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ㄷㄷㄷㄷ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와 쇄신파의 14일 회동에서는 친박계 ''메신저''가 쇄신파 의원들의 탈당 사태에 중요한 원인 중 하나였던 것이 확인됐다.
박 전 대표가 쇄신파에게 직접 ''불통''의 원인을 해명했고 한 쇄신파 의원은 "박 전 대표의 뜻을 잘못 전달한 인물에 대해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와 쇄신파의 이날 회동은 ''재창당을 뛰어넘는 쇄신''에 대한 공감대로 마무리됐다. 결과만 놓고보면, ''박근혜 비대위''의 역할로 ''재창당''을 명시하자는 요구를 해왔던 쇄신파들이 박 전 대표에 설득당한 모양새였다. 김성식.정태근 의원의 탈당에도 불구하고 당에 남은 쇄신파들이 기존의 입장을 굽히는 듯했다.
하지만 박 전 대표와 쇄신파의 공감대는 ''불통 정치'' 논란이 어디서부터 시작됐느냐를 밝히면서 형성됐다. 박 전 대표는 쇄신파와의 만남에서 "(친박계가 세가지 요구조건을 담은)''쪽지''를 쇄신파에게 전달한 것을 몰랐다"고 말했다. 친박계 메신저를 통한 소통에 문제가 있었다고 인정한 것이다.
친박계가 쇄신파 의원들에게 전달한 ''4월 총선까지 비대위를 해야 한다''는 내용의 쪽지는 쇄신파로 하여금 박 전 대표의 쇄신 의지를 의심하게 만들었다. 탈당사태의 도화선이었다. 한 쇄신파 의원은 쪽지의 내용을 "비대위를 총선까지 끌고 간다는 말에 ''쇄신을 뭉개고 시간을 끌다 공천권만 행사하겠다''는 뜻으로 해석해 반발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정두언 의원도 전날 이 쪽지를 ''박 전 대표의 오더(지시)''라고 이해하고 "청와대 오더(지시)로 움직이다 이 지경까지 온 한나라당이 이젠 다른 오더를 받는 것이 탈당 사태의 본질"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쇄신파와의 만남에서 남경필 의원이 쪽지의 내용을 설명하자 정색한 표정으로 "몰랐다"고 말했다고 한다. 박 전 대표는 "의총 기간 의견 교환이 활발하고 격론이 벌어졌는데 전화받고 만나고 이야기하다 보면 이게 (내 의견을) 제시하는 것같이 오해를 받을 수 있어 자제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이 자리에 있었던 한 쇄신파 의원은 "박 전 대표에 대한 쇄신파의 오해가 풀리면서 굳이 ''재창당''을 명시할 필요를 못 느꼈고, 선언이 아닌 내용 면에서 ''재창당을 뛰어넘는 쇄신''을 말하는 박 전 대표의 진심을 이해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박 전 대표의 뜻을 알았다면 탈당 사태도 없었을지 모른다"며 "박 전 대표의 뜻을 잘못 전달한 분에 대해서는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못박았다.
전날 박 전 대표의 불통 정치를 문제 삼고 회동에 불참했던 원희룡.정두언 의원도 박 전 대표의 해명과 쇄신파 의원들의 결론에 "수긍한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영철 의원은 브리핑에서 이날 회동의 의미에 대해 "박 전 대표와 쇄신파가 신뢰를 회복하는 자리"라고 말했고 쇄신파 의원들의 탈당에 대해서는 "의미 있는 만남을 위한 씨앗"이라고 평가했다. [BestNocut_R]
박 전 대표는 불통 정치 논란 해소의 일환으로 15일 의총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박 전 대표의 의총 참석은 2007년 5월 대선후보 경선 이후 4년 7개월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