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안녕' 대자보, 보수 VS 진보 대학생 입장은?



사회 일반

    '안녕' 대자보, 보수 VS 진보 대학생 입장은?

    "거짓말로 정치선동" VS "자기표현은 원래 정치적"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심응진 한국대학생포럼 회장, 김나래 한국대학생연합 의장

    지금 우리 사회가 ‘안녕들하십니까’라는 인사말로 술렁이고 있죠. 한 대학생이 자필로 써서 붙인 한 장의 대자보에서 시작을 했는데요. 이제는 대학생 사회를 넘어서 고등학생, 직장인, 거기다 정치인들까지 인사말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제 이 대자보에 반대하는 대학생들과 지지하는 대학생들 양측의 기자회견이 나란히 열려서 눈길을 끌었습니다. ‘안녕 대자보’를 바라보는 젊은이들의 다양한 목소리 지금부터 직접 들어보시죠. 먼저 어제 반박 기자회견을 연 보수단체예요. 한국대학생포럼의 심응진 회장 연결이 돼 있습니다. 심응진 회장, 안녕하세요.

    ◆ 심응진> 안녕하십니까? 한국대학생포럼 회장 심응진입니다.

    ◇ 김현정> 지금 대학생이신 거죠?

    ◆ 심응진>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몇 학년이세요?

    ◆ 심응진> 3학년 재학 중입니다.

    ◇ 김현정> 안녕들하십니까 대자보 때문에 안녕하지 못하다, 어제 그러셨어요. 무슨 얘기인가요?

    ◆ 심응진> 대자보라 함은 본래 공의의 책임성을 가지고 문제에 대한 직시와 전후 사안을 예리하게 분석하고, 그래서 정확하고 냉철한 대안을 제시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녕들하십니까 대자보가 어떤 공공성을 대변하는 의견이나 주장조차도 되지 않으며 어떤 신변잡기의 일화조차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이 글을 쓸 때의 심정을 주현우 씨께 한 문장으로 물어보고 싶었습니다.

    ◇ 김현정> 맨 처음 대자보를 쓴 주현우 씨께 물어보고 싶었다. 뭐라고요?

    ◆ 심응진> 제가 처음 대자보를 접했을 때 어떤 순수한 일반적인 인사의 따뜻한 느낌을 받지 못했고, 그리고 내용 중에 ‘많은 다수는 함묵하는 어리석은 군중이다’라는 식의 표현이 들어 있었으며, 더 나아가서 자신이 어떤 선지자의 역할을 해서 계몽에 의한 계도를 하고자 하는 어떤 뉘앙스가 지나치게 강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김현정> 그래서 공감하기가 어려웠다는 말씀이신 거죠?

    ◆ 심응진>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정말로 이게 계몽의 느낌이 들고 선지자적 역할을 하려는 게 공감이 안 됐다면 그저 주현우 씨 한 장의 대자보로 그냥 그렇고 그런 대자보로 그쳤을 텐데, 지금 대학생은 물론이고 직장인, 고등학생, 하다 못해 여당의원까지 대자보를 붙이면서 사회적인 붐으로 가고 있지 않습니까? 이건 많은 사람들이 공감했다는 얘기 아닌가요?

    ◆ 심응진> 사실 대자보에 공감을 하며 개인의 의견을 견지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니라고 생각은 합니다. 다만 옳지 못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어떤 거짓 선동에 의해서 다수의 여론인 것처럼 활성화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거짓 선동이라고 보십니까, 주현우 씨의 대자보를?

    ◆ 심응진> 네, 그렇습니다. 이 현상은 공감대를 통해 형성된 여론에 중점을 둘 것이 아니라 , 대자보를 쓴 개인과 이 대자보를 정치공론화시켜서 정치적인 수단으로 사용하려는 세력들에게 책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19일,한국대학생포럼 대자보 규탄 기자회견(뉴스와이 캡쳐)

     

    ◇ 김현정> 거짓 선동이라고 생각하시는 이유는 뭔가요?

    ◆ 심응진> 가장 중점을 둔 사안은 개인의 감정토로에 불과하며 그리고 옳지 못한 정보, 왜곡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

    ◇ 김현정> 왜곡된 정보라는 건 어떤 부분을 말씀하시는 걸까요?

    ◆ 심응진> 예를 들어서 코레일 노조의 파업에 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는데, 그중에서 직위해제된 4,000여 명의 노동자분들에 대한 내용이 해고로 쓰여 있었고. 그런 것들만 보더라도.

    ◇ 김현정> 팩트가 정확하지 않았다. 그 부분만 봐도 정확하지 않은 팩트로 거짓 선동한 거 아니냐, 지금 이런 말씀이세요?

    ◆ 심응진>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철도민영화 문제. 알겠습니다. 그런데 지금 대자보가 붙는 양상들, 주현우 씨 대자보 뒤에 붙는 양상들을 보면 단지 철도민영화 문제만 가지고 얘기하는 차원이 아니라 자신이 구직자라면 취업 문제 얘기 하고 있고, 주부라면 물가 문제, 10대라면 입시 문제. 여러 가지. 자신들이 안녕하지 못한 이유들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거든요. 이건 비단 민영화 반대 세력, 반대 정파의 정치적 행동으로만 취급할 수는 없는 거 아닌가요?

    ◆ 심응진> 그런데 이제 어떤 정파나 특정 단체의 느낌이 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대자보 자체의. 어떤 자극적이거나 표피적인 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대자보 자체가 정치적인 사안에 편승하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여타 다른 대자보들도 다 문제다?

    ◆ 심응진> 아닙니다. 다른 대자보를 통틀어서 말하는 게 아니라, 저는 첫번째 대자보의 어떤 열풍을 일으킨 주현우 씨가 작성한 안녕들하십니까라는 대자보 있지 않습니까? 그 대자보를 중심으로 소수의 학생들이 뭉쳐서 철도민영화 반대 현장을 찾아간 걸로 제가 알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첫번째 대자보는 그랬다 치더라도 지금 여러 군데에서 나오는 대자보들은 비단 철도민영화 얘기만 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아서요.

    ◆ 심응진> 그런데 오히려 어떤 취업이나 20대의 걱정 때문에 거기에 공감하는 학생들이 작성하는 대자보에 대해서는 저도 20대의 현실 자체가 아무래도 미래가 불확실하고 걱정하면서 살아가는 일들이 많지 않습니까? 그런 것 때문에 어떤 그런 측면에서 공감을 해서 대자보를 작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저는 옳은 자신의 개인적인 의견을 쓰는 것이라고 생각을 하지만 어떤 민영화라든지 아니면 국가가 시행하지 않겠다고 했던 사안들에 대해서 같은, 기존의 대자보와 같은 맥락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대자보들은 그러한 어떤 정치적인 사안에 편승하는 내용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지 않나 생각을 하고. 특히 그날 대자보를 중심으로 뭉쳤던 소수의 학생들이 철도민영화 반대현장을 찾아갔다고 제가 들었는데.

    ◇ 김현정> 정리를 좀 해 보자면 철도민영화에 반대한 그 대자보는 문제다. 하지만 철도민영화 얘기하지 않은 다른 대자보들은 괜찮다, 이렇게 되는 거네요?

    ◆ 심응진> 단순히 철도민영화 얘기뿐만 아니라 그때 민영화 현장을 갔을 때 거기서 국정원 개선개입이나 대통령의 하야와 같은 시국 선언과 관련된 내용들의 구호를 외쳤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그것도 대학생들의 다양한 의견 중의 하나로 받아들일 수 없는가, 옳고 그름을 떠나서. 이건 어떻게 생각하세요.

    ◆ 심응진> 이게 대학생의 어떤 국가를 생각하는 일반적인 목소리로 표출이 된다면 그건 지극히 순수한 대학생의 목소리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겠지만 지금 현재 정파진영의 정치적인 목소리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고 그리고 이것을 어떤 정치적인 수단으로 대학생들을 이용한다거나 선동한다거나 하는 부분들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우리 심응진 회장은. 안녕하세요?

    ◆ 심응진> (웃음) 제가 진행자님께 사실 되여쭤보고 싶었던 부분이지만 이러한 질문 자체가 대답을 거부하는 질문으로 들립니다. 사실 어떤 명제나 대상도 없이 무조건 안녕하냐는 짧은 단어에 귀결해서 말의 유희처럼 이끌리다시피 또는 들러리처럼 되어 버리는 뉘앙스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말씀 먼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심응진> 감사합니다.

    ◇ 김현정> 보수단체 한국대학생포럼의 심응진 회장을 먼저 연결했고요. 이번에는 한국대학생연합, 여기는 진보적인 성향의 대학생 단체입니다. 여기에 김나래 의장 연결을 해 보죠. 김나래 의장님 안녕하세요.

    ◆ 김나래> 안녕하세요.

    ◇ 김현정> 어제 여기서도 기자회견을 열었는데요. 어떤 내용이었습니까?

    19일, 한국대학생연합 합동기자회견(자료사진)

     

    ◆ 김나래> 어제 저희는 대학생들의 안녕하지 못한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함께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앞에서 인터뷰를 들으셨겠지만. 지금 이 안녕하십니까라는 대자보 자체는 언어유희에 기댄, 정파적인 것에 기댄 거짓 선동이다, 여기에 사회 전체가 흔들리고 있는 거 아니냐라는 지적을 하셨어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 김나래> 저는 안녕하냐는 이 질문이 선동이라기보다는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고 여기에 따라서 더 많은 대학생들이 자기 안녕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있게 된 계기였다라는 생각이 들어요. 대학생들이 사실은 자기 고민도 많이 있고 자기 의견도 있지만 그 의견을 표출하는 데 있어서는 굉장히 어려움을 많이 나타냈었는데. 안녕하냐는 이 질문 하나에 안녕하지 못하다는 대답을 내놓을 수 있었다라고 하는 것 자체가 우리들의 의견을 표출할 수 있는 방법, 하나의 기회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어요.

    ◇ 김현정> 그런데 앞에서 반대하는 단체, 대학생 단체의 이야기는 주현우 씨의 대자보가 시발점이 됐는데 이 대자보는 팩트가 틀렸다, 철도민영화로 인해서 노조들이 파업하다가 직위해제된 게 마치 해고된 것처럼 얘기하는. 여기서부터 거짓선동을 시작해서 지금 술렁이는 거다, 이렇게 지적을 하세요.

    ◆ 김나래> 저는 그 대자보 하나가 이 모든 것의 시발점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이미 너무나도 많은 대학생들이 이런 사회문제에 관심이 있었지만 자기 의견을 표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던 건데 자기 의견 표하는데 시발점이 된 거라고 생각을 하거든요.

    ◇ 김현정> 그럼 주현우 씨의 대자보는 전체가 말하고 싶어하는 울분을 건드려준 것뿐이다?

    ◆ 김나래> 네. 많은 대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었고 자신들의 고민과 자신들의 이야기를 대자보에 표출한 거지 그 대자보를 그대로 따라 하는 사람은 거의 없거든요.

    ◇ 김현정> 보수진영에서 계속 주장하는 것은 팩트가 틀렸다라는 부분인데 그러니까 팩트 문제에 대해서 우리 김나래 학생은 팩트의 문제가 아니었다, 그 차원을 넘어선다라는 말씀이시군요?

    ◆ 김나래> 팩트 문제도 사실은 받아들이기에 따라 저는 많이 다르다고 생각을 해요. 그리고 거기에 따라 자기가 어떤 생각을 갖고 어떤 의견을 갖는냐가 중요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고요.

    ◇ 김현정> 정치적인 이용 문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처음 대자보 붙인 학생이 과거에 진보신당에 몸을 담았기 때문에 이 대자보를 정치적으로 이용한 거 아니냐,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 김나래> 사실은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자기가 정치적 성향을 가지는 게 저는 되게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 김현정> 정치적 성향 가지는 게 당연하다.

    ◆ 김나래> 자기 입장을 대변하는 것 그리고 자기 이야기를 나타내는 것 자체가 정치적인 입장이라는 생각인데. 정치적인 성향이 있으면 잘못됐다라고 하는 것 자체가 저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그러니까 그분이 어느 당에 있었던 건 사실은 대부분의 국민들이 아직도 모르고 있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 김현정> 주현우씨가요.

    ◆ 김나래> 네. 그분이 어떤 정치적 성향인지 그거랑 상관없이 그분이 하는 이야기에 공감을 하는 거고, 그분이 하는 이야기에 따라서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을 해요.

    ◇ 김현정> 대자보가 지금 고등학교에서도 붙기 시작했어요. 그런데 일부 교육청에서는 고등학생들은 정치적 중립을 지킬 의무가 있다 해서 대자보 붙이는 거 금지했습니다. 그리고 붙어있는 대자보는 떼기도 했는데. 이건 대학생 입장에서 어떻게 보셨어요?

    ◆ 김나래> 고등학생이라고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지 못할 권리는 없다라고 생각해요. 우리나라에서 자신의 개인의 의견을 표출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건데 그런 걸 막고 있는 이 사회가 굉장히 안타깝다라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

    ◇ 김현정> 고등학생이라고 왜 안 되는가 이것도 안타깝다는건데... 앞에서 말씀한 철도파업 현장에 가서 파업을 동원한다든지 국정원 사건 시국 선언한다든지 이런 것이 다 정치적인 행동과 연결되는 순간 안녕하십니까라는 대자보 자체가 순수하지 못한 이런 색깔을 띈다고 한번 더 지적하셨는데 이건 어떻게 보세요?

    ◆ 김나래> 저는 오히려 지금 언론에서 이야기하는 것들이 대부분이 정부가 이야기하는 걸 대변하고 있는데. 그런 게 아니라 진짜 현장에서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는 게 훨씬 더 중요하다라는 생각을 해요. 그 사람들의 이야기는 현장에 가지 않고서는 사실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기 때문에 거기서 들으면서 사람들이 느끼는 게 훨씬 더 많다라고 생각을 하거든요. 그분들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직접 하는 거기 때문에 그런 이야기를 듣는 게 오히려 더 중요할 거고 자신의 고민과 생각을 정리하는데 훨씬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해요.

    ◇ 김현정> 대자보, 이거 앞으로도 계속 붙을 거라고 생각하십니까?

    ◆ 김나래> 사실은 이제 대학들이 거의 다 방학에 들어서면서 학내에 대자보는 붙지 않더라도 인터넷이나 아니면 오히려 사회적으로 밖에서 더 많은 활동이 일어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고 있어요.

    ◇ 김현정> 우리 사회에 기대하는 바가 있다면, 기성세대에게 기대하는 바가 있다면?

    ◆ 김나래> 대학생들을 그냥 어린아이들로만 치부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우리 대학생들도 한 명의 유권자로서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가질 수 있고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하는 게 당연한 건데 여기에 대한 우려를 표하는 게 사실 굉장히 많으시더라고요. 우리 대학생들이 정말 정치권에 선동 당하는 것 아니냐?라는 얘기를 진짜 많이 하는데 우리 대학생들도 우리의 고민을 가지고 있고 우리 앞날을 고민하고 살고 있기 때문에.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