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세월호 참사] '세월호~제주VTS' 원래는 교신 불가능한 거리



사건/사고

    [세월호 참사] '세월호~제주VTS' 원래는 교신 불가능한 거리

    세월호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 기록.

     

    세월호 침몰 사고 9일째를 맞고 있는 가운데, 세월호 승무원들의 초동대처 과정에서의 문제점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세월호 승무원은 선박이 기울자 초단파무선통신(VHF) 12번 채널을 사용해 사고 지점에서 75㎞나 떨어진 제주항만VTS(해상교통관제센터)에 조난사실을 알렸다.

    세월호는 사고해역이 진도연안VTS 관할구역인데도 진도VTS(67번 채널)에는 신고조차하지 않았다. 세월호~진도VTS간 거리는 24㎞로 세월호~제주VTS간 거리보다 훨씬 가까워 통신 여건이 훨씬 양호하다.

    세월호가 급박한 상황에서 굳이 멀리 있는 제주VTS에 구조요청을 했는지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인천항만관제구역을 벗어난 이후부터 목적지인 제주VTS의 12번 채널만 켜놓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특히, 세월호에 정전과 급선회가 이뤄진 뒤 조난신고를 하기까지는 무려 6분 이상이 걸렸다.

    세월호는 오전 8시 48분 37초에 36초간 정전이 발생했고, 이어 49분 37초에는 오른쪽으로 45도 급선회하며 균형을 잃었다. 하지만 세월호가 제주VTS에 '지금 배 넘어갑니다'라며 조난신고를 한 것은 8시 55분이었다.

    이처럼 조난신고가 늦어진 것과 관련해, 교신 도달거리를 벗어나 교신에 어려움을 겪었던 게 아닌지 의혹이 일고 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보통 VHF 무전기의 전파 통달거리(通達距離)는 25~30마일(40.2~48.2㎞)인 반면 신고 당시 세월호와 제주VTS간의 거리는 47마일(75.6㎞)에 달했다”며 “4월에, 원래 없던 라디오 덕트(radio duct) 현상이 발생해 통신거리가 일시적으로 증가해 교신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교신과정이 여의치 않았음을 추정할 수 있는 대목이다. 라디오 덕트 현상이란 전파(電波)를 포착해 원거리까지 전파(傳播)시키는 대기층이 형성되는 현상으로, 초단파 이상의 전파를 가두어서 아주 적은 감쇠로 먼 곳까지 전파하는 작용을 한다.

    세월호는 특히, 관제센터나 다른 선박과 교신할 수 있는 다른 VHF 무전기가 있었지만 국제조난채널(비상채널)인 VHF 16번 채널은 사용하지 않고 꺼놓았다.

    이를 두고 사고 발생을 둘러싼 제반 상황을 은폐하기 위해 해경을 비롯해 인근 선박이 모두 들을 수 있는 16번 채널을 꺼놓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