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여객선 침몰] 세월호 언론보도 문제 "매체 증가에 따른 경쟁 과열 때문"



사건/사고

    [여객선 침몰] 세월호 언론보도 문제 "매체 증가에 따른 경쟁 과열 때문"

    "언론사 스스로 만든 윤리강령, 무시하는 분위기 만연"

    20일 진도 팽목항에서 세월호 선체에서 수습한 시신들이 이송되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여객선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부의 아마추어식 대응 뿐 아니라 언론의 보도 행태도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언론이 선정적인 제목이나 추측성 보도로 국가적 재난을 '소비'하는 데는 매체 증가에 따라 경쟁이 과열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김창룡 인제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19일 CBS 라디오 [주말 시사자키 윤지나]에 출연해 "기자들 스스로 윤리강령을 만들어 놓고 안 지켜도 상관 없다는 식으로 재난 보도를 하고 있다"고 세월호 보도의 언론 행태를 비판했다.

    김 교수는 "현장 기자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데스크에게 보고해도, 안에서 '다른 데는 다 나오는데 무슨 소리냐'는 식으로 언론사 스스로 윤리강령을 무시하고 있다"며 "매체 간에 하나라도 새로운 것을 발견하려는 특종 경쟁이 과열해 발생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경쟁 과열에 대해 김 교수는 "종편과 인터넷뉴스 등 과거보다 매체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기자 수도 통제불능 상태가 됐다"고 분석했다. 재난보도에서 가장 중요한 유가족이나 피해자의 입장을 충분히 배려한 보도를 해야 한다는 게 원칙이지만, 설익은 보도 뿐 아니라 유가족들의 오열장면을 근접 촬영해 내보내는 등 기본적인 윤리강령조차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금도 유가족이나 실종자 가족들의 허망한 표정은 '최대한 가까이' 촬영되고 있다. 앞서 구조된 6살 어린아이의 경우 실명은 물론 얼굴이 미디어에 그대로 노출됐다.

    한국 언론 환경에서는 이런 행태에 대한 제재가 부족한데, 잠수부들의 선체진입이나 공기주입 등 실제보다 훨씬 앞서간 보도에 대해 미디어 선진국에서는 강력한 처벌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영국 BBC나 미국 뉴욕타임즈 같은 언론의 경우, 윤리강령을 준수하는 것이 고용의 조건이고 따라서 이를 어겼을 경우 해고의 근거가 된다.

    실제로 세월호 참사를 취재하는 한 외국계 통신사의 경우, 한국 언론 사이에서 쏟아지는 오보를 구별하다 몇 개 오보를 따라갔는데 사내에서 심각하게 다뤄지고 있다고 한다.

    김 교수는 언론사 스스로의 노력 뿐 아니라 법적 처벌 필요성까지 강조했다. 그는 "윤리 강령을 지키지 않아 법적으로 비화될 경우, 영국이나 스웨덴, 미국 같은 나라에서는 민사상 책임을 크게 물리는 분위기"라며 "법이 언론사 스스로 윤리강령을 지킬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또 뜬금 없이 북한 소행 가능성을 제기한 '데일리저널' 등 일부 언론에 대해서도 "사회 혼란을 부추기는 추측성 보도의 경우 유언비어와 같으므로, 사회혼란법으로 다스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보도에 대해서는 제도적 접근 뿐 아니라 뉴스소비자들 스스로도 비판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사고 당일 오전 '전원 구조'라는 오보처럼, 정부가 잘못된 정보를 발표하면서 생긴 오보에 대해서는 언론사에 책임을 묻기 어렵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오보의 성격을 명확히하고, 기자윤리강령에 어긋나는 보도에 대해서는 사법부가 현실적인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재차 주장했다.

    한편 한국기자협회는 20일 재난보도 준칙 제정을 위한 관련 작업에 즉각 착수하기로 했다. 동시에 '신속함에 앞서 무엇보다 정확해야 한다', '피해 관련 통계나 명단 등은 반드시 재난구조기관의 공식발표에 의거한다',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의 입장을 충분히 배려해 보도한다' 등 10개 항의 보도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