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최초의 태양광 비행기 세계 일주…내년 3월 아부다비 출발

최초의 태양광 비행기 세계 일주…내년 3월 아부다비 출발

태평양 횡단 때는 비행기 위에서 5일간 먹고 자고

내년 3월 역사적인 세계일주 비행에 나서게 될 태양광 비행기 SI2(솔라 임펄스2) (사진 출처=솔파 임펄스사)

 

오로지 태양 에너지만을 이용해 전 세계를 한 바퀴 도는 태양광 비행기 세계일주가 내년 3월 아랍 에미리트 수도 아부다비에서 이륙해 대장정에 오른다.

사상 첫 시도인 태양광 항공기 세계 일주는 비행기 조종사인 베르트랑 피카르와 앙드레 보르슈베르크가 'SI2(솔라 임펄스2: Solar Impulse 2)'로 이름 붙여진 태양광 비행기를 타고 내년 3월부터 2015년 7월까지 17개월에 걸쳐 전 세계를 한 바퀴 돈 뒤 아부다비로 다시 돌아오는 여정이다.

보르슈베르크는 사업가이자 엔지니어이며, 피카르는 정신과 의사이자 탐험가로 두 사람 모두 스위스 출신이다.

출발지와 도착지로 아부다비가 결정된 사실은 25일 뉴욕에서 열린 UN총회 아랍 에미레이터 리셉션장에서 공식 발표됐다.

태양광 비행기 제작사인 '솔라 임펄'스의 공동설립자이자면서 CEO이기도 한 보르슈베르그는 아부다비를 출발지로 선택한 것과 관련해 "기온과 인프라, 클린 에너지 기술에 대한 헌신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장소로 생각했다"고 밝혔다.

아부다비시와 함께 이 도시의 재생에너지 회사인 마스다도 세계일주 비행을 앞두고 내년 1월 시작되는 세계 일주 여행팀의 시험 비행을 후원하기로 했다.

보르슈베르크와 피카르는 지난해 자신들이 개발한 첫 태양광 비행기 'SI1(솔라 임펄스1)'으로 최초의 미 대륙 횡단에 성공했다. 당시 다섯 번의 이착륙을 통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뉴욕까지 비행했다.

앞서 지난 2010년에는 시제품인 HB-SIA가 처음으로 26시간 연속 비행에 성공했고, 2012년에는 스위스와 모로코를 오가는 대륙간 비행에도 성공했다.

이 항공기는 오직 태양에너지만을 이용한다. 또 배터리가 장착돼 있어 낮에 햇빛을 전기에너지로 바꿔 충전해 두었다가 야간 비행 때 사용한다.

'SI2'는 SI1의 개량 모델이다. 좌우 날개길이가 72미터로 SI1보다 8m 길어졌으며, 보잉 747보다도 길다. SI2는 1만 7,000개의 태양전지를 장착하고 있어 거의 무제한 비행이 가능하다. 항공기의 무게는 2,300㎏으로 일반 픽업트럭 무게와 비슷하다.

또 SI1보다 가벼운 소재를 사용해 무게는 오히려 더 적게 나가고, 비즈니스급 좌석도 갖추고 있다. SI2는 지난 4월 공개돼 6월에 첫 시험 비행을 성공리에 마쳤다.

세계 일주 비행은 4~5개월간에 걸쳐 이뤄지고 실제 비행시간은 25일로 예정돼 있다. 여정 중에는 두 조종사가 태평양과 대서양을 횡단할 때 5~6일간 비행기 위에서 생활하면서 계속 비행하는 일정도 포함돼 있다.

구체적인 여행 일정은 계속 조정 중에 있으나 2015년 7월 아부다비로 돌아올 때까지 아시아와 미국, 서유럽 또는 북 아프리카를 경유할 예정이다.

1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