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정신대협 "아 22년..내일 해산했으면"



사회 일반

    정신대협 "아 22년..내일 해산했으면"

    일본이 공식사죄하는 그날이 오길


     


    - 위안부피해자 수요집회 22년째
    - 횟수 늘수록 '아, 이게 현실이구나'
    - 미국, 유럽, 일본에도 찾아가 집회
    - 이젠 돌아가신 할머니들도 많아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 방 송 : FM 98.1 (18:00~20:00)
    ■ 방송일 : 2014년 1월 8일 (수) 오후 7시
    ■ 진 행 :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 출 연 : 윤미향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


    ◇ 정관용>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수요집회, 오늘로 22년을 맞았습니다. 참 반갑지 않은 기록이지만 세계 최장 기록이라고 하는데요. 제1회 집회 때부터 함께 해 온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윤미향 대표 목소리 들어보겠습니다. 윤 대표님 안녕하세요.

    ◆ 윤미향> 네, 안녕하세요.

    ◇ 정관용> 92년 1월 8일 이게 왜 시작했죠?

    ◆ 윤미향> 그때 날짜에 대한 특별한 개념은 없었고요. 당시 마침 일본의 미야자와 총리가 한국을 방문했어요. 그날이 1월 8일이었고요. 그 당시에 일본정부가 워낙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국가의 개입의 부인이라든가 또 민간업자가 한 일이었다라든가 여전히 국가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시기였기 때문에 마침 시기를 맞춰서 수요일 수요시위를 시작을 했고요. 시작을 하면서 계속 앞으로 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우리가 계속하겠다라고 선언을 하고 시작을 했습니다.

    ◇ 정관용> 매주 수요일하겠다, 이렇게?

    ◆ 윤미향> 네.

    ◇ 정관용> 그리고 22년 갈 거라고 생각하셨어요?

    ◆ 윤미향> 전혀 뭐, 그렇게 생각을 못했죠. 사실은 저희들도 그때 시작을 할 때는 국제사회가 또 혹은 일본이 이렇게 이 문제에 대해서 무관심하고 외면을 오래할 거라고는 상상을 못했고요. 피해 사실이 좀 드러나면 혹은 그 문서라든가 이런 게 드러나면 증거가 드러나면 금방일본이 해결할 줄 알았어요. 그게 순리라고 생각을 했기 때문에. 그런데 100차가 지나가고 또 200차 지나가고 그러면서 ‘아, 이게 현실이구나’라는 것을 절절하게 깨닫는 그런 계기가 됐던 것 같아요. 숫자가 늘어나면 늘어날 수 록요.

    ◇ 정관용> 참 부끄럽지만 이게 세계 최장 기록이랍니다.

    ◆ 윤미향> 그러게요.

    ◇ 정관용> 오늘은 어떤 분들이 함께 하셨어요?

    ◆ 윤미향> 무엇보다 늘 92년부터 저희와 함께 수요시위에 함께 하셨던 김복동 할머니, 올해 89세이신데요. 할머니께서 함께 하셨고. 또 그 할머니의 뒤를 이어서 수요시위 계속 나오기 시작하고 있는 길원옥 할머니. 두 분 할머니가 함께 하셨고요. 미국에서 대학생들이 또 한 30여 명 함께 참석을 해서 할머니들에게 정의가 꼭 실현된다라는 것 그리고 할머니들이 굉장히 훌륭한 길을 걸어오셨다라는 그런 지지와 격려가 되기도 했고요.

    ◇ 정관용> 미국인 대학생들입니까?

    ◆ 윤미향> 네, 그렇습니다. 완전 미국인 대학생이요. 그리고 우리나라 초등학생들, 고등학생들 젊은이들이 주로 많이 참석을 했던 것 같아요. 약 300여 명 참석을 했습니다.

    ◇ 정관용> 지금 많이 돌아가셨죠?

    ◆ 윤미향> 물론이요. 지금 생각해 보면 92년도에 저희들이 굉장히 고생하면서 일본대사관 앞에 섰는데요. 그때 계셨던 김학순 할머니, 강덕경 할머니, 김순덕 할머니 다 이미 고인이 되셨고요. 지난해 2월달에 늘 대사관 앞에서 한국정부에 대한 원망이 너무나 크셨던 황금주 할머니도 돌아가셨고요. 그러니까 그냥 보이지 않는 분들의 빈 의자가 너무나 많습니다.

    ◇ 정관용> 그렇게 돌아가신 할머니들의 말씀 가운데 지금 기억에 남는 말씀들이 혹시 있습니까?

    ◆ 윤미향> 늘 할머니들이 그런 말씀을 하셨어요. 우리한테 “고맙다”고요. 그런 말씀을 들을 때마다 얼마나 죄송스럽고 서럽기도 하고.

    ◇ 정관용> 그러게 말입니다.

    ◆ 윤미향> 피해자들이 사실은 우리들에게 원망을 하거나 우리들에게 책임을 묻거나 하는 게 그게 맞는 건데. 우리에게 “고맙다. 함께 해 줘서 고맙다. 여러분들이 이 일에 관심을 가져줘서 고맙다” 당연한 어떤 책임이잖아요. 오히려 우리가 그동안 너무 함께하지 못해서 또 그분들의 소리를 외면해서 지금까지 오고 있는 건데. “고맙다”라고 하시는 말씀 들으면 너무 가슴이 아프고요. 지금도 늘. 감동을 줬거나 이런 일이 오래가잖아요.

    ◇ 정관용> 그렇죠.

    ◆ 윤미향> 늘 김순덕 할머니는 이 수요시위 때마다 저희 실무자들을 위해서 커피를 타 오시기도 하시고요. 옥수수를 삶아 오시기도 하시고. 그런 거를 하시면서 늘 함께 하는 젊은이들에게 힘을 주셨어요. 그런 것을 생각하면 참, 그분들이 그렇게 힘든 삶을 겪으셨음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고 젊은 사람들 격려했던 그런 모습들이 지금 짠하게 서럽게 남아 있습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