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물리면 죽는다?…살인진드기의 오해와 진실



사회 일반

    물리면 죽는다?…살인진드기의 오해와 진실

    11

     

    ''살인진드기''라는 무시무시한 예명을 가지고 있는데다 이로 인한 바이러스로 목숨을 잃은 환자가 국내 처음으로 확인되면서 시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특히, 야외 활동이 늘어나고 진드기가 왕성하게 서식하는 봄, 여름철이라 걱정이 크다.

    하지만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알려진 것처럼 치명성이 크지 않고 새로 창궐하는 전염병이 아니기 때문에 공포에 떨지 않아도 된다고 보건당국은 말한다.

    첫번째 오해는 다소 부풀려진 치사율이다.

    당초 언론에는 SFTS 치사율이 최고 30%에 이른다고 일제히 보도됐지만 이는 중국에서 초창기에 잡힌 수치이며, 최근에는 접수된 사례가 늘면서 10% 미만으로 떨어졌다.

    21일 질병관리본부가 공개한 중국측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최근 2년동안 2천47명의 SFTS 감염 환자가 확인됐고, 이 가운데 129명이 목숨을 잃었다. 치사율이 6%대인 셈이다.

    이웃 일본의 경우 지금까지 보고된 15명의 SFTS 환자 가운데 8명이 사망해 외견상 치사율이 높은 것처럼 보이지만 아직 바이러스 발견 초기 상태라 정확한 치사율을 계산하기 어렵다는 게 보건 당국의 설명이다.

    SFTS 바이러스의 치사율이 10%미만이라면, 보통 20~30% 정도로 알려진 일본뇌염 바이러스 등에 비해 높은 편이 아니다.

    진드기 앞에 ''살인''이라는 예명이 붙었지만 실상은 치사율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오명돈 서울대 감염내과 교수는 "현재 치사율이 너무 과장돼 있다"며 "병을 밝히는 과정에서 초기에는 분모가 중환자들 중심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그런 특성이 있다. 치료를 어떻게 잘 하느냐에 따라 치사율도 더 낮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더구나 바이러스 매개체인 작은소참진드기가 모두 SFTS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것도 아니다.

    질병관리본부의 조사 결과 1,000마리 중 5마리 미만이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 이 바이러스를 보유한 진드기에 물렸다고 사람에게 모두 감염되는 것은 아니어서 확률은 더 낮아질 수 밖에 없다.

    오명돈 교수는 "유전자 증폭을 통해 SFTS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진드기라도 옮기는 바이러스 양이 적다면 물려도 이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밝혔다.

    두번째 오해는 중국이나 일본에서 진드기가 옮겨와 우리나라에도 신종 바이러스가 창궐했다고 믿는 점이다.

    이 또한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것일 뿐 작은소참진드기는 우리나라에 30년 이상 서식했던 종이라 오래전부터 바이러스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건당국은 말한다.

    농림부 관계자에 따르면 작은소참진드기는 30년 전부터 우리나라에 서식해 방역 문제로 골머리를 앓을 만큼 흔한 종이었다고 한다.

    김영택 질병관리본부 감염관리과 과장은 "진드기는 유라시아에서 오래전부터 존재하던 종으로 바이러스도 언젠가부터 있었을 것"이라며 "중국이나 일본의 왕래로 국내에 들어왔다고 판단할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

    이미 오래 전부터 우리 곁에 있던 바이러스라고 해도, 백신이나 항바이러스제가 따로 없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BestNocut_R]

    특히 대체로 자연치유가 되지만 60대 이상 고령자나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의 경우에는 목숨을 앗아갈 수 있어 조기에 집중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야외에서 활동할 때 긴 소매 긴 바지를 입고 양말 등을 신어 피부노출을 최대한 줄이며, 야외활동 후에는 목욕을 통해 진드기를 없애고, 입었던 옷과 양말 등은 세탁하는 것이 좋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