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출산과 육아휴직제도 '자유롭게 쓰기 힘들다'



기업/산업

    출산과 육아휴직제도 '자유롭게 쓰기 힘들다'

     

    현행 출산과 육아휴직 제도를 자유롭게 이용하고 복귀하는 분위기가 정착된 기업이 절반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737개사를 대상으로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제도 활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45.1%가 ‘자유롭게 쓰고 대부분 업무에 복귀하는 편’이라고 응답했다.

    32%는 ‘휴가를 쓰지 않고 바로 퇴사하는 편’이라고 답했고, ‘휴가를 쓰지만 대부분 복귀하지 않는 편’은 22.9%였다.

    또 기업의 76.1%는 여성 직원이 출산과 육아휴직을 쓰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부담스러운 이유 1위는 35.3%가 선택한 ‘대체인력을 구하기 어려워서’였다.

    계속해서 ‘팀원들의 업무 부담이 커져서’(22.3%), ‘신규채용 등으로 인건비가 증가해서’(13%), ‘대체인력의 업무 숙련도가 낮아서’(11.6%), ‘휴직 후 복귀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9.8%) 등의 이유를 들었다.

    이렇다 보니 실제로 출산과 육아휴직자가 있는 기업(447개사)의 여성 직원들이 쓴 출산 전후 휴직기간은 평균 6개월이었다.

    법적으로 보장된 출산휴가는 90일, 육아휴직은 최대 1년이지만 막상 절반도 쓰지 못하는 셈이다.

    세부적으로는 ‘3개월’이 47.4%로 가장 많았고, 이어 ‘12개월’(18.1%), ‘6개월’(9.2%), ‘15개월’(8.1%), ‘2개월’(3.8%), ‘1개월 이하’(2.9%) 순이었다.

    또한, 10곳 중 1곳(9%)은 제도를 이용한 여성 직원에게 퇴사를 권유한 적 있으며, 그 중 62.5%는 실제 퇴사로 이어진 직원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에서 제도 정착을 논의 중인 ‘자동 육아휴직제’, 즉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연이어 쓰는 현황을 살펴본 결과, 29.6%는 오히려 직원들이 두 제도를 연이어 쓰지 않도록 규정을 두거나 권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