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김덕수 "일렉트릭 사물놀이로 제2 하여가 탄생"



공연/전시

    김덕수 "일렉트릭 사물놀이로 제2 하여가 탄생"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김덕수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홍대클럽에서 장구, 꽹과리, 북, 징 이런 소리가 흐르는 모습이 상상 되시나요? 헤비메탈이나 힙합 같은 전자 사운드 하고 우리 사물놀이가 과연 한데 어우러질 수 있을까요? 한데 버무려 보겠다고 나선 분이 있습니다. 사물놀이의 대가 김덕수 씨가 그 주인공인데요. 홍대의 인디 음악인들과 함께 클럽 사물놀이를 만들겠다는 겁니다. 그 구상, 오늘 화제의 인터뷰에서 직접 들어보죠. 사물놀이 명인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의 김덕수 교수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김 선생님 안녕하세요?

    ◆ 김덕수> 안녕하셨습니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김현정>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제가 김덕수 사물놀이패에서 재즈하고 락, 이런 공연들 하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제는 아예 일렉트릭 그룹과도 같이 하시는 겁니까?

    ◆ 김덕수> 일렉트릭 사운드를 이번에 저희들이 만들어서 초연하는 겁니다. 36년 전에 사물놀이라는 게 시대상황에 맞춰서 변화에 따른 현대사회 환경에 맞춰서 전통을 재창조한 게 사물놀이였습니다. 그러면서 다양한, 많은 맛을 서로 버무리면 우리의 비빔밥 문화처럼 이것을 힙합 등 모든 장르에 이 사물놀이를 접목시키고 그리고 음악을 만들어왔죠. 그런데 이번에 청년문화의 메카인 홍대 앞 상상마당, 클럽에서 새로운 ‘일렉트릭’ 자를 앞에 붙힌 사물놀이를 선보입니다.

     

    ◇ 김현정> ‘일렉트릭 사물놀이’. 그러면 실제로 홍대클럽에서 공연을 하신단 말이에요?

    ◆ 김덕수>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럼 보통 인디공연들은, 홍대클럽에서 하는 공연들은 앉아서가 아니라 관중들도 서서 스탠딩으로 보거든요?

    ◆ 김덕수> 다시 우리 고향에 찾아간 기분이죠. 왜냐하면 우리가, 우리 것 근본이 마당이잖아요. 모두가 서서 함께 즐겼던 게 우리 전통의 근본입니다.

    ◇ 김현정> 그러면 보다가 신나면 관중들도 상모 돌리듯이 헤드뱅잉도 하고 막 이러는 거예요?

    ◆ 김덕수> 그게 이번에는 처음부터 시작됩니다.

    ◇ 김현정> 헤드뱅잉부터 시작을 하십니까?

    ◆ 김덕수> 거기서부터 시작을 해서 사실상 그 안에는 우리 지금 시대 청년들의 그런 정서, 감각 거기에 우리가 함께하면서 결국은 청년들의 희노애락을 표현하는 걸로 기본 레퍼토리를 열심히 밤새우면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럼 사물놀이 꽹과리, 징, 북, 장구에다가 무슨 악기가 더 더해지는 건가요?

    ◆ 김덕수> 서양의 건반하고요, 베이스 기타 그리고 보컬.

    ◇ 김현정> 거기에 신디사이저 들어가고?

    ◆ 김덕수>예, 이 보컬도 인디밴드의 보컬이 있고요. 우리 판소리, 민요를 전공한 보컬이 따로 있고요.

    ◇ 김현정> 이게 잘 상상은 안 되는데 처음에 어떻게 이런 구상을 하셨어요?

    ◆ 김덕수> 저희들 젊었을 때는 디스코텍이라고 그랬나요?

    ◇ 김현정> 예, 디스코텍이요.

    ◆ 김덕수> 그런 것들이 계속 발전하면서 현재의 클럽문화까지 온 거 아닙니까. 저도 일찍이 초등학교 때부터 락앤롤 음악 들으면서 자랐고요. 그러기 때문에 결국은 이 시대에 저도 한 예인으로서 세계를 정복 한 번 더 하려면 우리 전통의 것이 일렉트릭화 해야 된다고 저는 봐요.

    ◇ 김현정> 오히려 사물놀이 그 자체에 대한 순수성으로 밀고 나가는 것이 아니라 이것저것 받아들여야지 우리도 세계로 나갈 수 있다?

    ◆ 김덕수> 글로벌 스텐다드가 필요해요. 5대양 6대주에 꽹과리, 징과 북이 거의 일반 대학부터 시작해서 다 보급돼서 치고 있고요, 즐기고 있어요. 그러니까 그거 자체를 청년층에 맞춘, 클럽형에 맞춰진, 신나게 광란의 춤을 추면서 우리 장단으로.....‘코리안 일렉트릭 사운드’가 이제 시작되는 거죠.

    ◇ 김현정> 그러니까 우리 것을 더 세계 속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대중문화와 섞일 수 있는 이런 유연한 자세를 가져야 된다는 게 김덕수 선생의 기본적인 생각이신데.......

    ◆ 김덕수> 이미 선대에 많은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이 그 과정을 거쳐서 요즘에 얘기하는 퓨전 문화가 된 거죠.

    ◇ 김현정> 그렇죠. 그러면 함께 작업하는 분들은 홍대 같은 현장에서 실제로 지금 활동하고 있는 인디뮤지션인가요?

    ◆ 김덕수>현재 그쪽에서 가장 뛰어난 능력과 함께 이 시대의식이 분명한 젊은 아티스트들입니다.

    ◇ 김현정> 젊은 아티스트. 김 선생님, 실례지만 올해 연세가 어떻게 되시죠?

    ◆ 김덕수> 저는 그 젊은 친구들의 아비 뻘이 되죠. 저는 용띠예요. 만으로 벌써 예순... 이거 뭐 얘기.. 말 안 해도 되죠?(웃음)

    ◇ 김현정> 아니, 그러면 그 젊은 친구들하고 아들 뻘되는 친구들하고 그것도 인디 뮤지션이면 누구보다 굉장히 젊은 감각을 가진 신세대들인데 잘 통하십니까?

    ◆ 김덕수> 저희들 자체가 평생 청년분위기, 청년 기운, 청년 신명으로 살아왔거든요.

    ◇ 김현정> 이번 무대가 잘 성공했으면 좋겠는데 그러고 보니까 선생님이 참 이런 퓨전, 서양악기와 함께 하는 작업들을 참 오랫동안 해오셨는데 제가 기억에 나는 것이 서태지와 아이들 2집 '하여가'에요. 그 작업도 같이 하셨잖아요? 거기에 나오는 전통악기들 선생님이 함께하신 거잖아요.

    ◆ 김덕수> 제가 직접 연주했죠.

    ◇ 김현정> 그때는 어떻게 함께하게 되셨어요?

    ◆ 김덕수> 결국은 이런 게 있어요. 전통분야의 애환이라고나 할까요? 너무 이게 뒷전으로 밀려 있으니까, 사회 생활문화 속에서. 서태지를 앞세운 전통문화 알리기였죠, 솔직히 말씀드리면요.

    ◇ 김현정> 서태지 씨가 먼저 하자고 손을 내민 건가요?

    ◆ 김덕수> 아니, 양자 합의에요(웃음). 그리고 저는 그거 한 주 같이 하고 했다고 단 1원 한 장 받은 적도 없고요.

    ◇ 김현정> 연주비 안 받으셨어요?

    ◆ 김덕수> 그거 왜 받아요. 그거 함께 해 주는 것만으로는 저는 한 전통예술인으로서 대단히 감사했던 거죠.

    ◇ 김현정> 그렇군요, 그렇군요.

    ◆ 김덕수> 지금도 그런 마음에 연속선에 있고요. 이제 제가 아마도 이것저것 다 기본을 하면, 이번 것도 하면 전국에 우리 청소년들, 학교 요즘에 문화예술교육이 활발하게 이뤄지는데 전세계인들이 할 수 있는 레퍼토리 개발입니다.

    ◇ 김현정> 말하자면 제2의 하여가가 또 나올 수 있는 거네요?

    ◆ 김덕수> 더 나와야죠.

    ◇ 김현정> 알겠습니다. 1957년 다섯 살 때부터 남사당 풍물패에서 사물놀이를 함께 했던 김덕수 선생 지금 만나고 있습니다. 60년 간 외길을 쭉 걸어오셨는데 사실은 우리 전통음악이 서양음악보다 홀대를 받아왔고요. 또 전통음악 중에서도 사물놀이는 정통궁중음악이 아니라고 해서, 대중음악이라고 해서 또 조금 아래로 보는 경향이 있고 사물놀이 택한 걸 후회하신 적은 없으세요, 60년 동안?

    ◆ 김덕수> 저는 늘상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우리 모든 분들께, 우리 조상님들께 우리대까지 물려주신 것을. 아마 이제부터 인정받는 시대가 되지 않을까 하는 거죠.

    ◇ 김현정> 김덕수 선생님에게 사물놀이란?

    ◆ 김덕수> 저의 생명입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