에서는 거짓말을 하는 건가요?

◆ 임희자> 네,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겁니다. 지금 낙동강에서 환경부가 수질데이터들을 측정하고 그 물을 취수하는 지점들을 보면 좀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 시민들이 먹는 취수구는 강의 가장자리에, 강변에 있습니다. 그리고 녹조라는 것은 말씀드렸지만, 강물이 흐르는 강 한가운데에 끼기가 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 김현정> 가장자리 부분에 있죠.

◆ 임희자> 또 하나는 환경부가 물을 취수하는 지점이 교각을 중심으로 해서 강 한가운데에서 물을 뜹니다. 그런데 다리라는 것은 아시겠지만 물 속에 이물질이, 다른 물체가 들어가면 거기에 여울이 생기면서 그 지점에 있어서는 물의 흐름이 빨라지는 경향이 생기거든요. 말씀드렸지만 취수구는 강변에 있고요. 그리고 녹조는 대체로 강의 가장자리 쪽에 낍니다. 당일 저희는 녹조가 마치 녹색페인트와 같은 강물로 변해서 창원 시민들이 먹는 그 취수구로 쏜살같이 빨려 들어가는 모습을 바로 옆에서 지켜봤거든요.

◇ 김현정> 그 녹조라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건가. 녹조가 낄 수도 있는 것 아닌가. 말하자면 나뭇잎 같은 거 아닌가,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요. 식수원으로 할 경우에는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요?

◆ 임희자> 녹조가 낀 것과 관련해서 먹는 물에는 아무 지장이 없다, 이런 식으로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똥물을 정수시킨다 하더라도 돈만 들어가면 똥물도 정수시킬 수 있죠. 그야말로 동물의 배설물, 사람들의 똥. 근데 이런 데서 발생되는 취수는 인 성분이 많아야 됩니다. 취수에는 인이 많은데, 그 성분을 (햇볕에) 내리쬐면 녹조가 발생하는 거거든요. 그런데 이러한 똥물을 가지고 환경부는 “이게 식수로 갈 때는 다 정수처리가 되기 때문에 아무 문제가 없다”고 이렇게 말하는 것은 정말 국민들한테 지탄받을 얘기입니다.

◇ 김현정> 지금 녹조로 대표되는 이 현상이 결국 녹조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결국 녹조가 발생하기까지네요. 물이 얼마나 더러우면 이게 발생이 됐느냐, 그 부분이 중요한 거네요?

◆ 임희자> 그렇습니다. 그 문제인데요. 지금 낙동강 유역 환경청이나 환경부는 엉뚱한 소리를 하고 있는 거죠.

◇ 김현정> 방송에서 적절한 용어는 아닙니다만, 똥물이라고 말씀하셨어요. 그 정도로 문제가 심각합니까? 좀 과장하시는 건 아니에요?

◆ 임희자> 아니, 정말 똥물입니다. 똥물이 아니면 녹조가 이렇게 낄 수가 없는 거고요. 게다가 이번에 발견된 그 녹조 속은 간암을 유발하는 남조류였습니다. 창원시민들이 먹는 본포취수장에 빨려 들어가는 물을 취수해서 부산 카톨릭대학 교수님한테 의뢰해 확인한 결과이고요.

◇ 김현정> 녹조류뿐이 아니고 남조류라는 발암물질이 섞인 게 또 있었다?

◆ 임희자> 네, 그렇습니다. 그래서 이런 물을 취수해서 지금 시민들이나 우리 아이들이 먹고 있는 것이죠. 이런 물을 취수해서 먹이는 그 자체를, 지금 환경부가 이래놓고는 '수질이 개선됐다' 이렇게 얘기하면 안 되는 거죠.

◇ 김현정> 이 물을 먹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됩니까?

◆ 임희자> 지금 우리 창원 사람만 해도 110만명이 넘습니다. 부산 사람도 이런 물을 먹고 있죠.

◇ 김현정> 이게 식수원이다 보니까 미적거릴 시간이 없을 것 같은데요. 당장 시행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될 텐데, 어떤 것이 시급하다고 보십니까?

◆ 임희자> 낙동강 전체의 생태계도 문제입니다만, 지금 이 더러운 물을 어쩔 수 없이 취수 해서 110만명이 넘는 창원시민들이 이 물을 먹어야 될 형편이고요. 더군다나 지금 부산시민도 같이 먹어야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본다면 식수의 안정성 확보가 가장 시급한 문제인데요. 지금 4대강 사업을 그야말로 옆에서 도와주고 지원했던 환경부만이 이 모든 수질데이터를 다 가지고 있고, 여기에 지자체가 데이터를 움켜쥐고 있는데요. 이러한 과정들을 열어야 된다, 개방해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 김현정> 환경운동연합이 나서서 전체적으로 수질검사하기에는 좀 벅찬 일인가요?

◆ 임희자> 벅차죠. 이거 예산 엄청납니다. 어차피 시민들, 국민들의 세금이 투입돼서 공무원이 대리로 일을 하고 있는데요. 이 과정들을 전부 다 공개하고, 시민단체가 추천하는 전문가가 들어가서 취수부터 시작해 수도꼭지까지, 그 안정성을 공개적으로 검증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이 문제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된다고 봅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눈으로 보기에는 녹조현상이 심각한데, 믿을 수 있는 데이터조차 없다. 이게 얼마나 문제가 있는 건지조차 알 수가 없는 상황이라 조사부터 다시 해야 된다는 말씀이시군요. 들으면서 좀 불안한 분들도 많으실 텐데, 환경부가 입장을 정확히 밝혀야 될 것 같고요. 가지고 있는 데이터들도 공개해야 되지 않나, 그 문제가 좀 시급하지 않나 싶습니다. 국장님,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홈페이지 바로가기]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