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빽'' 없으면 취업도 못해?



취업/직장인

    ''빽'' 없으면 취업도 못해?

    취업자 60%가 ''연줄''에 의존

     

    우리나라 고용시장에서 가장 위력을 발휘하는 것은 이른바 ''연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영철 연구위원이 14일 발표한 ''구직에서의 인적 네트워크 의존도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노동패널의 2003~2007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인맥의존도가 60% 안팎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자 6천165명을 대상으로 구직활동 경험 등을 물어본 결과 ''소개나 추천'' 방식으로 입사한 경우가 전체의 61.5%로 압도적인 수치를 보였고, ''공개채용''을 통한 입사는 전체의 13.3%에 그쳤다.

    이밖에 ''직접 직장에 찾아와서'' 채용된 경우는 18.5%, ''스카우트''된 경우는 4.3%를 차지했다.

    김 연구위원은 "특별한 구직활동 없이 일자리를 얻은 그룹과 일정한 구직활동 기간을 거친 취업자들의 구직경로를 분석한 결과, 구직에서의 인적 네트워크 의존도는 56.4% 이상으로 집계됐다"며 "특히 경력직 취업자가 신규 취업자에 비해 인적 네트워크에 대한 의존도가 20% 가량 높게 나왔다"고 밝혔다.

    이는 인적 네트워크가 전달할 수 있는 정보의 질이 경력직의 경우 월등히 우수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고용시장에서 취업시 ''연줄''에 의존하는 정도는 다른 나라보다 높은 편이었다.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ISSP)의 자료에 따르면 비교 대상 29개국의 평균은 45.6%에 그쳤다. [BestNocut_R]

    김 연구위원은 "구매력 평가 기준(PPP)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높은 국가일수록 구직 과정에서 인적 네트워크 의존도가 낮아진다"며 "이는 경제.사회적으로 선진국일수록 고용 관련 사회적 인프라가 보다 충실하게 갖춰져 있음을 방증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GDP 대비 공공고용서비스(PES) 서비스 지출 수준과 인구 만명당 PES 직원 수를 분석해보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은 0.16%, 5.4명인데 반해 한국은 0.02%, 0.6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높은 인맥의존도는 고용서비스 관련 사회적 인프라의 부족, 신뢰 등 사회적 자본의 결여, 전반적인 산업기반의 영세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공공고용서비스 지출 수준을 높일 것을 제안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