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평가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은 레키(P.소프트라이트 AS) 제품. (사진=소비자원 제공)
가격이 비싸면 성능도 좋을 것이라는 편견은 등산스틱에서도 여지없이 무너졌다. 여러 브랜드의 등산스틱을 놓고 각종 시험을 해본 결과 오히려 중위 가격대의 제품이 더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판매 중인 등산스틱 가운데 두랄루민 재질이면서 손잡이가 일자형인 3단 길이조절 제품 12개를 시험 평가한 결과를 25일 공개했다.
시험 평가는 수직하중에 대해 길이조절부가 눌리지 않고 어느정도 하중까지 견딜 수 있는지(길이 조절부 압축강도)와 등산스틱이 휘어지지 않고 어느정도 하중까지 견딜수 있는지(편심하중강도), 손목걸이가 어느정도 하중까지 견딜 수 있는지(손목걸이 하중강도), 그리고 무게와 길이 등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평가결과 조사대상 제품 12개 가운데 레키(P.소프트라이트 AS)와 네파(스피드업 라이트)의 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키(P.소프트라이트 AS)는 가격이 개당 6만450원으로 12개 제품 중 5번째로 비쌌지만, 길이조절부 압축강도(3215N), 손목걸이 하중강도(1715N)는 조사대상 제품 중 가장 우수했다. 또 편심하중강도도 283N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100N은 약 10kg의 물체가 중력으로 누르는 힘)
가격이 개당 4만8,300원으로 레키보다 더 저렴한 네파(스피드업 라이트)는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손목걸이 하중강도(1455N)과 편심하중강도(304N)가 상대적으로 큰 편이었고, 길이조절부 압축강도는 820N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반면, 개당 가격이 7만원이 넘는 노스페이스(NFN92C03), 라푸마(AIRLITE II), 블랙야크(선샤인스틱) 제품은 레키에 비해 가격은 만원 가량 더 비싸면서도 길이조절부 압축강도와 편심하중강도, 손목걸이 하중강도 등 핵심품질이 상대적으로 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