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일본 방위백서, 아베의 집단자위권 '홍보용'



아시아/호주

    일본 방위백서, 아베의 집단자위권 '홍보용'

    • 2014-08-05 10:38

    무기수출금지원칙 폐지 등 아베의 '보통국가 만들기' 적극 강조

     

    5일 공개된 2014년판 일본 방위백서는 2차대전 패전국의 멍에를 벗고 '보통국가'로 나아가려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행보를 적극적으로 홍보한 것이 특징이다.

    내용면에서는 전후 안보정책의 최대 전환점으로 평가받는 집단 자위권 행사 용인 방침이 반영된 것이 가장 먼저 눈에 띄었다.

    작년 판에는 집단 자위권을 설명하는 내용에 '헌법 제9조 아래 허용되는 실력행사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으로, 허용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는 당시까지의 헌법해석이 담겼지만 올해 판에는 집단 자위권 행사를 가능하게 한 아베 내각의 7월1일 자 각의(국무회의) 결정에 입각, 집단 자위권 행사가 가능하다는 내용으로 대체됐다.

    그러면서 백서는 7월1일자 각의 결정에 대해 "억지력 향상과 지역 및 국제 사회의 평화와 안정에 어느 때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것을 통해 일본의 평화와 안전을 더욱 확실히 해 나가는데 있어 역사적인 중요성을 갖는다"고 평가했다.

    또 '무기수출 금지'에서 '허용'으로의 일대 전환을 의미하는 방위장비 이전 3원칙 수립, 국가안전보장회의(일본판 NSC) 창설, 국가안보전략과 신(新) 방위계획대강 발표 등 아베 총리가 2012년 12월 취임 후 시행한 굵직굵직한 안보 강화 조치들에 대한 상세 설명이 담겼다.

    더불어 방위력 강화 조치의 하나로 2018년까지 미국 해병대와 유사한 낙도방어용 '수륙기동단'을 3천 명 규모로 창설할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 주변에서의 활동 강화, 군비 증강 및 군사 관련 투명성의 문제를 비중 있게 지적하고, 작년 11월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설정 사실을 새롭게 추가했다.

    백서는 중국이 "해양에서 이해가 대립하는 문제를 놓고 힘을 배경으로 한 현상 변경 시도와 같은 고압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 대응을 보여주고 있다"며 "지역, 국제 사회의 안보상에서도 우려된다"고 적었다.

    더불어 중국이 최초의 국산 항공모함 건조를 추진 중인 사실을 적시했다. 또 국방비 지출은 지난 26년간 약 40배, 지난 10년간 약 4배 증액됐으며, 국방비로 공표하고 있는 금액은 실제로 군사 목적에 지출하고 있는 금액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또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설정은 "동중국해의 현상을 일방적으로 변경하고 사태의 악화를 초래하며, 예측지 못한 사태를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일로 강하게 우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 관련 내용에서는 2012년 4월 김일성 100회 생일을 기념한 군사 퍼레이드에서 이동식 발사대 차량에 탑재된 모습으로 처음 공개된 KN-08 미사일을 소개하는 내용이 새로 들어갔다.

    또 "만약 북한이 탄도미사일의 장사정화를 더욱 진전시키고 동시에 핵무기의 소형화 및 탄두화를 실현할 경우 북한은 미국에 대해 전략적 억지력을 보유했다고 일방적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다"며 "만약 북한이 그런 억지력에 대해 과신하거나 오해한다면 북한에 의한 지역에서의 군사적 도발행위의 증가, 중대화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